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수학 놀이활동 교수매체가 유아의 수학능력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s of Math Play Activity Instructional Media on the Mathematical Ability and Attitude of Early Childhood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Author
Source
Subject
놀이활동
교수매체
유아 수학능력
수학적 태도
Language
Korea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the instructional media on the mathematical ability and attitude of early childhood. The question of study set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effect of the instructional media of the math play activity on the mathematical ability of child? Second, what is the effect of instructional media of math play activity on the mathematical attitude of child? This study was conducted on 60 children aged 3 years old in a private daycare center in Paju city, Gyeonggi Province. 30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did as math play activity instructional media, and 30 children in the comparative group proceeded to do math activities following the life theme of the Nuri Course as planed in the daycare center. As a study tool, the 'graphic mathematics test' of Haeik, Hwang and Hyejin, Choi(2007) was used in order to measure mathematics ability of child, the 'mathematical attitude test' of Jiyoung, Park and Haeik, Hwang(2006) was used in order to measure mathematical attitude for child. The Pilot test was proceeded understanding the test and in order to decide whether the test was suitable for 3 year child. The inspection was conducted on how to do, time required and the caution of proceeding. Hereafter, pre-test were conducted on all child in the experimental and comparative group before the experimental treatment. And after experimental treatment for 10 weeks, the post-test was conducted in the same way. Experimental treatment was conducted from 30th of Sep to 5th of Dec, 2019, it was total 20 classes of twice a week.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by SPSS 25.0 program, and the Chi-squared test and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were used to identify the homogeneity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experimental and comparative group. To find out whether the mean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pre and post scores was significant, ANCOVA was conducted to the effect of instructional media of mathematics play activity on ability and attitude of chil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testing for effect of the instructional media on the mathematical ability of child, the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ly improved the mathematical ability compared to the comparative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s all of the subelement of mathematical ability, algebra, number and arithmetic, geometry, and measurement have been improved. These results show that instructional media of math play activity has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mathematical ability of child. Second, as a result of the testing for effect of the instructional media on the mathematical attitude of child,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mparative group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o it could be considered that it did not have a positive effect. It may be interpreted as having a periodic limitation in examining items that do not immediately change, such as attitudes, and it is necessary to review whether there are not sufficiently considered in the examination process for child aged 3years. In conclusion, it can be seen that the math play activity instructional media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mathematical ability of child, so it suggests that more effective math activities can be planned and executed by referring to the way the math play activity instructional media is utilized.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 놀이활동 교수매체가 유아의 수학능력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 놀이활동 교수매체가 유아의 수학능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둘째, 수학 놀이활동 교수매체가 유아의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경기도 파주시에 위치한 민간 어린이집의 만 3세 유아 60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실험집단 유아 30명은 수학 놀이활동 교수매체로 활동하고, 비교집단의 유아 30명은 원에서 계획한대로 누리과정의 생활주제에 따른 수학 활동을 하는 것으로 진행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유아의 수학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황해익, 최혜진(2007)의 ‘유아 그림수학능력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고, 유아의 수학적 태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박지영과 황해익(2006)이 제작한 ‘수학적 태도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실시하기에 앞서 검사 방법을 숙지하고 만 3세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검사에 무리가 없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예비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 과정에서 검사를 실시하는 방법, 소요 시간 및 진행시의 유의점 등에 대한 점검을 하였다. 이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유아 전체를 대상으로 실험 처치 전에 사전 검사를 하였고, 10주에 걸쳐 실험 처치를 한 후 같은 방식으로 사후 검사를 진행하였다. 실험처치는 2019년 9월 30일부터 12월 5일까지 1주에 각 2회씩 총 20회차 활동으로 진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으며,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동질성을 파악하기 위해 카이제곱검정(Chi-squared test) 및 독립표본t-검정(Independent sample t-test)을 실시하였고, 두 집단의 사전 · 사후 점수의 평균 차이가 유의한지 알아보기 위해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함으로써 수학 놀이활동 교수매체가 유아의 수학능력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 놀이활동 교수매체가 유아의 수학능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본 결과 실험집단이 비교집단과 비교하여 수학능력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수학능력의 하위 요소인 대수, 수와 연산, 기하, 측정의 전 영역에서 모두 향상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수학 놀이활동 교수매체가 유아의 수학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수학 놀이활동 교수매체가 유아의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본 결과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수학적 태도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태도와 같이 즉각적인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 사항을 검사함에 있어 기간적 한계가 있었을 것으로 사료되며, 만 3세 유아를 대상으로 한 검사 과정에서 충분히 고려하지 못한 부분이 있는지 재검토 할 필요가 있음으로 해석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수학 놀이활동 교수매체가 유아의 수학능력 향상에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으므로, 수학 놀이활동 교수매체를 활용하는 방식을 참고하여 보다 효과적인 수학 활동의 계획 및 실행이 가능함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