학술논문

학교민주주의의 '숙의적 전환'? S중학교 교직원회의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 ‘Deliberative Turn’ of Democracy in Schools? A Case Study of Teaching Staff Meetings in the ‘S’ Middle School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학교민주주의
교직원회의
숙의 민주주의
참여
숙의
합의
Language
Korean
Abstract
현대 민주주의 이론은 ‘숙의적 전환’ 이후 대의 민주주의의 한계를 극복하고 민주적 의사결정의 정당성을 확보하고자 했다. 그 후 숙의 민주주의는 시민회의, 합의회의, 공론조사, 시민배심원 등 다양한 형태로 진화해 오고 있으며, 최근에는 ‘체계적 전환’을 통해 이론과 실천의 종합을 모색하고 있다. 그런데 현대 민주주의의 지속적인 숙의적 전환이 학교 민주주의를 실행하는데 어떤 의미가 있을까? 이 연구는 무엇보다도 교직원회의를 중심으로 학교민주주의의 실태와 숙의의 질에 대한 실증적 사례 연구를 제공함으로써 이 문제를 다루고자 한다. 학교에서는 교직원회의를 토론 중심으로 운영하고 의사결정 권한을 공유하는 시도를 하지만, 관료제조직의 한계와 민주주의 경험의 부족으로 어려움이 있다. 이에 숙의 민주주의 이론에 입각한 새로운 접근 방식으로 현재의 학교민주주의의 모습을 마주함으로써 미래의 지향점을 모색하는 도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숙의 민주주의적인 관점으로 교직원회의의 운영 실태를 파악하고, 숙의 민주주의적인 교직원회의가 운영되기 위한 맥락적 조건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두 가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교직원회의가 숙의 민주주의적인 관점에서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가? 둘째, 숙의 민주주의적인 교직원회의가 운영되기 위해서는 어떤 맥락적 조건이 갖추어져야 하는가?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경기도 S중학교의 교직원회의를 참여 관찰하였고, 참석자와 개인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숙의 민주주의적인 관점이 반영된 교직원회의 분석틀을 고안하였다. 연구의 결과, 첫째, S중학교는 숙의 민주주의적 관점에서 우수하게 교직원회의를 성공적으로 운영하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교직원회의는 의제의 성격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설계되었고, 참석자들은 공공선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숙의하였으며, 소수의 의견을 존중하기 위해 다수결로 결정하지 않고, 여러 번의 회의를 통해 결정하였다. 둘째, S중학교의 교직원회의는 아직 더 발전할 여지가 있다. 회의 규칙의 수립과 회의록 작성이 필요하고, 진행자의 회의 진행 역량을 체계적으로 함양해야 하며, 친밀함을 넘어서 다양한 의견 개진을 추구하는 교직원 문화를 조성해 갈 것이 요구된다. 셋째, S중학교의 숙의 민주주의적인 교직원회의의 성공적 운영에는 두가지 핵심요인이 있다. 학교장이 의사결정권한을 공유하여 교직원회의 결과를 최대한 수용하는 것과 교직원 문화가 서로 배려하며 친밀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넷째, 학년교무실 이전 건의 심층 사례를 통해 갈등상황에서 입체적이고 통합적으로 교직원회의를 설계하여 숙의 민주주의적으로 운영한다면, 공공선과 상호관용을 추구하며 개인의 선호를 변화시켜 가고, 구성원 전체의 합의를 이끌어 갈 수 있다. 이 연구는 학교민주주의의 모범적인 사례를 대상으로 해서 일반화하는데 한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교육 현실에서 학교민주주의를 활성화하고 보다 숙의적인 교직원회의를 운영할 수 있는 숙의 민주주의 이론의 실천적인 잠재력을 보여주고 있다.
Contemporary democracy theory has attempt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established representative democracy and secure the validity of democratic decision-making since the ‘deliberative turn’. In practice, deliberative democracy has been evolving into different types of deliberative civic forums such as citizens’ assembly, consensus conference, deliberative polling, and citizen jury, and recently is seeking integration of theory and practice by a ‘systematic turn or approach’. What implications do recent developments of contemporary democracy theory, particularly the deliberative turn of democracy and following continual turns within deliberative democracy, have in planning and implementing democracy in schools? This thesis, foremost, aims to address this question by providing an empirical case study of the state of school democracy and its quality of deliberation, focusing on the operation of teachers staff meetings. Although schools are making attempts to operate discussion-centered teaching staff meetings and share the power of decision-making, they have difficulties and limitations caused by bureaucratic organization and lack of experience in democracy. New approaches based on deliberative democracy theory can contribute to responding to the challenges facing contemporary school democracy, in both dimensions of analyzing its current state and seeking for its future direction.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e of teaching staff meetings from a deliberative democratic perspective and to explore contextual conditions enabling to operate deliberative democratic teaching staff meetings. For an empirical study, two steps of research questions are set up. First, how are teaching staff meetings being operated from a deliberative democratic perspective? Secondly, what contextual conditions should be met in order to operate deliberative democratic teaching staff meetings.To answer these research questions, I have participated in and observed teaching staff meetings of the ‘S’ Middle School in Kyeonggi-province, South Korea. Through the course, I have made in-depth personal interviews with a number of participants, while developing a framework for analytical study of the teaching staff meeting that reflects deliberative democratic perspectives.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assessed that the ‘S’ Middle School has been successful in operating a good quality of teaching staff meetings, even from a deliberative democratic perspective. Teaching staff meetings in the school were designed into different types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agenda, where participants deliberated in pursuit of the public good, and decided on the agenda not by a simple majority rule but in the manner that minor groups’ opinions were heard and considered seriously through consecutive meetings. Second, the study finds that there are still rooms to be developed further in the case. The teaching staff meeting of the ‘S’ Middle School needs establishment of meeting rules and taking minutes, should cultivate the meeting host`s capability to conduct a meeting systematically, and is required to foster teaching staff`s culture in pursuit of expression of various opinions beyond intimacy. Third, the study identifies two key factors behind the successful operation of teaching staff meetings in the ‘S’ Middle School and its quality of deliberation: (1) The principal has accepted the results of teaching staff meetings as much as possible by sharing the decision-making power; and, (2) teaching staff`s culture has been formed in a considerate and close relationship. Fourth, an in-depth case study regarding the agenda of moving the first-grade teachers’ office shows that the teaching staff meetings were designed in a three-dimensional, integrated way and operated in a deliberative democratic way in a conflict situation. This contributed to transformation of individual preferences and leading to a consensus among members as a whole who demonstrated a shared attitude seeking for the publicness and mutual tolerance. Despite limitations in generalization of this study focusing on a best case in terms of operating school democracy, it demonstrates the practical potential of deliberative democracy theory to revitalize school democracy and implement more deliberative teaching staff meetings in realities of education in South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