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내 조선족 집중거주지의 성장과 분화 / Growth and Divergence of Korean-Chinese (Chosonjok) Residential Concentrations in Korea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집중거주지
성장과 분화
이주 경로
조선족
한족
한국계 중국인
중국인
중국 국적인
국내 외국인
포용도시
서울시 구로구 가리봉동
서울시 영등포구 대림동
수원시 팔달구 고등동
수원시 팔달구 매산동
Language
Korean
Abstract
2019年,在韩外国人口数达到约178万人。这是比2007年度的外国人口数增加约114万人。而且,这个外国人口数的增加在空间格局上显出。但是,这个外国人集团一般在首都圈的大城市和中小城市分布。特别是首尔市,在这座城市上成长着发达国家移居民的娶居地区和发展中国家移居民的娶居地区。其中后者是在韩国被社会地排除的少数人。不过该人口集团除了首尔市以外,还让韩国各地区的自国人的娶居地区或同族的娶居地区成长和分化。因此,本研究分析发展中国家移居民的娶居地区,它是韩国社会该包容的。具体的研究目的是对在韩朝鲜族娶居地区的成长和分化过程的查明,他们虽然是韩国人的同胞,但是仍在韩国社会受着空间的排除的。因而,本研究特别分析在韩国各地区的主要朝鲜族娶居地区。具体的研究地区是首尔市的九老区加里峰洞和永登浦区大林洞,也是京畿道水原市八达区的高等洞和梅山洞。就是把这四个行政洞的各个朝鲜族娶居地区比较分析。为仔细分析它,首先对中国人(朝鲜族和汉族)移居加里峰洞,大林洞,高等洞和梅山洞的情况考察。然后,还把该人口集团在当地形成的居住空间,商业空间和劳动空间考察。分析结果如下。第一,该四个行政洞的朝鲜族娶居地区共同靠着便宜的居住费,交通接近性,同族的交流和求职网来成长。第二,这个朝鲜族娶居地区通过多数朝鲜族和少数汉族移居韩国各地区的现象,来分化成加里峰洞的原形,大林洞的扩张形,高等洞和梅山洞的再入地形。第三,在这个朝鲜族娶居地区上,朝鲜族的移居路线和求职网比汉族的移居路线和求知网更发达。第四,在水源市梅山洞上,韩国人的商业街,朝鲜族的商业街和其他国家人的商业街之间形成着多文化石画的景观。因此,本研究呈现出的含义如下。第一,以从发展中国家移居韩国的人口形成娶居地区的事例,朝鲜族娶居地区给包容城市谈论带来一些启示。就是,本国人和外国人作为同等的城市成员该和好相处,才达到包容城市的正确目标。所以,对于在韩外国人当中占多数的朝鲜族形成的娶居地区的考察,是给韩国的包容城市提示前进方向。第二,以同国籍人和同族形成的娶居地区的成长和分化的事例,对韩国各地区的朝鲜族娶居地区分析。本研究把中国人移居韩国各地区的现象当作其娶居地区的成长和分化的背景。因此考察其移居。还把该人口集团在当地形成的居住空间,商业空间和劳动空间考察。总而言之,对有系统地查明韩朝鲜族娶居地区的成长和分化过程一切,有着本研究的含义。
As of 2019, the number of foreigners in Korea has reached about 1.78 million. That is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1.14 million compared to 2007. Moreover, this increase in the number of foreigners also appears spatially. However, these foreigners mainly distributed in large cities and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of the metropolitan area in Korea. In particular, in Seoul city, the residential concentrations of immigrants from developed countries and residential concentrations of immigrants from developing countries are growing. Of these, the latter is a minority that socially and spatially excluded in Korea. However, in addition to Seoul city, these foreigners have growing and diverging the residential concentrations of the same nationality and same ethnic in various regions of Korea. Therefore, this research analyzed the residential concentrations of immigrants from developing countries that Korean society should be embracing. Specifically,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rocess of growth and divergence of residential concentrations shaped by Korean-Chinese (Chosonjok). They are the same as Korean but who is excluded socially and spatially as a minority in Korea. Accordingly, as examples of the growth of local Korean-Chinese (Chosonjok) residential concentrations in Korea, Garibong-dong and Daerim-dong in Seoul city and Godeung-dong and Maesan-dong in Suwon city were analyzed. In addition, for analyzing this matter, considered the migration of Chinese nationality(Chosonjok and Han Chinese) to Garibong-dong, Daerim-dong in Seoul, Godeung-dong, and Maesan-dong in Suwon. Furthermore, it examed the residential spaces, commercial spaces, and labor spaces formed in the field by these factors.The results are as follows:Firstly, the Korean-Chinese (Chosonjok) residential concentrations in Korea are growing in common: low housing costs, accessibility of transportation, and the exchange network and employment network of the same ethnic.Secondly, these Korean-Chinese (Chosonjok) residential concentrations are divergence in proto-type(Garibong-dong) and expanded type(Daerim-dong) and relocation-type(Godeung-dong and Maesan-dong) due to the migration of Chinese nationality to various places in Korea.Thirdly, the migration routes and the same ethnic employment networks in these residential concentrations, the Chosonjok developed than the Han Chinese.Fourthly, the Korean commercial streets, the Chosonjok(Chinese nationality) commercial streets, and the other nationality's commercial streets formed a multicultural mosaic by mixing in Maesan-dong, Suwon city.Therefore,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Firstly, the Korean-Chinese (Chosonjok) residential concentrations implications for the discourse of inclusive cities as an example of residential concentrations of immigrants from developing countries. In other words, the correct image of an inclusive city is the coexistence of residents and foreign immigrants as equal city members. Thus, considering the Korean-Chinese (Chosonjok) residential concentrations can suggest that the direction for an inclusive city in Korea.Secondly, it analyzed the Korean-Chinese (Chosonjok) residential concentrations in Korea's various regions as an example of the growth and divergence of residential concentrations shaped by the same nationality and same ethnic. In particular, this study examined the Chinese nationality's local migration as the background of growth and divergence of these residential concentrations. Moreover, it considered the residential spaces, commercial spaces, and labor spaces formed in the field by these factors. Therefore, this study can be meaningful. It systematically identified the series of processes of growth and divergence of the Korean-Chinese (Chosonjok) residential concentrations in Korea.
2019년 현재, 국내 외국인 수는 약 178만 명에 달한다. 이는 2007년과 비교하면 114만여 명이 증가한 것이다(행정안전부,「지방자치단체외국인주민현황」, 2019). 그리고 이러한 외국인 수의 증가는 공간상으로도 나타난다. 단, 이들은 주로 수도권의 대도시와 중소 도시에 분포한다. 특히 서울시에는 선진국 출신 이주민의 집중거주지와 함께 개발도상국 출신 이주민의 집중거주지가 성장해있다. 이 중 후자는 국내에서 사회·공간적으로 배제되는 소수자이다. 하지만 이들은 서울시 이외에도 국내 각지에 자국민 또는 동족의 집중거주지를 성장 및 분화시킨다.이에 본 연구는 국내 사회가 포용해야 할 개발도상국 출신 이주민의 집중거주지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국내에서 동포이지만 소수자로서 사회·공간적으로 배제되는 조선족이 형성한 집중거주지의 성장과 분화 과정에 대한 규명을 연구 목적으로 했다. 이에 국내의 지역별 조선족 집중거주지가 성장한 사례로서 서울시의 가리봉동 및 대림동과 수원시의 고등동 및 매산동을 분석하였다. 또한 이를 분석하고자 가리봉동, 대림동, 고등동 및 매산동으로의 중국 국적인(조선족 및 한족)의 이주를 고찰하고, 이로 인해서 현지에 형성된 이들의 주거 공간, 상업 공간, 노동 공간을 고찰하였다.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조선족 집중거주지는 공통적으로 저렴한 주거비, 교통 접근성과 동족 교류 및 취업망으로서 성장하고 있다. 둘째, 이들 집중거주지는 국내 각지로의 중국 국적인 이주에 의해서 원형(原形, 가리봉동) → 확장형(대림동) → 재입지형(고등동 및 매산동)으로 분화하고 있다. 셋째, 이들 집중거주지에서 조선족의 이주 경로와 동족 취업망이 한족보다 발달하였다. 넷째, 수원시의 매산동에서 내국인, 조선족, 기타 국적인의 상업 거리가 혼재하면서 다문화 모자이크를 이루고 있다.이에 본 연구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로 이주한 개발도상국 출신 이주민 집중거주지의 사례로서 조선족 집중거주지가 포용도시 담론에 주는 시사점이다. 즉 올바른 포용도시상이 내국인과 외국인 이주민이 동등한 도시 구성원으로서 상생하는 것이므로, 이들의 다수인 조선족이 형성한 집중거주지에 대한 고찰은 국내 포용도시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해 주는 것이다.둘째, 동일한 국적 및 민족의 이주민이 형성한 집중거주지의 성장과 분화 사례로서 국내의 지역별 조선족 집중거주지를 분석한 점이다. 특히 본 연구는 이들 집중거주지의 성장과 분화 배경으로서 중국 국적인의 현지 이주를 고찰하고, 이로 인해서 각 집중거주지에 형성된 주거 공간, 상업 공간, 노동 공간을 고찰하였다. 이에 국내 조선족 집중거주지가 성장 및 분화하는 일련의 과정을 체계적으로 규명한 점에 의의를 둘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