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가격추세 추종 식 증권 매매방법의 이론적・실증적 근거:한국의 사례 / Theoretical and Empirical Foundations of Trend Following Trading of Securities: A Korean Case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Author
Source
Subject
Language
Korean
Abstract
증권시장에서는 각종 증권들을 그 가격 추세에 따라 매매하면 안정적으로 자본이득을 수취할 수 있다. 이것은 한국 증권 시장에서 무작위로 주식 세 종목과 파생 금융상품 두 개를 선택하여 이것들을 5, 15, 33 등과 같은 가격 이동평균선들의 추세에 편승하는 ‘5이동평균선 기법’으로 매매할 경우 잘 확인된다. ‘5이동평균선 기법’과 같은 가격추세 추종의 매매 방법은 견고한 이론적, 실증적 근거를 갖고 있다. 쉴러의 행동경제학 이론은 가격 추세가 형성되어 지속되는 것을 피드백 순환의 효과로 잘 설명해 주고 있으며, 마르크스의 가공자본 이론은 주식의 시장가격이 큰 폭으로 움직이는 것은 주식 가치의 형성 메커니즘 자체에 내재되어 있는 투기적 요소에 기인하는 것이라고 설명해 줌으로써, 두 이론은 상호 보완적으로 결합하여 ‘5이동평균선 기법’ 같은 가격추세 추종의 매매 방법에 대한 이론적 근거의 역할을 하고 있다. 또 코벨의 추세추종 전략은 사례에서의 ‘5이동평균선 기법’과 방법론이 같아 코벨이 제시하고 있는 검증이나 실증적인 성과와 실험은 곧 ‘5이동평균선 기법’ 대한 실증적 근거가 되고 있다. 그러나 쉴러의 이론은 증권의 시장가격이 큰 폭으로 움직이는 것을 설명하는 데에서는 결함이 있다. 이 결함이 마르크스의 가공자본 이론으로 대체·보완될 경우 ‘5이동평균선 기법’을 포함한 가격추세 추종의 매매 방법은 일층 견고한 이론적 기반을 갖게 될 것인 데, 이것을 구명하고 주장하는 점에 이 논문의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