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Effect of Parenting Attitude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Their Self-Esteem: Focusing on Mediation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Author
Source
Subject
Language
Korean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성별에 따라 매개효과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연구문제 1.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양육태도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연구문제 2. 초등학생이 지각한 모양육태도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중국 길림성 연길 시에 소재한 조선족 초등학교 4곳의 4, 5학년 학생 400명을 유의표집 하여 연구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부모양육태도척도, 자아존중감척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각 척도의 신뢰도를 검증하고자 Cronbach ⍺계수를 산출하였고 각 변인간의 상관을 분석하기 위해 Pearson의 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매개효과 검증 절차를 사용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들의 상관을 통해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 간의 상관관계는 모두 유의미한 수준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중, 남학생 집단의 변인 간 상관을 살펴보면, 자아존중감과 부모양육태도 간 상관 및 자아존중감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간의 상관이 전체 집단의 상관에 비해 다소 높아졌고 여학생 집단의 변인 간 상관을 살펴보면, 자아존중감과 부모양육태도 간 상관 및 자아존중감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간의 상관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전체 집단의 상관에 비해 다소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남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간 관계에서 매개변수의 요건을 충족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부모양육태도는 남학생의 자아존중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양육태도와 남학생의 자아존중감에 대하여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매개변인으로 투입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부모양육태도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나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완전매개효과는 없지만 부모양육태도의 효과가 다소 감소함으로써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부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여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간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먼저, Baron과 Kenny(1986)가 제시한 절차에 따라 분석한 결과 여학생집단은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완전매개효과를 재검증하기 위하여 Preacher와 Hayes(2004)에 의해 제안된 부트스트랩(bootstrap)법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한 결과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여학생집단은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남, 여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자존감 간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가정에서 부모양육태도의 중요성과 성별에 따라 부모의 양육태도가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기 때문에 효율적인 양육태도를 취하도록 부모교육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초등학교 시기에 높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키워주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study identified whether mediation effect varied depending on gender in relation of parenting attitude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esteem and academic self efficacy. To this end, it came up with the following questions. Q1. What is the mediation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on the effect of paternal child rearing attitude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self-esteem?Q2. What is the mediation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on the effect of maternal child rearing attitude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self-esteem?To verify the two questions, the study did purposive sampling on 400 4th and 5th years at four elementary schools for ethnic Koreans in Yanji, Jilin, China and surveyed them.It used parenting attitude scale, self-esteem scale and academic self-efficacy scale. SPSS 18.0 program was used for the collected data. The study calculated Cronbachacoefficient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each scale and calculate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o analyze the correlation among each variable. It also applied the mediation effect verification procedure proposed by Baron & Kenny (1986) to see the mediation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in the relation between parenting attitude perceived by children and self-esteem.The outcome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major variables showed that the correlation among parenting attitude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ir self-esteem and academic self efficacy was significant. The correlation among the variables in the boy group suggested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parenting attitude as well as the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academic self-efficacy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all subject groups. In the mean time, the correlation among the variables in the girl group indicated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parenting attitude as well as the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academic self-efficacy was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somewhat lower than that of all subject groups.Seco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tell if parameter conditions were met in the relation among academic self-efficacy, parenting attitude perceived by boys and self-esteem. As a result, parenting attitude significantly affected the self-esteem of boys. Although the academic self-efficacy was put as the mediation variable for parenting attitude and self-esteem of boys, effect of parenting attitude on self-esteem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howing no complete mediation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However, academic self-efficacy was found to have partial mediation effect as the effect of parenting attitude somewhat declined.Third, the study verified the mediation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in the relation between parenting attitude perceived by girls and self-esteem. Above all, analysis based on the procedure suggested by Baron & Kenny (1986) presented that the girl group had complete mediation. Then, analysis using bootstrap suggested by Preacher & Hayes (2004) was conducted to verify the complete mediation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again. The result stated that it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girl group was found to have complete mediation. In conclusion, the study confirmed that academic self-efficacy had mediation effect in the relation between parenting attitude perceived by the boys and girls and self-esteem. The effect of parenting attitude on the children’s self-esteem varied depending on their gender. Therefore, this study wa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a basic material for parental education to help efficient parenting attitude and promoted academic self-efficacy during primary education peri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