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전생애적 접근을 통한 패션디자이너의 창의성 연구 / A Study of the Creativity of Fashion Designers Using a Life Span Approach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Author
Source
Subject
패션디자이너의 창의성
브론펜브레너
PPCT
전생애적 접근
Language
Korean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패션디자이너의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소를 전생애적 접근을 통해 분석하여 패션디자인 창의성의 영역특수성을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창의적 패션디자이너의 육성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2000년부터 2017년까지 세계적인 권위를 인정받은 Council of Fashion Designers of America(CFDA)와 British Fashion Council(BFC)에서 수상한 동시대 패션디자이너 10인이며, 연구대상 패션디자이너들의 직접적인 인터뷰를 다룬 New York Times, The Guardian, Vogue의 기사를 연구 자료로 분석하였다. 패션디자이너 10인에 대한 자료 조사와 함께 창의성, 창의성에 대한 네 가지 관점(4P, Person-Process-Product-Press/Place), 그리고 창의성 교육에 대한 종합적인 문헌 고찰을 진행하였다. 이를 토대로 Bronfenbrenner의 인간발달생태학의 PPCT(Process-Person-Context-Time) 이론을 중심으로 패션디자인 분야 창의성의 영역특수성 분석을 위해 모델을 수정하여 제시했다. 수정한 모델은 패션디자이너 개인과 환경의 상호작용을 다룬 과정, 창의적 개인의 특성,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개인의 창의성 발달 과정을 종단적으로 살핀 시간으로 구성되었다. 패션디자이너 창의성 발달의 영역특수성을 PPCT 체계로 살펴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패션디자이너의 창의성 발달에 중요한 과정은 가정에서의 주 양육자와의 상호작용, 함께 협업을 진행하는 대상과의 상호작용, 패션 현장에서 패션디자이너의 능력을 인정하고 지지하는 멘토나 지지자와의 상호작용이 중요 요소로 확인되었다. 둘째, 패션디자이너의 창의성 발달과 관련한 개인적 요소는 신분특성, 개인, 성향 중 개인과 성향에 해당하는 내용이 주를 이루었다. 개인은 경험 자원, 인지적 자원, 경제적 자원, 인적 자원의 요소로 분석되었다. 경험 자원은 모든 패션디자이너에게 있어 창의성 발달에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비구조화된 지식을 쌓아 전문적인 지식을 익히는 데 도움을 주었다. 인지적 자원은 패션에 대한 지식과 기술을 비롯하여 공간지능, 음악지능, 대인관계 지능, 언어지능 등의 다중지능이 공통된 인지적 요소로 도출되었다. 경제적 자원은 다양한 경험을 가능하게 한 충분조건으로, 인적 자원은 협업과 멘토 및 지지자의 맥락 체계와 더불어 설명된다. 성향은 성격과 동기로 구분하여 분석하였으며, 개방성과 외향성, 친화성이 중요한 성격 요소로, 내적 동기와 외적 동기가창의성 발달에 필요한 요소로 꼽혔다. 셋째, 개인을 둘러싼 환경인 맥락 체계에서는 가족 구성원과 교사, 패션 현장의 동료와 멘토 등이 중요한 미시체계의 요인으로 꼽혔으며, 협업을 함께 진행하는 브랜드나 업체의 정체성과 가치관 등이 외체계로, 도시와 기술 발달, 자연 환경, 대중 문화, 다문화 정체성 등이 거시체계의 영향 요소로 확인되었다. 넷째, 연구대상의 삶을 종단적으로 살펴본 시간 체계에 있어서는 아동기와 청소년기에는 인지적 특성과 성격, 동기 발달의 기반을 다지는 미시체계 차원의 발달이 주로 이루어지고 창의성의 잠재기를 가졌으며, 성인초기에는 교육기, 성인기 이후에는 패션 현장에서 다양한 경험을 함으로써 창의성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맥락 체계가 확대되어 성장기와 발달기를 겪어 창의성이 발달함을 볼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창의성의 발달이 개인의 어느 한 생애 어느 한 시기에 집중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전생애에 걸쳐 일어나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다섯째, 이러한 창의성 발달의 요소들은 패션디자이너의 독창성, 융통성, 유창성, 정교성의 요소로 드러났다. 독창성은 패션디자이너 자신만의 색채, 패턴, 소재를 활용하여 스타일을 정립시키거나 새로운 마케팅 전략을 도입한 점에서 두드러졌다. 융통성은 음악, 현대미술, 다양한 브랜드 등 다른 분야의 아이디어나 스타일을 패션에 도입하여 아이디어를 공유한 점에서 나타났으며, 유창성은 다양한 브랜드를 동시에 진행하거나 다양한 상품군으로 확대하여 작업을 확대한 점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정교성은 협업의 반복이나 작업의 반복을 통해 아이디어를 구체화하거나 이미 제출한 아이디어를 다듬는 등의 내용이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패션디자이너의 교육에 대한 제안이 가능하다. 경험, 다중지능, 협업, 멘토 등의 키워드는 실천적 문제 중심의 융합교육의 필요성을 주장한다. 또한, 다양성과 개별성을 인정하는 분위기, 창의적 도시 환경의 조성, 평생교육을 통한 전생애에 걸친 창의성 발달이 패션디자이너의 창의성 함양에 도움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현대 패션디자이너의 삶을 통해 개인의 특성과 개인을 둘러싼 환경의 관계, 개인의 삶 전반에 걸친 종단적 연구를 시행함으로써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종합적으로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패션디자이너의 창의성 교육에 출발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