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성과급 공정성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상사신뢰의 매개 효과 / The Effect of Merit-Pay Fairness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Mediating Effect of Supervisor Trust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성과급
공정성
상사신뢰
직무만족
조직몰입
Language
Korean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성과급 공정성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상사신뢰의 매개효과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공정성을 분배공정성·절차공정성·상호작용공정성 세가지 차원으로 구분하여,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고, 이 세가지 차원의 공정성이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상사신뢰의 매개 효과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성과급의 분배공정성·절차공정성·상호작용공정성은 상사신뢰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사신뢰는 성과급의 분배공정성·절차공정성·상호작용공정성이 직무만족과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몰입과의 관계에서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과급의 분배공정성·절차공정성·상호작용공정성이 직무만족, 조직몰입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에서 상호작용 공정성이 분배공정성·절차공정성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 상호작용공정성이 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의 결과와는 구분되어, 공정성의 하나의 차원으로 구분될 수 있다는 사실을 실 사례로 확인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조직내에서 공정성과 관련하여 상사신뢰가 매개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는 점과 상사신뢰가 공정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기에 조직에서 상사의 역할이 어떤 것인가에 대한 논의의 기반을 만들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