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n analysis of interaction patterns in an EFL elementary English school classroom in Korea / 한국 초등학교 교실 영어 수업에서의 상호작용 유형의 분석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Language
English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nteraction patterns between a teacher and her students as well as among the students themselves in a Korean elementary English classroom by analyzing classroom talk and focusing on the types of the teacher’s questions and feedback as well as the use of L1 and L2. This analysis is also used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such interaction on the students’ communicative moves in English in a less teacher-controlled classroom. A female teacher in a 6th-grade class of an elementary school in Gyeonggi Province initiated and completed the data collection. This study included data from thirty video recordings for forty minutes of class in addition to audio recordings, group interviews, reflective field notes, self-assessments, and portfolio collections. The transcribed data were analyzed adopting conversation analysis developed by Sacks, Schegloff, and Jefferson (1974). The unit of analysis in this study is based on the turn which conveys a speaker’s contribution to a classroom talk by speaking audibly and in most cases, holding the floor. The data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sui’s (1994) framework and Verplaetse’s (1995, 2000) coding system of three scaffolding strategies (i.e., scaffolding initiation move, response elicitation act, and feedback). Barnes and Todd (1995), Dillon (1984, 1990) and Cazden (1984)’s studies were also used to analyze the classroom talk to determine the ways that it helped to foster collaborative meaning-making in small group interactions.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indicated that the interaction patterns varied among participants of three different groups: the teacher-initiated talk (e.g., T-S talk) vs students-initiated talk (e.g., S-T talk & S-S talk). At the beginning stage of a lesson, the teacher-initiated talk made up the majority of talk in English, and facilitated the students’ involvement in the classroom activities through a meaning-negotiation process rather than mechanically produced questions and answers. Students did not merely respond to the teacher’s questions but they also initiated talk in the form of S-T talk and S-S talk. Even though the number of interaction patterns was limited, and the students’ talk was very simple, typically consisting a word or two words, the rate of interaction gradually increased and the flow of interaction became smoother as the semester progressed. The students were more willingly to interact with the teacher and even with each other, which helped them to construct a foothold for their language development.
본 연구는 한국 초등학교 교실 영어 수업 담화에 나타난 교사와 학생, 학생들 간의 상호작용의 유형을 탐색적으로 분석하고 이러한 상호작용 과정에서 나타나는 교사의 발화를 L1과 L2의 사용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리고 교사의 발화가 학생들의 언어 학습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조사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상호작용 유형에 대한 이러한 분석을 통해 교사의 통제가 적은 학습자 중심의 교실 영어 수업에서 학생들의 실질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음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는 경기도에 소재한 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한국인 여교사가 한 학기동안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40분의 수업에 대한 30 편의 비디오 녹화 및 오디오 녹음, 그룹 인터뷰, 수업 후 교사의 필드 노트, 매 단원을 마친 후 학생들의 자기 평가 및 포트폴리오를 포함한다. 전사된 자료는 Sacks, Schegloff, Jefferson (1974)에 의해 개발된 대화 분석을 채택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분석 단위는 화자의 발화가 청각적으로 구분해서 전달되는 순서에 기반하여 교실 담화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본 데이터는 Tsui (1994)의 프레임 워크 및 Verplaetse (1995, 2000)의 3가지 스캐폴딩 전략적 코딩 시스템 (즉, 스캐폴딩 전략적 시작 이동, 응답 추출 유도 및 피드백)에 따라 분류하였다. Barnes and Todd (1995), Dillon (1984, 1990) 및 Cazden (1984)의 연구는 학생들의 소그룹내의 상호작용에서 협업적 의미 형성을 신장할 수 있는 학생 발화를 분석하는 데 활용하였다. 본 연구는 참가자들 사이의 상호작용을 3가지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즉 교사 주도화(예: T-S 발화)와 학생 주도 발화는 S-T 발화 및 S-S 발화로 나누었다. 수업의 도입 단계에서는 교사 주도 발화가 대부분을 구성했으며 교사는 주로 영어를 사용하였다. 이 과정에서 교사는 단순한 질문 및 답변보다는 의미 협상 과정을 통해 학생들이 교실 활동에 많이 참여하도록 했다. 이에 학생들은 교사의 질문에 단순히 답변만 하는 것이 아니라 S-T 및 S-S 대화에서 발화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비록 상호 작용 유형의 수가 제한되어 있고 학생들의 발화가 한 단어 또는 두 단어로 구성된 매우 단순한 경우임에도 불구하고 교실 영어에서 교사와 학생 그리고 학생들 간의 상호 작용의 빈도는 점차 증가하였고 상호작용의 흐름은 더욱 부드러워졌다. 학생들은 교사와의 상호작용뿐만 아니라 학생들 간의 상호작용을 증대함으로써 언어 발달을 위한 발판을 마련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