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생명과학 수업에서 협력적 문제해결학습이 중학생의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협력적 문제해결학습
의사사통능력
Language
Korean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생명과학 수업에서 협력적 문제해결학습(CPS) 형태의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협력적 문제해결학습이 학생들의 의사소통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첫째, 협력적 문제해결학습 형태의 중학교 생명과학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고안하고, 둘째, 고안된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중학생의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의 두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Nelson(1999)의 협력적 문제해결(CPS) 접근법을 바탕으로 중학교 생명과학 ‘생물의 다양성’ 단원의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협력적 문제해결 교수-학습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경기도 소재 A중학교 1학년 4학급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의사소통능력 사전검사를 통해 동질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고 실험집단은 개발된 협력적 문제해결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통제집단은 교과서 위주의 강의식 직접교수법과 소집단 협동학습을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의사소통능력 사전·사후 검사와 생명과학 성취도평가, 협력적 문제해결학습이 이루어진 모둠별 녹화 영상, 학생들의 개인별·모둠별 활동 결과물, 사후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본 연구로부터 중학교 생명과학 ‘생물의 다양성’ 단원의 협력적 문제해결(CPS) 형태의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협력적 문제해결학습이 강의식 직접교수법 및 소집단 협동학습에 비하여 의사소통능력 향상에 긍정적이었으며, 협력적 문제해결학습에 대한 선호도는 기존 수업에 비해 높지만 새로운 형태의 수업에 능숙해지기 위한 몇 차례의 훈련이 필요하다는 결과를 얻었다. 총 10차시로 구성된 교수-학습 프로그램은 ‘(1) 찰스 다윈이 되어 핀치새 부리의 비밀을 알아내보자!, (2) 프로젝트 : ‘지구상의 생물들’의 주제로 특별 전지실을 꾸며봅시다!, (3) 세계 생물 다양성을 지키는 에번져스 - 지구 방위대’의 3가지 문제 및 프로젝트 시나리오로 구성되어 있다. 생명과학 학업성취도평가 결과 협력적 문제해결학습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강의식 직접교수법 및 소집단 협동학습을 실시한 통제집단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며, 이는 협력적 문제해결학습을 통해서도 충분한 학습목표의 달성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 두 집단의 의사소통능력 사후검사 비교 결과 해석능력과 역할수행능력에서 실험집단의 평균점수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각 집단의 의사소통능력 사전·사후 검사 결과 실험집단은 의사소통능력의 해석능력 전체와 하위 요소인 정보수집, 경청 모두에서 매우 유의미한 점수의 증가를 보였으며, 이 밖에도 모든 의사소통능력 능력요소(역할수행능력, 자기제시능력, 목표설정능력, 메시지 전환능력)에서 평균점수의 향상을 나타내었다. 또 요소별 75% 이상의 점수를 획득한 고득점 학생의 수가 해석능력과 하위 요소인 정보수집, 경청 그리고 자기제시능력에서 10% 이상의 학생 수 증가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협력적 문제해결학습 능숙도 설명표를 이용한 분석 결과 문제 및 프로젝트 활동이 진행될수록 학생들의 능숙도가 올라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수업이 진행될수록 모둠원의 참여가 점차 늘어나고 적극성을 가지게 되었다는 다수의 의견이 사후면담에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학생들이 새로운 교수-학습 방법에 어려움을 갖기 때문에 능숙해지기 위한 몇 차례의 적응 훈련이 필요하다는 것을 말해준다.위 연구 결과를 통해,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생명과학 교과 학습을 통해서 협력적 문제해결학습이 가능하며, 이러한 형태의 학습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 중 의사소통 역량의 발달을 가져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더 나아가 협력적 문제해결학습이 의사소통 역량 뿐 아니라 다른 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과 협력적 문제해결(CPS) 형태의 학습이 생명과학 교과 내 다른 단원 및 타 교과로의 적용 확대와 학습 모델 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