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조선 중종시기 조운제도 재정립의 배경과 굴포 개착에 관한 연구 / A Study in Background of the Re-establishment of the Tax Shipping System and the Establishment of Gulpo during the reign of King Jungjong in Joseon Dynasty
Document Type
Text
Source
Subject
의항
굴포
조운
토목공사
제방
천사(天使)
Language
Korean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background behind the attempts at various methods to ensure the success of a stable shipping tax during the reign of King Jungjong and demonstrates that the excavation of Uihang Gulpo was part of these efforts. For this purpose, the study sorted out materials about the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foreign relations of those days and reviewed the overall process from the point when discussions began to excavate Gulpo to the end. In order to avoid rough currents in Gwanjangmok, which was a dangerous zone where the most transport ships sank, they decided to excavate Uihang Gulpo instead of Taean Gulpo, for which they had repeated trials and failures several times during the former half of Joseon, The successful excavation of Uihang Gulpo meant that they could avoid Gwanjangmok, the most dangerous section of Anheungryang. King Jungjong dispatched several investigations as well as mobilized and entrusted Buddhist monks with canal excavation after a series of discussions with government officials at the court. As a result, a canal opened, but it soon became difficult to use due to rough tides and a continuous accumulation of sand. There is no exact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of Uihang Gulpo. After assessing many different possibilities, the study concluded that the straight line from the beach of Anheung Bay through the canyon of Suyudong where the Muneomi Hill was located to the entrance of Sogeun Bay was the most valid candidate. Under the guidance of naval forces at the Sogeunjin stationed nearby, Uihang would have ensured safer shipping tax. In the end, Uihang Gulpo failed to serve its roles, but it holds significance as the first successful case of Gulpo in the history of the nation. It is thus more proper to focus on its background, process of pushing ahead, and historical uniqueness of its construction than focusing only on the fact that it failed.
본 연구에서는 중종 시기에 안정적인 조운의 성공을 위해 다양한 방법을 시도하게 된 배경을 살펴보고, 의항 굴포 개착의 개착이 그러한 노력 중의 하나였음을 밝히려 하였다. 이를 위해 당시의 정치, 경제, 사회, 대외관계 부분의 내용들을 정리하고, 굴포 개착 논의가 시작되는 시점부터 종결되는 시점까지의 과정을 전반적으로 고찰하였다. 조선 전기까지 수차례나 도전과 실패를 반복했던 태안 굴포 대신 의항 굴포를 개착하게 된 이유는 관장목의 험한 물살을 피하기 위함이었다. 관장목은 조운선이 가장 많이 패몰되는 위험 지대였기 때문이다. 의항 굴포 개착을 성공하기만 하면 안흥량 중에서도 가장 위험한 구간인 관장목을 피할 수 있었다. 중종은 여러 차례 조사단을 내려 보내고, 조정 관리들과의 논의 끝에 승려들을 동원하여 운하 개착을 담당하게 하였다. 그 결과 운하는 개통이 되었으나 사나운 조수와 모래가 지속적으로 쌓이게 되면서 얼마 지나지 않아 이용이 어려워졌다. 의항 굴포 지역의 위치는 지금까지 확실히 밝혀진 바가 없다. 여러 가지 가능성을 제기해 본 결과 본고에서는 안흥만쪽 해변가-무너미고개가 있는 수유동 협곡-소근만구로 이어지는 일직선이 가장 타당하다고 결론지었다. 의항은 근처에 주둔하고 있는 소근진 수군의 지로아래에 조운은 더욱 안전하게 운행할 수 있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의항 굴포는 그 역할을 다하지 못했지만 우리 역사상 처음으로 굴포에 성공했다는 의미를 갖는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실패한 사실에만 집중할 것이 아니라 그 배경과 추진과정, 그리고 공사의 역사적 특수성 등에 주목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