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개별차원의 긍정적 행동중재와 지원(PBIS)이 중국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문제행동, 수업참여행동 및 교사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Individual Positive Behavior Interventions and Supports(PBIS) on Problem Behaviors, Participative Behavio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eacher's Quality of Life in China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Author
Source
Subject
개별차원
긍적적 행동중재와 지원
중국
지적장애 초등학생
문제행동
수업참여행동
교사
삶의 질
Language
Korea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individual positive behavior interventions and supports of individualproblem behavior, class participative behavior in elementary school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teacher's quality of life inChina.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three 4th grade students withintellectual disabilities of elementary department in special school of Gcity in China. This research period was from February 2018 toOctober 2018. Th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methods of thisresearch are as follow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indirect assessment using MAS and questionnaire, direct observationwith A-B-C observation records, and functional evaluation of problembehavior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ositive behavioralinterventions and supports of individual dimension used the multiple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individualpositive behavior interventions and supports was effective in reducingthe problem behavio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disabilities. Second, individual positive behavior interventions andsupports was effective in increasing class participative behavior of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ird,individual positive behavior interventions and supports had a positiveeffect on teachers' quality of life.The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t is difficultto generalize the research results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all intellectual disabilities because it is the result of research whichwas three primary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Second, teachers' quality of life is set as a research problem, butthere is a limitation to compare with results of teacher’s and parent’sof quality of life. Third, teacher's quality of life is the theme, but it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results all over the teacher's quality oflife.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is researchwas investigated problem behavior and participative behavior of the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 specialschools, and teacher's quality of life. I hope that positive interventionand support in class and school wide will be execute in China.Second, this research was aimed at elementary students withintellectual disabilities, but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range ofresearch subjects and apply them to kindergarten and secondaryschool students. Third, in this research, I have researched teacher'sthe quality of life, but in the future we more need to researchteacher's and family's quality of life
이 연구는 개별차원의 긍정적 행동중재와 지원이 중국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문제행동, 수업참여행동 및 교사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연구대상은 중국의 G성 Q시의 특수학교의 초등학교 4학년 지적장애학생 3명이었다. 대상학생의 선정은 편의목적 표집으로 하였다. 연구기간은 2018년 2월부터 2018년 10월까지였다. 이 연구의 자료수집과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자료 수집은 문제행동의 기능평가로 간접평가인 설문지와 문제행동 동기 사정 척도(MAS), 직접평가인 A-B-C 관찰기록을통하여 이루어졌다. 개별차원의 긍정적 행동중재와 지원이 대상학생들의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학생의 행동변화는 부분간격기록법을 이용하여 행동발생률을 측정하고 대상자간, 행동간 중다간헐기초선설계를 적용하였다. 긍정적 행동중재와 지원이 교사의 삶의 질에 미치는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면담 설문지를 이용하여 교사의 삶의 질에 대한변화를 수집하고 질적 분석을 하였다.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별차원의 긍정적 행동중재와 지원은지적장애 초등학생의 문제행동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둘째, 개별차원의 긍정적 행동중재와 지원은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수업참여행동을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셋째, 긍정적 행동중재와 지원은 교사의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이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학교 지적장애 초등학생 3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이므로 모든 지적장애 초등학생에게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둘째, 생활교사의 삶의 질을 연구문제로설정하였으나 선행연구가 없어서 생활교사와 어머니의 삶의 질로 비교분석하고 논의하는데 제한점이 있었다. 셋째, 교사와 생활교사의 삶의 질을주제로 정하였으나 그 결과를 삶의 질 전반에 걸쳐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따른다.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는 특수학교 지적장애 초등학생 3명에게 개별차원의 긍정적 행동중재와 지원을 하고 문제행동과 수업참여행동, 교사의 삶의 질을 살펴보았다. 앞으로 학급 및 학교차원의 긍정적 행동중재와 지원이 중국에서도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둘째, 이 연구는 지적장애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나 연구대상의 범위를 확대하여, 유치원, 중등학생을 대상으로 다양하게 실시될 필요가 있다. 셋째, 이 연구에서는 교사의 삶의 질을 연구하였으나 앞으로 더 많은교사 나아가 가족의 삶의 질을 알아보는 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