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형마트 쇼핑 개선을 위한 사용자 경험 디자인 연구 : 시스템 디자인 개발 중심으로 / User's Experience Design Research for Improving Hypermarket Store Shopping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Author
Source
Subject
Language
Korean
Abstract
현재의 마트쇼핑은 1930년대에 시작됐으며 50~60년대에 전 세계적으로 발전하여 점포규모에 따라 여러 세분이 되어 그 중에 대형마트가 제일 대규모로 꼽힌다. 온라인 시대에 접어든 이후에는 다양한 쇼핑방식을 개발했지만 점포쇼핑이 원래의 방식으로 판매해서 사용자 경험에 큰 변화가 없다. 이로 인해 대형마트와 다른 업체 및 다른 브랜드 간에 경쟁이 격화 되었고 해결점을 찾기 어려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형마트가 치열한 경쟁에서 차별적 우위를 점할 수 있는 목적을 두고 기회영역을 발견하였고 사용자 경험을 기반으로 쇼핑패턴을 맞춰 디자인을 제출하였다. 결론은 일반 사용자들이 대형마트 점포쇼핑에 다섯 가지 단계(찾기, 비교, 추천, 계산, 배송)에 대한 불만에 집중해서 개선해야 하는 니스를 가지고 있으니 사용자 경험 디자인 방법론으로써 대형마트 쇼핑 시스템을 전반적으로 개선하였다. 신기술(Beacon, 검문대, NFC)을 응용해서 새로운 쇼핑환경을 만들며 모바일 UI디자인으로 온·오프라인 서비스를 결합해서 매장과 모바일 물 간에 장점을 취하고 단점을 보완하고자 한다. 이 연구를 통하여 대형마트 대표하는 쇼핑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자의 행위에 따라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니스를 만족시킬 수 있는 옴니채널 디자인 방안으로 대형마트를 스마트화 될 것을 기대한다.
Market shopping were formed in 1930's and developed to the world in 1950's~1960's. Market according to scale separates into different store forms and in these store forms hypermarket is the largest one. After we got into on-line era, a lot of shopping patterns were developed, excepting store shopping. So the competition between different shopping trades and market brands became white-hot without breaking. So in this paper to develop hypermarket shopping till holding an advantage in the fierce competition, I found some opportunity areas and changed shopping pattern by design work which based on User's Experience design theory. The conclusion of this paper is that users dissatisfied about 5 steps(search, comparison, recommendation, checkout, delivery) in hypermarket store shopping and they required improvement. Therefore, made the whole design following the User's Experience design process, like rebuilding the shopping environment through new technology and connecting store and mobile mall with mobile shopping through UI design in on & off line integration survice. This paper solved some problems and meet some needs which happened in shopping process by Omni Channel design in order to improve hypermarket which represents all the similar shopping places, and expected them to become more intellig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