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테니스 동호인들의 용품 선호도와 구매성향의 관계 / The relationship the goods’ preference and the Purchasing Propensity of the tennis affinity members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Author
Source
Subject
테니스
테니스용품
테니스동호인
용품선호도
구매성향
Language
Korean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oods preference of an affinity group of tennis on Buying Propensity in order to provide it to an affinity group of tennis, sport goods company and leaders as a basic data.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considered 300 people out of the participants in the following listed competitions as target. The recruiting group was an affinity group belonging to Jeonnam, Gwangju tennis club and the recruitment had been performed from April, 2016 to the end of June, 2016. April 19: The 8th Gwangju Metropolitan City Grand Prix, Jeonnam Sports Women’s Tennis Competition, 4/39-5.1: The 15th Wando Jang Bo Go Grand Prix, Gwangju, Jeonnam Sports for All Tennis Competition, 5/14-15: The 11th Jindo-gun Governor Grand Prix, Jeonnam, Gwangju Sports for All Tennis Competition, 5/29: The 29th Suncheon City Chairman Grnad Prix, Jeonnam, Gwangju Sports for All Tennis Competition.In addition, data processing has been performed using Korean SPSSWin22 Version, and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t-test and one way anova were performed as methods of analysis according to the data processing of research hypotheses, an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Scheffe was performed. For the data processing like above, the significance level of all statistical analysis was set to p
본 연구는 테니스 동호인들의 용품선호도와 구매성향의 관계를 규명하여 테니스 동호인 및 스포츠용품업체와 지도자들에게 기초자료로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대상은 2016년 4월부터 2016년6월말까지 광주, 전남의 테니스 클럽에 소속된 동호인을 모집단으로 4월19일 제8회 광주광역시장배 광주. 전남생활체육여성테니스대회, 4월 30일-5월 1일 제15회 완도장보고배 광주. 전남생활체육테니스대회, 5월 14일-15일 제11회 진도군수배 전남. 광주생활체육테니스대회, 5월 29일 제26회 순천시 의장배 전남. 광주생활체육테니스대회에 참가한 동호인 중에 3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자료처리는 한글 SPSS WIN 22 Version을 이용하여 연구가설의 자료처리 목적에 따라 분석한 방법으로는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독립표본 차이검증(Independent t-test)과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집단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사후검증(Scheffe)을 실시하였다. 위와 같은 자료처리를 위해서 모든 통계분석의 유의수준은 p<.05 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성별, 연령, 학력, 월수입, 참여경력, 주당 참여 일에 따른 구매성향(객관적, 주관적) 차이 검증에서는 객관적 구매성향은 연령, 학력에서, 주관적 구매성향은 성별, 연령, 학력, 월수입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둘째, 용품선호도(라켓, 볼, 신발의 구입주기, 구입비용, 구입정보, 구입처, 구입브랜드)에 따른 구매성향(객관적, 주관적) 차이 검증에서는 객관적 구매성향은 라켓의 구입주기, 구입처, 브랜드에서, 볼의 구입주기, 구입비용, 구입정보, 구입처, 브랜드에서, 신발의 구입비용, 구입처에서, 주관적 구매성향은 라켓의 구입주기, 구입비용, 구입정보에서, 볼의 구입주기, 구입비용, 구입정보, 브랜드에서, 신발의 구입비용, 구입정보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따라서 인구사회학적 특성(성별, 연령, 학력, 월수입, 참여경력, 주당 참여 일에 따른 구매성향(객관적, 주관적) 차이 검증에서는 연령, 학력이 구매성향에 있어서 공통된 차이를 나타나 연령, 학력에 따라 구매성향의 차이가 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으며, 용품선호도(라켓, 볼, 신발의 구입주기, 구입비용, 구입정보, 구입처, 구입브랜드)에 따른 구매성향(객관적, 주관적) 차이 검증에서는 라켓은 구입주기에서, 볼은 구입주기, 구입비용, 구입정보, 브랜드에서, 신발은 구입비용에서 공통된 차이를 나타났으며, 이는 라켓은 구입주기, 볼과 신발에서는 구입비용에서 차이가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