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양교사 배치 및 영양교육에 관한 학교 관계자들의 인식도 조사 : 서울지역 중ㆍ고등학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awareness of school officials regaring the importance of nutrition teacher placement and nutrition education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영양교사 배치
영양교육
학교관계자들의 인식
Language
Korean
Abstract
성장기에 있는 청소년기는 많은 신체 변화를 가져오는 중요한 시기로 올바른 영양상태를 가져야 하며 이 시기에 형성된 식습관은 변화시키기 어렵기 때문에 학교에서의 영양교사에 의해 이루어지는 영양교육의 필요성이 매우 강조되고 있지만 실제로 중ㆍ고등학교에서의 영양교사 배치 비율이 매우 낮아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영양교육이 어려운 원인이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ㆍ고등학교 관계자들의 영양교사 배치 및 영양교육에 관한 인식도를 조사하여 영양교육 활성과 식생활 교육 방안에 대한 제도를 개선하는데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조사 기간은 2018년 9월 10일부터 9월 30일까지 20일간에 걸쳐 실시하였으며, 설문지는 온라인 설문조사로 총 374명이 참여하였고, 회수된 설문지 중 응답이 빠졌거나 불성실한 것을 제외하고 294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로는 첫째, 월 영양교육 실시 횟수로 월 1회가 가장 많았고, 가정통신문을 통한 영양교육을 주로 실시하며 이와 같은 영양교육의 효율성은 50% 이상의 대상자들이 효율성이 없는 것으로 답변하였다. 영양교육 미실시 이유로는 시간 부족의 답변이 가장 많았으며 영양교육 수업의 문제점으로 행정업무 과다로 응답하였다. 둘째, 영양교사 직무의 인식도 및 신뢰도에서 영양(교)사의 직무 중요도는 영양교육 상담과 급식관련 행정업무는 교장, 교감, 행정실장은 중요도를 낮게 보는 반면 영양사들은 높게 보고 있으며, 위생, 안전, 작업관리 및 검식에서는 모든 유형에서 중요도를 높게 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양교육 담당자의 적합성은 모든 유형에서 영양(교)사가 영양교육 담당자로 적합하다고 선택하였다. 셋째, 영양교사 배치 관련 복무에 대한 인식도에서 교장, 교감, 행정실장은 영양교사 배치 미 희망, 영양(교)사들은 희망한다고 나타났다. 교장, 교감, 행정실장의 영양교사 배치 미 희망 이유로는 영양교사와 영양사의 업무를 동일하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반대로 영양교사의 배치 희망 이유는 급식 운영의 신뢰감 및 만족도 증진을 위해 영양교사 배치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선택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 영양교육의 실시 횟수를 늘리고, 실시 방법도 적극적이고 실질적인 교육 방법을 통해 다양화되어야 할 것이다. 이런 영양교육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제도적으로 영양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어야 하고, 표준화된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는 학교행정 관계자(교장, 교감, 행정실장)들의 영양교사 배치 목적 및 영양교육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영양교육을 위한 관심이 필요하며 영양(교)사의 입장에서도 시간 부족과 행정업무 과다라는 제약이 따르지만, 영양교사제도의 정착과 학생들에게 양질의 영양공급 및 영양교육을 위하여 개인의 능력을 배양하고 실천할 것에 대해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
Despite the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nutrition education provided by nutrition teachers at school, the actual placement of nutrition teachers at school is extremely scarce, making it difficult to provide effective and structured nutrition education at school. In this study, the awareness of school officials regarding the importance of nutrition teacher placement and nutrition education was assessed, in attempt to provide foundational date for improvement in educational program to promote health eating habits. The study period was over 20 days (September 10-30, 2018), and 294 out of 374 online survey questionnaire responses – after excluding incomplete or insincere responses –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The main outcomes of this study include the following: First, the majority of subjects responded that there was one nutrition education session per month, often via a school newsletter. In addition, ≥50% of the subjects believed that the current nutrition eduction was inefficient. The most frequent reason for lack of nutrition education was excessive administrative work. Second, there were various levels of awareness and reliability of the nutrition teacher’s tasks among different school officials. The principal, vice-principal, and the chief of administration believed that nutrition consultation and administrative work for school meal-plan were not important, which the nutritionists thought were important. Meanwhile, hygiene, safety, operational management and food examination were thought to be crucial by all school officials. In addition, all officials agreed that the optimal person to provide nutrition education is the nutritionis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ll administration officials (principal, vice-principal, and chief of administration) do not think highly of nutrition education consultation and administrative works related to school meal-plan while the nutritionists think highly of them. Third, while the operational officials (principal, vice-principal, and chief of administration) did not want nutrition teacher placement, the nutritionists and nutrition teachers wanted placement. The main reason for operational officials to refuse nutrition teacher placement was the perception that nutrition teachers and nutritionists are essentially performing identical tasks. On the other hand, nutritionists and nutrition teachers in favor of the placement for nutrition teachers claimed that these placements will improve reliability and satisfaction of school meal-pla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chool officials need to properly understand the nutrition education, and ensure relevant conditions for nutrition education in order to properly provide nutrition education. In addition, nutrition education needs to be provided more frequently, in different forms of education. To resolve these issues and activate nutrition education, appropriate conditions need to be established so that nutrition education can be provided at institutional level. Furthermore, development of standardized program and increased attention from school officials (principal, vice-principal, and chief of administration) are crucial. From the perspectives of nutritionists and nutrition teachers who are currently working, they need to put their best effort to provide high quality education for the students so that nutrition teacher system can become established, despite the time constraint and excessive administrative work they will need to f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