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진 활동을 통한 유아의 표현 경험 / Children's Expression Experience through Photographing ACTIVITIES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사진
표현 경험
Language
Korean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가 사진 매체를 통해 주변 환경을 탐색하여 대상을 찍고, 친구들과 사진을 공유하는 과정에서 어떠한 표현 경험을 하는지 알아보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위와 연구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사진 활동을 통한 유아의 표현 경험은 어떠한가? 본 연구에 참여한 유아는 충청북도 청주시에 소재한 B초등학교 병설유치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12명(남아 5명, 여아 7명)이다. 본 연구는 2017년 7월 18일부터 2017년 10월 11일까지 주 2~3회씩 걸쳐 3개월 동안 자유선택활동 시간에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유아가 사진 매체를 가지고 주변 환경을 탐색하여 찍고 찍은 사진을 또래 친구들과 공유하는 과정으로 실행되었다.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관찰기록, 전사자료, 연구일지, 유아들이 찍은 사진 자료들로부터 질적 연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 삼각측정법(Merriam, 1988/ 1994)에 의해 전사, 코딩, 주제의 발견으로 세 단계의 과정을 거쳐 범주화 한 후, 해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진 활동을 통한 유아의 표현 경험은‘새로움 발견’,‘적극적인 표현’,‘친구와 소통’으로 범주화되었다. 첫째, 일상생활에서의 새로움 발견은‘익숙한 일상의 새로운 발견’,‘숨겨진 것을 새롭게 발견’으로 범주화되었다. 각 유아마다 자신의 사진기를 가지고 주변 환경을 탐색 및 탐구하면서 스스로 주변 환경에 대해 지식을 구성해 나가고 익숙했던 일상에서의 발견의 기쁨을 경험하였다. 이로 인해 민감한 시각이 증가되어 익숙했던 일상에서의 새로움을 발견하며 주변 환경에 더욱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일상을 새롭게 인식하게 된 유아는 탐색의 범위를 확장하였고, 이러한 경험은 또 다른 발견으로 이어지게 되어 주변 환경에 아름다움을 느끼는 미적 체험의 경험을 하게 되었다. 둘째, 적극적인 표현에서는‘다양한 방법으로 찍어보기’,‘나만의 사진 세계 만들기’,‘반성적 사고하기’로 범주화되었다. 새롭게 다가온 일상에 아름다움을 느끼고 깊은 관심을 가지게 된 유아는 적극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끊임없이 탐색하여 사물이나 신체, 매체의 특성을 사용하며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을 시도했다. 자기표현의 시도가 거듭될수록 사진을 찍는 자체에 몰입하게 되었고 표현하는 즐거움을 경험하며 무한한 표현할 수 있음을 인지하게 되었다. 유아는 자신만의 새로운 시도로부터 다양한 표현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경험회상, 형상화, 즐거운 상상으로 나타내는 반성적 사고뿐만 아니라 자신의 것으로 창의적으로 표현 및 의미화 하는 과정을 거쳤다. 풍부한 심미적 경험을 한 유아는 삶에 대한 이해의 지평이 확장되어 삶의 풍요로움을 느끼게 되었다. 셋째, 사진 활동을 통한 친구와 소통에서는‘친구와 관계 맺기’로 나타났다. 각자의 사진기를 가지고 혼자서 원하는 대상을 찍는 활동은 일상생활과의 만남뿐만 아니라 유아들 간의 만남으로 이끌어지면서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고 또래 간의 친밀감 형성의 기회를 가질 수 없었다. 사진 활동은 각자 개인 사진기로 사진을 찍는 과정이지만 사진 속에 자신의 생각을 잘 담아내기 위한 노력으로부터 친구들끼리 물건을 잡아 주거나 위치를 알려주는 등 서로 도와주며 함께하는 즐거움을 느끼고 있었다. 또한, 찍은 사진을 친구와 공유하는 과정에서 나와 다른 사람의 관점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모습까지 보였다. 결국 이는 또래 간의 긍정적인 관계 형성에 도움을 주었다. 결론적으로 새롭게 다가온 일상에 깊은 관심을 가지게 된 유아는 사진 매체를 통해 자신의 생각을 잘 드러내기 위해 다양한 표현의 방법을 경험하여 자신만의 표현 방법을 구축하게 되었다. 이렇게 개인적으로 노력하는 모습뿐만 아니라 친구들과 협력하는 경험까지 하면서 함께하는 기쁨을 느끼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아들에게 사진 활동이 주변 환경의 새로움을 발견하고, 자기 표현하는 것을 즐거워하고, 주변 사람들과 소통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는데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