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시각 자료 해석 글쓰기 교육 연구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Language
Korean
Abstract
국문초록 시각 자료 해석 글쓰기 교육 연구 본 연구는 인포그래픽의 이해와 창작 활동을 통하여 시각 자료의 자체 논리를 습득하고 시각 자료 해석 능력을 배양하여 시각 자료 해석 글쓰기에 들어갈 내용을 효과적으로 생성하는 데 목적이 있다. 시각 자료 해석 글쓰기는 ‘읽기를 통한 쓰기(writing through reading)'로 단순히 시각 자료에서 읽어낸 내용을 모아 놓은 것이 아니라 시각 자료에서 읽어낸 정보를 기존의 지식과 경험을 이용하여 재해석한 것이다. 그 내용을 자신만의 글로 표현하기 위해서는 이해, 분석, 비판, 창의를 포함하는 고등 수준의 읽기와 쓰기 능력이 필요하며 이 과정에서 비판적으로 정보를 수용하고 능동적으로 생산하는 독자와 필자로서의 사고 능력이 신장된다. 그러나 시각 자료의 활용과 해석, 해석 결과의 표현의 중요도에 비해 시각 자료의 해석과 해석하는 글쓰기에 관한 지도 내용은 부족하다. 교육과정에 시각 자료의 활용과 해석이 반영되어 있으나 화법 영역에만 부분적으로 드러나 있으며 작문 영역의 시각 자료는 보조적 도구로서 쓰이는 경향이 있다. 교과서의 시각 자료에 대한 연구도 유형과 특징 등에 국한된 모습을 보인다. 이에 본 연구는 시선 추적 실험을 통해 시각 자료 해석 능력과 시각 자료 해석 글쓰기 능력의 관계를 살펴보고, 스토리를 담은 시각 자료로서 많은 정보를 함축하고 있는 인포그래픽을 대상으로 작문 과정에 따른 활동을 제안하고자 한다. 시각 자료 해석 글쓰기의 내용 수준은 시각 자료 해석 능력이 좌우할 것이라 보고 시각 자료 글쓰기 능력과 시각 자료 해석 능력의 상관관계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시각 자료를 포함한 글쓰기 과제를 통하여 학습자들이 자생적으로 습득한 분석력 비판력을 평가하는 시각 자료 해석 글쓰기 활동을 실시하였다. 학생들의 자체적 자료해석 활동 능력은 학습자 내부에서 일어나는 작용이나 해석된 내용을 글로 표현하는 것은 또 다른 언어 기능적 능력으로서 측정 가능한 부분이다. 평가의 대상이 되는 과제는 표와 그래프로 한정된 시각 자료를 포함한다. 그림이나 사진에 비해 구체적인 수치와 문자로 표현되는 표와 그래프는 해석의 기본 요건을 갖추고 있어 명확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 글쓰기 과제는 20년간의 수학 능력 시험 문항과 수능 모의고사 문항, 각 대학의 수시 논술 문제를 수집하여 분석 후 제작하였고, 글쓰기 과제 결과물에 대한 평가는 내용과 형식에 관한 10개 항목으로 구성된 평가표에 따라 상중하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시각 자료 해석 글쓰기 능력과 시각 자료 해석 능력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시선 추적 실험을 실시하였다(3장). 시각 자료 해석 능력과 시각 자료를 해석한 쓰기 결과물의 상관관계를 밝히기 위해 상, 중, 하 각 그룹별로 시선 추적 실험을 실시하였다. 눈의 움직임을 추적함으로써 뇌 속에서 발생하는 시각 정보의 처리 작용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눈의 움직임은 이해가 이루어지고 있는 순간순간의 인지 과정을 반영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시선 추적 장비(Eye-Tracker)는 SMI iView_RED-m(고정식 미니 아이트래커)이다. RED는 Remote Eye tracking Device의 약자로 고정형 아이트래킹 방식이다. USB 전원 방식으로 구동되며 모니터 하단에 부착하여 안구와 직접적 접촉 없이 안구의 움직임을 측정해주는 기기이다. 실험 진행시에 접촉 도구가 없이 자유롭기 때문에 피험자와 자연스러운 의사소통으로 실험 조건을 맞춰갈 수 있었다. 피험자에 제시된 시각 자료는 그래프 자료, 표 자료의 순으로 6개이다. 글쓰기 과제 평가 후 학생들과의 면담에서 그래프 자료가 표 자료보다 훨씬 빨리 읽히고 파악하기 쉬웠다는 견해를 반영하여 그래프 자료를 표 자료보다 앞에 배치하였다. 각 자료의 공통된 관심 영역 (AOI. Area of Interest)을 제목과 단위, 축으로 설정하고 시선이 자료와 여백에 분산, 집중되는 모습을 관찰하였다. 피험자들의 시선 집중 영역을 표현해주는 Heat-Map은 시선의 고정(fixation)이 집중적일수록 붉은색을 보인다. 시선이 멈추는 ‘고정(fixation)’이 지속되는 것은 정보에 대한 집중과 인지, 해석 작용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시각 자료 해석 글쓰기 과제에 참여한 학생 104명 중 저시력자 25명을 제외한 79명이 시선 추적 실험에 참여하였고 시선의 산란이 심해 결과 데이터가 수집되지 않는 경우 등을 포함하여 20명이 제외되었다. 시선 추적 실험 결과와 글쓰기 과제 평가 결과 상, 중, 하 집단을 비교하였을 때 상수준은 모두 일치하였다. 중수준의 경우 2/3(23명, 약 68%) 가량은 일치했으나 1/3(11명, 약 32%)은 불일치하였다. 1/3의 학생들은 글쓰기 평가는 중수준이었으나 시선 추적 실험에서는 하수준의 미흡 집단에 속하였다. 피험자들이 내신 성적과 모의고사 성적을 합하여 분류한 수준별 분반에서 상위반에 속하며 기본적인 작문 능력을 갖추고 있었기 때문에 글쓰기 평가 영역 중 형식적인 측면에서 점수를 받은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글쓰기 능력 평가 결과 하수준의 학생은 시선 추적 실험에서도
Abstract A Study on the Education for Analytical Writing of Visual Materials. Jeong-Mee Lee Korean Education MajorIncheon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cademic Supervisor : Prof. Pyoung-Won Kim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generate the structure of analytical writing through understanding and producing contents of infographics. The analytical writing is sort of ‘writing through reading' which is not just gathering informations from visual materials, but reinterpretation through the existing knowledge and experiences. It's needed for own writing to have high literacy included comprehension, analytical skills, critical power, creativity. And ultimately, it contributes to expanding thinking ability as readers and writers. But even though it is very important to study about visual materials, studies are scarce especially about analytical writing with visual materials in high school curriculum. Visual materials in the text book are just used accessarily. So this study tried to prov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apability to analyze the visual materials and the power to create analytical writing of the visual materials with the eye-tracking experiment. And I tried to suggest the reading and writing activities following writing process with infographics, the visual materials implied various informations. For proving the ability to create the analytical writing with visual materials, I tried to make writing task to evaluate the existing analytical skills of students. The writing task contains limited visual materials, tables and graphs. Because table and graph are more obvious to be analysed with objective criterion like specific numbers than pictures. The writing task is based on the scholastic ability test and university's essay test. The writing assessment has 10 evaluation items, and it is about aspect of contents and formal construction. The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3 grades(good, fair, and poor) according to the writing assessment's light. With 3 groups, I did the eye-tracking experiment for finding ou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nalytical writing ability and the analysing capacity about visual materials. Tracking eye movement can show us th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in the brain. The eye movements reflect the moments that the information perceived. SMI iView_RED-m is the stationary small eye-tracker. RED is abbreviation for Remote Eye tracking Device. This equipment is driven by USB power supply system, and installed under the computer monitor. So it's possible to communicate with subjects for control the experimental conditions. The visual materials presented on the screen are 6, 3 graphs and 3 tables. The students consider the graph is more easier than table to analyse, so graph is placed at the front of the table to be relaxed. The areas of common interest are the title, the measures, and the axis. AOI(Area of interest) is the essential part to be examined. The heat-map shows where the subject is paying attention to. The more they concentrate on it, it turns more red. The eye fixation means focusing on that information, and occurring the recognition and the interpretation. All subjects are belong to the same level class. They divided into the upper class by the results of school examination and mock test. 79 students out of 104 participated in the eye-tracking experiment. 25 students have poor sight. 20 students from participants excepted because of dispersion.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analytical writing level and the analysing ability by eye-tracking experiment are almost the same. Middle rank group students correspond with writing result about 68%. 32% of students were degrade in the eye-tracking experiment. That because they have the basic writing ability and they got scores from the formal construction items. The high rank and the low rank group is perfectly the same with the analytical writing results. The high rank group students understand the format and they already had their own patterns. They all checked AOI first, and they caught the particular parts that can be the point. The ability to analyze the visual material is one of the decisive factor to determine the analytical writing content standard. These results signify the necessity for studying about visual materials' logic itself for developing analytical skills. Understanding visual material itself is possible by making it oneself. For this, I planned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s using infographics. Infographics is sort of visual material holding messages. It is founded on objective statistical data, but also with subjective purpose. So understanding of the infographics' meaning and catching its message, purpose are like the way to understand visual materials. Through producing infographics, we can study the constitution and understanding its principle. And it's helpful for improving analysing skills. These are preprocess of writing process, the planning. The analysing ability with knowing and understanding the visual material itself by create activity has strong affluence on the analytical writing eventually. Key words : Visual Material, Cognitivism , Eye-Tracking, Infograph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