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영어 신규교사들의 입문교육 경험 및 전문성 신장 / Elementary Novice English Teachers' Induction Experiences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Practices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교사인식
입문교육
반성적 교수능력
신규 영어교사
교수일지
Language
Korean
Abstract
본 연구는 6명의 초등영어 신규교사들의 입문교육 경험과 내용 및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이를 통해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도출해 내고자 하였다. 또한 교수일지 작성을 통한 반성적 교수능력을 활용하여 수업을 객관적으로 성찰하고 교수능력 향상을 위한 노력은 구체적으로 어떠한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각 교사 당 5회분의 교수일지를 수집하였고 이 내용을 보충 및 심화하기 위해서 교사별 개인 심층면담이 2회에 걸쳐서 이루어졌다. 또한 교사들은 본인이 작성한 교수일지를 온라인 기반 학습 공동체에 공유하여 다른 교사들과 함께 영어 수업 및 행정적 업무와 관련하여 자유롭게 질의응답을 주고받았다. 이처럼 다면화된 자료를 분석하고 범주화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먼저, 신규 영어교사들은 신규교사들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직무연수에서 영어교육과 관련된 연수를 받은 경험이 없었다. 이는 신규 영어교사들이 임용고시를 치루고 난 후 영어교사가 되기까지 이들을 돕기 위한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입문경험이 부족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학교에 발령을 받고 난 직후 이들은 경력교사와 같은 수업진행과 업무 수행능력을 요구받아 학교 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교사 정체성 형성에도 어려움을 겪었다. 특히 영어 교사들은 공통적으로 수업 활동의 구성, 교실 영어 사용, 영어 관련 행정적 업무 등 특정한 분야에서 가장 큰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신규 영어교사들은 교사가 된 이후에 교사학습자(teacher learner)로서 능동적인 태도로 연수, 학습공동체, 장학, 컨설팅 등 공식적 입문교육에 참여하고 있었다. 특히 같은 영어 전담 교사로서 근무하고 있는 원어민 및 비원어민 동료 교사와의 관계 형성이 신규 영어교사들에게 영향을 많이 미쳤으며, 대부분의 교사들이 수업 협의를 통해 수업과 관련된 아이디어 및 노하우를 획득할 수 있었다고 서술했다. 또한 임상장학을 통해서 영어 수업과 관련한 관리자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지지를 받는 경우, 신규 교사로서 긍정적인 정체성을 확립하고 교사로서의 자긍심을 느끼는데 도움이 되었다고 밝혀졌다. 셋째, 신규 영어교사들은 전담교사로서 특히 학생들의 통제에 많은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특히 담임교사와 달리 학생들에 대한 개별정보가 부족하고 학생들과의 개별적 래포 형성이 어려운 상태에서 학생들이 문제 행동을 일으켰을 때 대처하는 방법을 숙지하고 있지 못했다. 이는 교사로서의 자신감 하락 및 부정적 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였다. 하지만 점차 교사들은 시간이 지날수록 학생들에게 인성 요소를 직접적으로 지도하고 담임교사와의 교류를 통해서 위의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모습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신규교사들은 시간이 지날수록 교사로서의 확고한 신념을 확립해 나가려 했으며 특히 영어 학습 부진아 학생들을 위한 지원에 많은 관심을 쏟았다. 하지만 교과서, 교사 커뮤니티 외 다양한 교수 자료가 부족하고 과도한 업무로 인한 시간 부족으로 인해서 학급 내 수준차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제도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서술했다. 다섯째, 신규 영어교사들은 교실영어 사용 비중 및 활용 방법에 대한 고민을 가지고 있었으며 특히 시간의 효율성, 학습자들의 이해 정도에 따라서 교실영어 사용의 비중에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연구에 참여한 여섯 명의 신규 교사들은 대체적으로 체계적인 입문교육을 경험하지 못하였지만 다음과 같은 노력을 통해서 자신의 영어전문성을 향상시켜 나갔다. 첫째, 신규 영어교사들은 수업에 대한 남다른 열정을 바탕으로 학습자들의 흥미 및 수준에 알맞은 실제적인 수업 자료를 능동적으로 탐색하고 이를 재구성하였다. 둘째, 신규 영어교사들은 점차 주체의식을 가지고 영어과 관련 연수 프로그램과 학위 과정에 참여하였다. 마지막으로 신규 영어교사들은 교실영어 사용비중 및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본인의 개인적 여가시간을 영어 실력 향상에 투자하거나 의도적으로 발화 속도 조절하기, 명확하게 말하기, 제스처 사용하기 등 다양한 전략을 토대로 교실영어 사용 비중을 높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영어 교육 정책가들은 신규 영어교사들에게 제공되어야 할 공식적 입문교육 프로그램 및 교사연수 프로그램을 계획할 수 있다. 또한 신규 영어교사들이 민주적이고 수평적인 관계에서 상호 교류를 하는 모습을 토대로 동료 교사들끼리 소통을 활발히 할 수 있는 학습공동체 및 동아리를 구성하는 정당성도 이끌어 낼 수 있다. 이에 나아가서 예비교사교육 현장과 학교 현장간의 괴리감을 해소할 수 있도록 영어에 관심이 있는 예비교사들이 장기적인 관점에서 영어 전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실습 현장에서 영어 수업 실연 기회를 확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content and methods about the induction of six elementary novice English teachers and to suggest ways to improve them. The study attempted to find specific ways to improve teaching skills by examining teachers’ journals which served as a means for the teachers to reflect on teaching ability. For this purpose, journals were collected and two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ach teacher to complement the contents of the journals. The novice English teachers submitted journal entries through an online-based learning community where they also freely interacted with other teachers about English classes and administrative affairs. The multifaceted data was analyzed and several results were drawn.The teachers in the study reported that at their first year of teaching, they had little experience participating in formal English teacher education programs for novice teachers. This implies that novice teachers are not gaining systematic and effective induction experiences before they are official appointed as an English teacher. This seems to be because shortly after the teachers were issued to a school, they were immediately immersed in teaching and administrative work which led to a negative impact on teacher identity and adaption to the school. The novice English teachers had difficulties in areas such as organizing class activities, classroom English use, and English-related administrative tasks. The novice English teachers in the study were proactive and reported experience participating in formal induction programs, teacher training programs, advanced degree programs, and consulting as productive teacher learners as time went on. The relationships they had with the native English teachers influenced their teaching and consulting enhanced their pedagogy. In addition, by participating in clinical supervision and receiving support from their supervisors, the novice English teachers were able to establish a positive identity and enhance their self-esteem as an English teacher. Novice English teachers also experienced difficulties because they were specialist teachers who were not assigned a homeroom. Due to this role, English teachers had trouble dealing with students’ misconduct because they did not possess sufficient information about individual students and had difficulty forming rapport with students. This also led to the decline of confidence as a teacher and formed negative identities. Over time, the data showed that the novice English teachers’s conviction as teachers matured over time. However, the lack of diverse teaching materials, teacher communities, and time due to excessive work loads prevented the teachers from solving problems related to the mixed proficiency of the students in their classes. Thus, it seems that institutional support is needed. As for English use, the novice English teachers were concerned about English in the classroom and how to use it appropriately. In particular, the teachers’ use of English differed on how class time was managed by the teachers and the level of students.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although the six novice English teachers did not experience sufficient systematic and effective induction education in general, they enhanced their professionalism as an English teacher through several ways. First, the novice English teachers took the initiative to actively constructed authentic teaching materials that matched the interests and level of learners. Second, the teachers gradually participated in English-related teacher training programs and gained a sense of ownership. Finally, to maximize the frequency and efficiency of classroom English use, the teachers invested their off-work time to improve their English competence and engaged in reflective teaching practices. The implication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policy makers should design and implement formal English teacher induction programs and teacher training programs that are customized for novice teachers. As novice English teachers seem to benefit from interacting with peers, more learning communities and learning clubs should be form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