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작업기억과 제2언어 문장이해 간 관계에서 작업기억 측정과제의 종류와 난이도가 미치는 영향 / Measure-dependent Influence of Working Memory i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English Sentence Comprehension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작업기억
읽기 폭
연산 폭
문장이해
폭 과제
작업기억 측정
작업기억 측정 과제 난이도
작업기억 측정 과제 종류
난이도
종류
Language
Korean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 고등학교 영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작업기억이 인지적 부담이 높은 제2언어 문장이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작업기억과 제2언어 문장이해의 관계에서 작업기억 측정 과제의 종류와 난도가 미치는 영향도 살펴보았다. 실험을 위해 강원도 동해시 소재 B 여자 고등학교에서 2학년 네 개 학급의 63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의 작업기억 용량을 측정하기 위해 난도와 종류를 달리한 총 네 가지의 검사를 진행하였다. 즉, 종류가 다른 작업기억 측정 과제인 읽기 폭과 연산 폭 과제를 마련하였으며, 난도에 차이를 두기 위해 각각의 과제는 상대적으로 난도가 높은 세트와 낮은 세트 두 가지로 수행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의 문장이해 능력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일시적 중의성을 지닌 문장을 활용하였다. 일시적 중의성을 가진 문장의 정확한 이해를 위해서는 재구조화나 이해의 지연이 발생하기 때문에 연구 참여자들의 처리부담이 높아지며, 이러한 고차원적인 과제를 해결할 때에 작업기억의 역할이 두드러질 것으로 예상되었기 때문이었다. 자료 분석은 Pearson 상관 관계분석, t 검정, 회귀분석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교적 낮은 수준의 난도를 가진 읽기 폭과 연산 폭 과제의 처리요소가 학습자들의 제2언어 문장이해와 낮은 수준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회귀 분석에서는 작업기억이 문장이해 정도에 대해서 약 13%정도의 영향력을 가진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제2언어 문장이해에 작업기억이 제한적인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제2언어 문장이해에 학습자들의 작업기억 용량이 비교적 큰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들과는 상반되는 결과이다. 상반되는 결과를 초래한 실험설계 상의 차이점을 파악하여 작업기억과 문장이해 관계를 명확히 파악하고자 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읽기 폭 과제와 연산 폭 과제의 결과가 문장이해 능력 측정 과제와 가지는 상관관계가 비슷한 양상을 보인다는 점에서, 작업기억은 측정 과제에서 필요로 하는 기능과 상관없이 측정 가능한 자질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작업기억 측정 과제의 난도에 차이를 둔 경우 그 작업기억 측정 결과가 문장이해 측정 과제 결과와 가지는 상관관계가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는 점에서 난도는 작업기억의 처리요소를 설계하는데 있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대표적인 학습적성이라고 할 수 있는 작업기억이 제2언어 학습자들의 문장을 이해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함에 있어서 작업기억 측정 과제의 종류나 그 난도가 면밀히 고려되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