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중학교 음악 교사용 지도서 분석 : 전통기악곡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Middle school Music teacher's Guide for 2009 Revised Curriculum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2009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음악 교사용 지도서
전통기악곡
Language
Korean
Abstract
음악교육은 음악을 감상하고 연주하는 것을 포함한 다양한 지식을 습득 할 수 있다. 음악교육에서 다루는 음악 중 ‘국악’은 우리 민족의 음악이며, 우리나라 교육과정에서 더욱 강조되고 있다. 국악교육을 통해 우리 민족 고유의 정서를 이해할 수 있고, 민족적 자긍심을 갖게 될 수 있다. 또한 우리나라의 전통문화를 계승하여 문화 발전에 이바지 하고, 세계 시민으로서 문화적 소양을 지닌 전인적 인간이 되는데 도움이 되므로 음악교육에서 중요하게 다뤄야 할 분야라 본다.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음악 교사용 지도서에 수록된 전통기악곡의 종류와 학습목표, 학습지도안, 보충자료 등을 출판사별로 살펴보고 전통기악곡의 내용 파악과 교사용 지도서의 전통기악곡 수록체계 및 내용을 분석하여 향후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 제작에 기초자료로 활용되는 것이 목적이라 하겠다. 본 연구를 통한 결과로는 첫째, 중학교 음악 교사용 지도서 11종중에서 전통기악곡이 가장 많이 수록되어 있는 지도서는 ‘현대음악’이다. 반대로 가장 적게 수록되어 있는 지도서는 ‘음악과 생활’이다. 그리고 수록된 전통기악곡의 곡목은 ‘영산회상’, ‘대취타’, ‘시나위’ 외 11곡이며, 중학교 음악 교사용 지도서 11종에 공통적으로 수록되어 있는 곡은 ‘수제천’과 ‘산조’이다. 둘째,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음악 교사용 지도서 11종에 수록된 전통기악곡을 내용 영역별로 분류하였을 때 대부분이 감상 영역에 해당한다.셋째, 교사용 지도서 11종에 수록된 전통기악곡의 학습목표, 학습지도안을 분석 해 보면서 학습목표가 분명하게 제시되어야 할 필요성, 학습목표와 지도안 내의 학습내용이 연관성 있게 제시되어야 할 필요성을 알 수 있었다. 넷째, 교사용 지도서 11종에 수록된 전통기악곡 학습지도안의 내용과 지도서에 제시된 수업시수가 실제수업에 적용하였을 때를 고려하여 학습내용 및 시수를 제시해야 한다.끝으로 교사용 지도서에서는 전통기악곡의 수를 보완하고 학습자의 흥미유발에 도움이 될 활동을 보완하여 구성한다면 유익하고 폭 넓은 전통기악곡 교육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의 결과가 앞으로 교사용 지도서에 수록된 전통기악곡 부분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Musical education allows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to play diverse music and enjoy it. The ‘Guk Ak’ dealt in musical education is our people’s music and is being emphasized more in Korean education process. Through the education of National Music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Korean people’s emotions and nurture pride about our ethnicity. Furthermore, by inheriting the traditional culture of our country, it is possible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our culture. Which in turn, helps the learner become a well rounded global citizen of cultural refinement, marking its importance in the education of musical education. Thu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the material listed in Middle School music teachers’ textbooks by publishers, analyze the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al music listed and pave the foundation for them to be used as basic material in the future textbooks and manuals for teachers. Firstly, research has found that among the 11 textbooks published for use by music teachers, the book that has the most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al Music is ‘Modern Music.’ In contrast, the book that has the least amount is ‘Music and Life.’ The included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al Music songs include 11 songs like ‘Yeongsanhoesang’, ‘Dae Chwita’, ‘Sinawi’ and two songs included in all 11 books are ‘Sujecheon’ and ‘Sanjo.’ Secondly, when categorizing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included in the textbooks for Middle School music teachers according to the 2009 revised curriculum, most of them belong to the appreciation area. Thirdly, after analyzing the instructional objectives and methods for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al Music the need to clearly set instructional objectives and make them relevant to the actual learning activities was made apparent. Fourthly, the instruction schedule listed in the 11 types of textbooks and the number of days required for education must take the actual number of days that will be allowed for the full instruction of the course into consideration. Finally, by supplementing the number of SONGS in the textbooks for a teacher and introducing activities designed to entice the interests of the students, we would be able to expect a more beneficial and wider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al Music education than before. I hope the results of this paper will help with writing the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al Music parts included in the textbooks of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