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강사의 심리적 회복력, 자아효능감과 직업정체성의 관계 연구 : 중국 대학교의 영어 교강사들을 중심으로 /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teacher resilience, self-efficacy and professional identity: evidence from chinese tertiary efl teachers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Author
Source
Subject
심리적 회복력
자아효능감
교사의 정체성
직업정체성
상호 관련성
대학 영어 교강사
Language
English
Abstract
Tertiary teachers play a crucial role in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higher education. However, 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ation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as well as college curriculum reform, tertiary teachers are confronted with unprecedented challenges and there is a growing crisis at home and abroad concerning teacher retention and recruitment. Along with the curriculum reform in colleges and universities, the requirements for teachers’ teaching and scientific research ability have constantly improved. Thereby, some teachers have been caught up in job burnout and even decided to quit as a result of the heavy burden, which has affected their physical health, mental well-being and teaching quality to a large degree. So, under such adversity, how can universities retain teachers and improve their retention qual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us to go deep into the inner world of teachers and understand their cognitive and emotional needs. The present study aims to explore the status quo of teacher resilience, self-efficacy and professional identity of Chinese tertiary EFL teachers and meanwhile tries to find out their interrelationships, and probe into the internal impact factors on teacher resilience, self-efficacy and professional identity, with a view to proposing some measures to strengthen teacher resilience, improve their self-efficacy and reinforce their professional identity, alleviating the situation of the brain drain of tertiary EFL teachers.Research in recent years shows that developing teacher resilience is regarded as one of the effective ways to solve the problem of teacher loss and improve the retention of quality. At the same time, as important components of teachers’ cognition and emotion, teachers' self-efficacy and professional identity also play crucial roles in teacher education and development. At present, most of the studies on the three factors are theoretical studies or empirical studies targeting at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while the research on tertiary EFL teachers seems insufficient. Moreover, these few studies are mostly qualitative studies, and the research on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the three factors is even more scarce. Hence the present study attempts to conduct an empirical study to explore the inner world of tertiary EFL teachers in the context of the internation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and new curriculum reform, in order to promote the implementation of new curriculum reform.The present study intends to address the following questions1. What are the current situations of tertiary EFL teachers’ resilience, self-efficacy and professional identity in the new era?2. Are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ertiary EFL teachers’ resilience, self-efficacy and professional identity in terms of demographic classifications? If yes, what are the major differences? 3. Are there any significant interrelationships among teacher resilience, self-efficacy and professional identity? Based on the research questions above, the researcher adopts a mixed-method study. Quantitative research mainly collects information through questionnaires, and finally the data from 411 respondents are regarded as valid and used for analysis. The participants are tertiary teachers from all over China, covering a variety of different levels of colleges and universities from vocational and technical colleges to key universities. The participants of qualitative research were seven English teachers from different universities who participated in the subsequent semi-structured interviews.The results and findings reveal that Firstly,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male group and the female group in terms of resilience, self-efficacy and professional identity. Statistics are in favor of the male group. Secondly, in terms of resilience,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within comparisons of years of teaching (alone), academic backgrounds (alone), whereas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within comparisons of professional titles (alone). For the four possible interactions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and professional titles, years and teaching and academic backgrounds, years of teaching and academic backgrounds and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professional titles and academic backgrounds), significant differences have occurred. Thirdly, in terms of self-efficacy,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within comparisons of professional titles alone (p=.001),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within comparisons of academic backgrounds and years of teaching experiences. Significant differences occur for all the four possible interactions.Fourthly, similar to the findings in terms of self-efficacy,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within comparisons of professional titles alone in terms of professional identity;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ithin comparisons of academic backgrounds and years of teaching Significant differences occur for three out of four possible interactions, that is, between professional titles and academic backgrounds, professional titles and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and professional titles, academic backgrounds and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고등교육의 지속적인 발전 과정에서 대학 교강사들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고등교육의 국제화와 대학교육과정의 개혁에 따라 대학 교강사들은 매우 심각한 도전에 직면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국내외에서 교강사를 채용하고, 사직률을 낮추는 것은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다. 왜냐하면 대학교육과정 개혁의 심화에 따라 더 높은 교학, 연구 능력을 갖춰야 하는 상황에서 많은 교강사들은 스트레스를 견디지 못해 권태감을 느끼거나 사직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몸과 마음의 건강, 수업의 질에 악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그럼 이런 상황에서 어떻게 해야 교강사의 안정화를 이루어 낼 수 있을까? 필자가 보기에는 교강사의 내면세계, 인지, 그리고 감정 요구를 먼저 파악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교강사의 심리적 회복력, 자아효능감과 직업정체성의 상호 관계에 입각하여 교강사의 직업 발전에 영향을 미치는 내적 요소에 대해서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교강사의 심리적 회복력, 자아효능감과 직업정체성을 고양하고, 교강사의 사직률을 낮추는 것이 본 연구의 목표이다. 최근 몇 년간 나온 연구 성과를 보면, 교강사의 사직률을 낮추고 훌륭한 교강사의 비중을 확대하는 데에 있어 교강사의 심리적 회복력을 키우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동시에 교강사의 인지와 감정의 중요한 구성 요소로서 자아효능감과 직업정체성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교강사의 심리적 회복력, 자아효능감, 직업정체성에 대한 이론적인 접근과 실증연구는 초등학교, 중학교 교직원들을 대상으로 한 것이 대부분이다. 반면 대학 영어 교강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것이 사실이며 세 요소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를 찾아보기는 더욱 힘들다. 이런 상황에서 본 논문은 고등교육의 국제화와 대학 영어교육 과정의 개혁에 입각하여 대학 영어 교강사의 심리적 회복력, 자아효능감과 직업정체성에 대한 체계적인 실증연구를 통해 대학 영어 교강사의 내면세계를 파악하고, 이어서 대학 영어교육의 개혁을 추진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아래와 같은 3가지 문제를 연구해 보았다. (1)교육과정의 개혁 과정에서 대학 영어 교강사의 심리적 회복력, 자아효능감과 직업정체성이 어떠한가? (2)인구 통계학의 측면에서 대학 영어 교강사의 심리적 회복력, 자아효능감과 직업정체성은 현저한 차이성이 존재하는가? 존재한다면 그 차이는 어디에 있는가? (3)대학 영어 교강사의 심리 회복성, 자아효능감과 직업정체성 간에 상관관계가 존재하는가?위의 연구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정량과 정성적 연구방법을 채택했다. 첫째, 정량연구는 주로 설문조사의 방식을 통해 실시했고, 마지막으로 유효 설문지 411부를 확보했다. 본 연구는 전문대학교에서 일류대학교까지 등 다양한 수준의 학교에 근무하는 전국의 교강사들을 설문조사 대상으로 삼았다. 둘째, 정성 연구는 여러 대학교에 근무하는 영어 교강사 7명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본 연구는 그들을 대상으로 반구조적 인터뷰를 실시했다. 연구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첫째, 남성 교강사 그룹과 여성 교강사 그룹을 비교해 보면 그들은 심리적 회복력, 자아효능감과 직업정체성의 측면에서 현저한 차이가 존재한다. 통계 자료에 따르면 남성 교강사 그룹은 더 강한 심리적 회복력, 높은 자아효능감과 직업정체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둘째, 심리적 회복력의 차원을 보면 교직 경력이나 학력 부분에서 남성 교강사와 여성 교강사 두 그룹 사이에 현저한 차이가 없으나 직급 부분에서 현저한 차이가 드러난다. 네 가지 가능한 상호작용 분석(교직 경력과 직급, 교직 경력과 학력, 직급과 학력, 교직 경력, 직급과 학력) 부분에서 모두 현저한 차이가 드러난다.셋째, 자아효능감의 차원을 보면 직급 부분에서 남성 교강사와 여성 교강사 두 그룹 사이에서 현저한 차이가 드러나고 (p = .001), 학력 및 교직 경력 부분에서는 큰 차이가 없다. 그리고 네 가지 가능한 상호작용 분석 부분에서는 모두 현저한 차이가 드러난다. 직업정체성의 차원을 보면 자아효능감의 연구 결과와 유사한 결과가 나왔다. 직급 부분에서 남성 교강사와 여성 교강사 두 그룹 사이에서 현저한 차이가 드러난다. 네 가지 가능한 상호 작용 분석 중 ‘직급과 학력,’‘직급과 교사 경력,’ 그리고 ‘직급과 학력, 교사 경력’ 세 가지 분석은 큰 차이가 없다. 또한, 분석 결과를 보면 대학 영어 교강사의 심리 회복성과 자아효능감, 심리적 회복성과 직업정체성, 자아효능감과 직업정체성 간에 모두 현저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