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연선사(皎然禪師) 다도관 연구 / A Study on Jiao Ran's Thoughts on Cha Dao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교연선사(皎然禪師)
이산연선사발원문(怡山然禪師發願文)
다도(茶道)
선다(禪茶)
다선일미(茶禪一味)
육우(陸羽)
다경(茶經)
Jiao Ran (皎然)
Chan Master Yi Shan Ran (怡山然禪師)
Cha Dao (茶道)
The Way of Tea
Chan Cha (禪茶)
Lu Yu (陸羽)
Tea and Chan are One Taste (茶禪一味)
Cha Jing (茶經)
The Classic of Tea
Language
Korean
Abstract
본 논문은 물성의 차와 정신문화인 도가 결합된 ‘다도(茶道)’라는 용어를 처음으로 사용한 교연(皎然, 720-798)선사의 다도관 연구이다. 교연은 북종선 제8조 수진(守眞)대사의 제자로 현존하지 않으나 『다결(茶訣)』을 저술하였다. 그의 사상과 철학, 다도는 당대 다양한 계층과 『다경(茶經)』을 편찬한 다성 육우(陸羽)에도 영향을 끼쳤다. 본 논문은 교연의 사상적 배경과 다도관을 고찰하였으며, 교연의 다선일미(茶禪一味) 실천이 육우에게 전승되어 『다경(茶經)』 편찬에 끼친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또한 교연으로부터 육우로 전승되는 다도의 실천이 다선일미의 연원임을 밝혔다.교연은 다도와 시교(詩敎)를 방편으로 현실참여의 교화로 수행공덕을 펼쳤다. 교연의 영향력은 지방장관, 사대부, 도사, 승려, 은사, 평민 등을 가리지 않았고 당시대뿐만 아니라 후대에도 큰 영향을 끼쳐 유정량, 노동 등의 다시(茶詩)에서도 고스란히 드러났다. 교연의 『호주교연화상재문(湖州皎然和上齋文)』 1권, 『잡문』 1권은 805년 일본의 천태종의 개조인 사이초(最澄, 767-822)에 의하여 일본에 전해졌다. 최초로 다도라는 용어를 사용한 교연(720-798)의 저술이 중국에서부터 일본으로 전해졌다는 것은 일본이 다선일미 연원으로 주장되어온 협산선회(夾山善會, 805-881)보다도 이르고, 원오극근(圜悟克勤, 1063–1135)의 ‘다선일미 네 글자 진결’ 연원설 보다 약 400여년 이른 기록으로 의미가 있다.교연은 출가 전부터 유가, 도가, 불가의 사상과 수행을 두루 섭렵하였기 때문에 그 사상의 근저에는 삼교의 인정(仁政), 지족지지(知足知止)와 지인(至人), 자비희사(慈悲喜捨)와 무소유(無所有), 공(空) 사상이 회통하여 드러났다.교연의 다도는 일상에서 진속(眞俗)을 넘나들며 실천하였다. 교연의 다선일미 실천은 차를 마시는 누구나 본성을 회복하게 하여 더 청정한 세상을 만들고자 차를 활용하였고, 차로 술을 대신하는 이차대주(以茶代酒)를 방편으로 제시하였다. 교연의 다도는 일체의 다사에서 지혜와 자비를 실천하는 지인(至人)의 락도이며, 말년에는 지인의 상조차 모두 버린 무상락도(無相樂道)의 실천이었다. 이와 같이 교연의 다선일미는 일체의 다사를 통해 맑고 청정한 본성을 회복하여 지혜와 자비로 활발발(活鱍鱍)하게 실천하는 다불(茶佛)로 마침내 무상락도를 이루었다.이러한 교연의 지혜와 자비는 육우에게 영향을 끼쳐 『다경(茶經)』 편찬에 이르게 하였으며, 육우가 지인의 경지에 이를 수 있도록 하였다. 교연의 다선일미 실천은 육우의 『다경』에 고스란히 전승되어 동일한 맥락으로 나타났다. 육우는 『다경』에서 차를 마시는 사람의 행동규범으로 ‘정행검덕지인(精行儉德之人)’을 실었는데, 이는 교연이 강조한 지족지지, 지인(至人)의 경지와 무소유, 자비희사 정신의 함축이다. 교연은 차를 마심으로써 마음의 정화를 기르고 도의 경지에 이르기 위해서 필요한 것임을 강조한 것이다. 또한 육우는 차는 엄격한 격식을 갖추어야 하지만 상황에 따라서 격식을 벗어나 마셔야 한다는 교연의 무유정법(無有定法)의 다도 실천을 하였다. 육우는 십지도(十之圖)에서 올바른 다법이란 한 번의 실행으로는 얻기 어려워 일상에서 반복해서 실천하고 새겨야 바른 다법을 펼칠 수 있다고 강조하였는데, 이는 바른 도리를 제대로 믿고(信) 이해하여(解) 닦아야(行) 증득(證)할 수 있다는 교연의 다도관과 같다.본 논문은 기존 연원설로 굳혀진 협산선회 및 원오극근 연원설의 한계를 조명하고, 교연의 다선일미 실천을 새로운 다선일미의 연원으로 주장하였다. 원오극근이 일본인 제자에게 전하여 대덕사에 은밀하게 보관되어있다는 다선일미 네 글자 진결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원설은 원오묵적의 신비성이 더하여 와전되어 전해진 것으로, 내용 역시 일본의 다선일미 맥을 잇는 묵적으로는 볼 수 있으나 최초 연원으로는 볼 수 없었다. 반면 교연의 다선일미는 육우의 『다경』을 통해 지금도 그 맥이 활발발하게 이어져 오고 있어 다선일미의 연원으로 정립될 수 있었다.
This dissertation focused on Jiao Ran's (皎然) perspective on cha dao (茶道). Today, Jiao Ran is believed to be the one who first came up with the concept of cha dao, since the earliest record of the term first appeared in Jiao Ran's poetry. Through poetry and tea as his main methods, Jiao Ran tried to spread his ideas and wisdom to people. Despite his great achievements on cha dao, the majority of research on Jiao Ran was conducted only in his literature. His ideas and perspectives on cha dao were not profoundly studied.In response to the academic necessity to study Jiao Ran's ideas and achievements related to cha dao, this dissertation aimed to study his ideological background and thoughts on cha dao by documentary research and historical interpretation. This study also examined Jiao Ran's influence on Lu Yu, especially on his dedication on the compilation of Lu Yu's 'Cha Jing (茶經, The Classic of Tea).' And it maintained a theory of Jiao Ran's cha dao, which was inherited by Lu Yu, as the origin of 'Tea and chan are one taste (茶禪一味)' from a new perspective.Jiao Ran was collectively influenced by the combined ideas of three different religions: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He was strongly influenced by benevolent policy (仁政), wisdom of contentment (知足知止), accomplished men (至人), kindness and compassion (慈悲喜捨), non-possession (無所有), and emptiness (空). Jiao Ran's thoughts on cha dao were created based on this ideological background. Jiao Ran pursued the idea of 'Tea and chan are one taste.' Through tea as his method, he tried to practice wisdom and compassion toward the people in the world and restore the true nature of humans. Finally, he reached a state of transience and pleasure (無相樂道).The study found that Jiao Ran's ideas and practices had a great influence on Lu Yu and helped him to become 'the accomplished man.' Jiao Ran's cha dao was inherited by Lu Yu and their idea of 'Tea and chan are one taste' that has been continuously transmitted over the generations. The study also analyzed and refuted that the theories that appeared in recent debates on the origin of 'Tea and chan are one taste' lacked validity, which are the theories of Jia Shan Shan Hui (夾山善會, 805-881) and Yuan Wu Ke Qin (圜悟克勤, 1063-1135). The study found that Jiao Ran's cha dao was passed down to Lu Yu and their ideas completed the concept of 'Tea and chan are one taste' in an earlier period. Therefore, the theory of Jiao Ran and Lu Yu can be maintained as the origin of 'Tea and chan are one tas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