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통일한국 해양경찰의 창설 방안 : 북한 해양치안기관과의 통합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Maritime Police in the Unified Korea
Document Type
Text
Source
Subject
해양경찰
경찰
북한해군
해양정책
치안통합
해안경비대
인민보안성
통일
북한
해군
해양치안기관
해양관활권
Language
Korean
Abstract
국문초록 2018년 4월 27일, 판문점에서 11년 만에 남북정상회담 이후 ‘통일’이라는 키워드는 사회 전반의 모든 영역에 급속도로 스며들었다. 통일이 된다면 정치·경제·사회·문화·예술·종교·군사 등 모든 영역에서 통합과 변화를 피해갈 수 없을 것이다. 하지만 우리는 70년 동안 분단의 시간을 가졌고 이질적인 환경을 겪으면서 발생할 사회현상 앞에 안보와 치안은 변함없이 지켜져야 한다. 국가 안보는 군대, 국내 치안은 경찰이 일선에 있는 만큼 군대와 경찰은 통일 이후 두 체제의 통합으로 발생될 문제점을 해결해야 할 가장 주요한 국가기관이다. 평화로운 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최선의 방책은 강력한 치안체제의 확립이다. 통일한국의 치안을 책임져야 할 경찰 조직이 어떤 기능과 역할을 하느냐가 관건이 된다. 경찰 조직이 제대로 된 기능과 역할을 하려면 북한 치안기관과의 통합이 순조롭게 이루어져야 한다. 하지만 분단 70년이 지난 현시점에서 남한과 북한의 치안체제, 즉 경찰체제는 너무도 다른 방향으로 발전해왔고 조직체계, 장비, 인력 구성 등에서 큰 이질성을 가지고 있다. 남한에서 경찰 업무를 담당하는 조직은 경찰청과 해양경찰청이며, 이 둘은 영토와 영해로 관할권을 이원화하여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범죄를 예방·수사하며 주요 시설을 경비하는 등 그 밖의 공공의 안녕과 질서를 유지하는 임무를 맡고 있다. 본 연구는 통일 이후 해양경찰의 바람직한 기능과 역할에 관한 주제로 통일 이후 북한 해양치안기관 흡수를 중심으로 진행하였으며, 남북한의 이원화 된 해양치안 조직 통합에 대한 첫 연구로서 그 의미가 있다. 자유민주주의 통일 이후 대한민국 해군 중심으로 북한 해군을 재편하겠지만 북한은 해양경찰 조직이 부재하며 해양치안기관이 우리와 다른 방식으로 편제되어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북한의 해양 관련 법령과 분산된 해양치안기관을 분석하여 통일 이후 해양경찰의 역할을 검토하였다. 상당수의 선행연구는 남한의 해군과 경찰청을 북한의 해군, 인민보안성과 통합하는 기관 대 기관으로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하지만 국가기관은 자국의 체제, 정치, 지리, 문화에 따라 다양한 성격을 가지기 때문에 비슷한 기관이 존재할 뿐 완벽하게 다른 나라의 국가기관을 대체할 수 없다. 하물며 북한은 해양경찰이라는 기관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더욱 이러한 전제를 기준으로 접근해야 한다. 본 논문의 연구 방법은 문헌 연구를 중심으로 하였다. 주로 국내외 학자들의 연구 논문과 저서 등과 국방부, 통일부, 경찰청, 국가정보원, 통일연구원, 북한문제연구소 등에서 발간 한 각종 책자, 자료와 통일한국 등 정기 간행물에 의한 문헌 분석적 연구 방법에 중점을 두고 이루어졌다. 특히 통일을 경험 한 독일과 베트남 등의 해군, 경찰 통합 사례에 대한 분석을 통해 통일 과정에서 나타난 특징과 문제점을 파악하여 남북한의 해군, 경찰 통합과 관련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지금까지 해군, 경찰 통합 방향이나 내용에 대한 고찰은 있었으나 해양치안기관의 통합을 이루는 구체적인 논의가 없었던 점을 감안하여, 남북한 통일 후의 해양치안 행정 과제를 도출하고 그에 따른 단계별 통합 전략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렇게 도출된 결과에 기초하여 통일 과정에 나타날 수 있는 문제와 우리의 안보·치안 여건 등의 특수성을 감안하여 자유민주주의적 기본 체제를 바탕으로 한 미래 지향적인 통일한국의 해양경찰 조직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북한 해양치안 관련법을 분석하여 4개 분야로 북한 해양치안기관을 파악하였다. 파악한 북한 해양치안기관을 바탕으로 해양경찰의 업무와 연계된 부분을 통합하고, 통일 이후 해양경찰 통합의 필요성과 과제, 관할권 및 치안수요 등을 예측하였다.
After the inter-Korean summit in Panmunjom on April 27, 2018, thekeyword "unification" has rapidly penetrated all areas of society. Therewill be many changes and amalgamations in all areas such as politics,economy, society, culture, arts, religion, and military due theunification. However, It is important to preserve national security andsafety in the heterogeneous environment that is occurred by 70 yearsof division. The military and the police are the main nationalinstitutions to solve the problems arising from the unification of thepost-unification system as they are at the forefront of nationalsecurity and domestic security. The best way to maintain a peacefulorder is to establish a strong security system. The function of thepolice organization that should be responsible for the security of theunified Korea is what matters. Integration of inter-Korean policeorganizations would be the first step for the proper function.However, at the present time, 70 years after the division, thesecurity system of South Korea and North Korea, that is, the policesystem, has developed in a very different direction and has a greatheterogeneity in organizational system, equipment and manpowercomposition. The police and the coast guard are responsible for thepolice work in South Korea. They are responsible for territorial andterritorial waters, protecting citizen’s lives and property, preventingcrimes, investigating and suppressing crimes, and guarding majorfacilities. It is in charge of maintaining public well-being and order.This study is about the desirable function and role of marine policeafter reunific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this is the firststudy on the integr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 coastal guards.After the liberal democratic reunification, it is essential to reorganizethe North Korean Navy centered on the ROK Navy since there is nosuch an organization like Korea Coast Guard in North Korea. NorthKorea has been developing slightly different coastal guard systemwhich leads a systematic differences between two Koreas maritimesecurity force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role of marinepolice after reunion by analyzing North Korean marine laws anddecentralized marine police. A number of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on integrating South Korean naval and police forces with NorthKorea's naval force and Ministry of People's Security. However, thenational institutions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irown systems, politics, geography and culture, so there could be thesimilar institutions but they can not completely replace the nationalinstitutions of other countries. In addition there is no coast guardorganization in North Korea, we have to approach with this premiseThe research method of this paper is based on literature review byfocusing on literature and analytical research methods by periodicalpublications such as research papers and books of domestic andforeign scholars, books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Ministry of Unification, National Police Agency, National IntelligenceService, KINU.In addition, I was possible to draw implications for the integration ofthe Navy and the police in South and North Korea by identifying thecharacteristics and problems in the process of unification throughanalyzing cases of integration of navy and police in Germany andVietnam who experienced unification Considering that there is nospecific discussion on integrating maritime security agencies, thisstudy has sought to develop a maritime security administration taskafter the re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and to pursue astepwise integration strategy accordingly. Based on these findings, thisstudy proposes a future oriented unified Korea Coast Guard based ona liberal democratic basic system,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problems that may arise in the process of unification and our securitycircumstances.This study analyzed the North Korean maritime security law andidentified the North Korean maritime security agency as four areas.Then integrated the parts related to coast guard tasks and predictedthe necessity and task of maritime security force integration after theunification, the jurisdiction and security dem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