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과 중국 중등학생들의 학업적 그릿, 교과 흥미, 지각된 유능감 및 체육수업 참여와의 구조적 관계 /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Korean and Chinese Secondary School Students' Academic Grit, Subject Interest, Perceived Competence and Engagement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Author
Source
Subject
학업적 그릿
교과 흥미
지각된 유능감
체육수업 참여
Language
Korean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중국 중·고등학생들의 학업적 그릿과 교과 흥미, 지각된 유능감, 체육수업 참여에 대한 인과관계를 검증하고, 한국 중·고등학생 집단과 중국 중·고등학생 집단 간 경로계수 차이를 비교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규명하기 위해 중·고등학생을 모집단으로 선정하고, 편의표본추출법을 통해 총 841명(한국 학생 419명, 중국 학생 422명)으로부터 학업적 그릿, 교과 흥미, 지각된 유능감, 그리고 체육수업 참여에 대한 자료를 측정하였다.수집된 자료는 SPSS 24.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석, 신뢰도 검증, 그리고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Amos 24.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집중타당도 분석, 측정모형 검증, 동일성 검증, 잠재평균분석, 그리고 경로계수의 집단 간 비교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적 그릿은 교과 흥미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업적 그릿은 지각된 유능감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과 흥미는 체육수업 참여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지각된 유능감은 체육수업 참여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한국 학생과 중국 학생 집단 간 잠재평균에서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집단 간 χ²변화량은 학업적 그릿과 교과 흥미 관계에서 유의적으로 나타났으며, 아울러 교과 흥미와 체육수업 참여 관계에서도 유의적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이 연구에서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학생들의 체육수업 참여를 높이는데 그들의 열정과 노력이 중요했으며 이를 기초로 한 학업적 그릿은 교과 흥미와 수업에서의 유능성을 증진하는데 긍정적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학생들은 교사가 제시하는 다양한 형태의 전략으로 교과 흥미를 경험하고 특히, 학습 상황에서 나타나는 유능감의 경험은 체육수업 참여를 높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과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한국과 중국 중·고등학생들 간 잠재평균에서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한국의 경우 사회·문화적 측면에서 전 세계적으로 교육열이 높고 성적 지상주의로 학업에 대한 학구열 또한 높은 국가로 평가받는다. 이러한 관점에서 양국 간의 차이가 없음은 아쉬운 결과이지만 이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과제에서는 교육 및 사회적 변인들과의 인과관계를 종단적 연구방법으로 접근하여 양국 간의 인과적 영향력을 선제적으로 규명해 볼 필요가 있다. 또한 교과 흥미와 체육수업 참여의 관계에서 양 국가 간 차이가 있다는 것은 교과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가 내적 요인에 기인한 것인지 아니면 일부 외재적(환경) 요인에 의한 것인지를 명확히 검증할 필요가 있으며, 이것이 검증될 경우 체육수업 참여를 새로운 관점에서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교사는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학생들이 자발적 또는 능동적 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는 전략을 한층 강화하여 체육수업 참여를 보다 극대화 할 수 있는 다각적인 방법이 마련될 것이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test causal relations among academic grit, subject interest, perceived competence, and engagement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between South Korean and Chinese secondary school students and compare the Korean and Chinese secondary school student groups in path coefficient differences. For these purposes, the investigator found a population in secondary school students and selected total 841 students (419 Korean students, 422 Chinese students), whose data was measured in academic grit, subject interest, perceived competence, and engagement in PE classes.Collected data was put to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reliability 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with the SPSS 24.0 program. The Amos 24.0 program was used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vergent validity analysis, measurement model testing, test of homogeneity, latent mean analysis and comparative analysis of path coefficients between group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academic grit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subject interest; second, academic grit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perceived competence; third, subject interest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engagement in PE classes; fourth, perceived competence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engagement in PE classes; fift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latent means between Korean and Chinese students; and finally, the χ²variance was significant between academic grit and subject interest and between subject interest and engagement in PE classe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s:Students' passion and efforts were important in their increased participation in PE classes. Their academic grit can have positive impacts on the promotion of their subject interest and competence during classes. In addition, the students experienced interest in subjects thanks to various forms of strategies provided by their teachers and increased their participation in PE classes by experiencing competence in their learning environment. As shown in the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latent means between Korean and Chinese secondary school students. South Korea is known globally for its enormous educational fervor in the social and cultural aspect and for its huge desire to learn based on the grade-first principle. In this viewpoint, the investigator felts sorry to see no differences between the two nations. Based on these findings, follow-up study will need to approach causal relations between educational and social variables in a longitudinal way and investigate causal influences between the nations proactively. It will also need to clarify whether the differences in subject interest and engagement in PE classes between the two countries derived from the students' internal or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making an approach to engagement in PE classes from a new perspective. Teachers thus need to explore strategies of stimulating students' interest and inducing their voluntary or active participation, preparing multilateral methods to maximize their engagement in clas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