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뉴스와 적대적 매체 지각 그리고 의견표명의 관계 : 중국유학생의 한국발 사드보복 관련 뉴스 이용을 중심으로 / Relationship between News and Hostile Media Perceptions and Opinion Expression; Focused on the use of news related to THAAD retaliation of chinese students from Korea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Language
Korean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how Chinese students have a negative perception of the Korean news media, how to express their views during the formation process, and how media use affects opinion expression according to hostile perception, The paper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behavior, hostile media perception, and opinion expression, focusing on specific issues more broadly. The main contents of this thesis has four aspects. First, it is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use of Korean news related to THAAD retaliation on the perception of hostile media of Korean media by Chinese students. Second, does the perception of hostile media in the Korean news of Chinese students affect the intention of expressing of the THAAD reprisals? The Third research question is that the impact of the interpersonal communication factors on the hostile media perception of the korea THAAD news. Lastly, I would like to investigate how interpersonal communication with Korean influences the intention of expressing opinions related to THAAD retaliation.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by examining the research questions. As the result, firstly, The more chinese students use the Korean website news and SNS news, the more likely they will have a hostile perception of Korean Internet news and SNS news. Secondly, the hostile perception of TV news had a slight negative impact on the expression intention of the opinion in support of the THAAD. Finally, qualitative aspects rather than quantitative aspects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have a greater impact on amplifying or reducing the hostile perceptions of Korean news on THAAD retaliation. The more Chinese students feel emotional or informed support from Koreans, the less hostile perception of Korean news about THAAD retaliation.Key Words: News media use, Hostile media perception, Opinion expression, Minority group, Chinese student
본 연구는 한중 양국이 사드문제가 첨예한 갈등을 겪는 상황에서 중국인들의 한국 미디어가 중국(인)을 왜곡해서 보도하고 있다는 편향된 인식과 여론에 대한 지각에 주목하고, 적대적 지각 개념을 이론적 틀로 선정해 이러한 미디어 이용과 적대적 매체 지각 그리고 의견표명 의도의 관계를 경험적으로 검증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논문의 주요 연구내용은 크게 네 가지이다. 첫째, 중국인 유학생들이 사드보복 관련된 한국 뉴스 이용이 한국 매체에 대한 적대적 매체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둘째, 중국인 유학생들의 한국 뉴스 매체에 대한 편향성 인식이 즉 적대적 매체 지각이 사드보복 관련된 의견표명의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세 번째 연구문제는 중국 유학생들이 한국인과의 대인 커뮤니케이션 요인이 적대적 매체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중국 유학생들이 한국인과의 대인 커뮤니케이션 요인이 사드보복 관련된 의견표명의 의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문제를 알아보는 것으로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보면, 첫 번째 결과는 한국 웹사이트 뉴스와 SNS뉴스를 많이 이용할수록 한국 인터넷뉴스와 SNS뉴스에 대한 적대적 지각을 갖게 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둘째, TV 뉴스에 대한 적대적 지각이 의견표명 의도에 있어서는 사드배치를 지지하는 의견표명에 미약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대인커뮤니케이션의 양적 측면보다는 질적 측면이 사드보복 관련 한국뉴스의 적대적 지각을 증폭시키거나 감소시키는데 더 큰 영향이 있다. 중국인 유학생들이 한국인으로부터 정서적/정보적 지지를 많이 얻는다고 느낄수록 사드관련 한국 뉴스를 덜 적대적으로 지각한다는 것이다. 키워드: 뉴스 미디어 이용, 적대적 매체 지각, 의견표명 의도, 소수집단, 중국인 유학생
본 연구는 한중 양국이 사드문제가 첨예한 갈등을 겪는 상황에서 중국인들의 한국 미디어가 중국(인)을 왜곡해서 보도하고 있다는 편향된 인식과 여론에 대한 지각에 주목하고, 적대적 지각 개념을 이론적 틀로 선정해 이러한 미디어 이용과 적대적 매체 지각 그리고 의견표명 의도의 관계를 경험적으로 검증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논문의 주요 연구내용은 크게 네 가지이다. 첫째, 중국인 유학생들이 사드보복 관련된 한국 뉴스 이용이 한국 매체에 대한 적대적 매체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둘째, 중국인 유학생들의 한국 뉴스 매체에 대한 편향성 인식이 즉 적대적 매체 지각이 사드보복 관련된 의견표명의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세 번째 연구문제는 중국 유학생들이 한국인과의 대인 커뮤니케이션 요인이 적대적 매체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중국 유학생들이 한국인과의 대인 커뮤니케이션 요인이 사드보복 관련된 의견표명의 의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문제를 알아보는 것으로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보면, 첫 번째 결과는 한국 웹사이트 뉴스와 SNS뉴스를 많이 이용할수록 한국 인터넷뉴스와 SNS뉴스에 대한 적대적 지각을 갖게 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둘째, TV 뉴스에 대한 적대적 지각이 의견표명 의도에 있어서는 사드배치를 지지하는 의견표명에 미약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대인커뮤니케이션의 양적 측면보다는 질적 측면이 사드보복 관련 한국뉴스의 적대적 지각을 증폭시키거나 감소시키는데 더 큰 영향이 있다. 중국인 유학생들이 한국인으로부터 정서적/정보적 지지를 많이 얻는다고 느낄수록 사드관련 한국 뉴스를 덜 적대적으로 지각한다는 것이다. 키워드: 뉴스 미디어 이용, 적대적 매체 지각, 의견표명 의도, 소수집단, 중국인 유학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