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문법 핵심 역량' 함양을 위한 문법 교육 내용 재구조화 연구 / A Study on the Restructuring of Korean Grammar Education Contents for Cultivating ‘Korean Grammar Key Competencies'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국어 교육
문법 교육
문법 핵심 역량
문법 교육 내용 재구조화
국어 규범의 적용을 통한 소통 역량
언어 예절을 지키는 소통 역량
국어 현상에 대한 비판적·창의적 사고 역량
국어 현상에 대한 탐구 역량
국어 공동체 의식의 함양 역량
국어 문화의 형성 및 발전 역량.
Language
Korean
Abstract
본 연구는 최근 교육계에서 대두되고 있는 역량 중심 교육에 주목하여 문법 교육 목표로 ‘문법 핵심 역량’을 설정하고, 이에 따른 문법 교육 내용을 재구조화한 연구이다. 그간 문법 교육에서는 학습자에게 어떠한 문법 교육 내용을 가르쳐야 하는가에 대하여 숙고해왔다. 이에 따라 문법 교육에서는 문법 교육 내용의 체계화에 주력하였고, 그 연구 성과는 양적·질적인 면에서 안정적으로 구축되었다. 그에 비해 문법 교육에서는 문법 교육을 통한 학습자의 교육적 성과가 무엇이며, 이에 따른 문법 교육 내용을 구성하는 것에 대해서는 비교적 소홀히 하였다고 볼 수 있는데, 이는 문법 교육에 대한 학교 현장의 부정적 인식과도 무관하지 않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앞으로 문법 교육에서는 문법 교육을 통한 교육적 성과를 드러내고 이에 따른 문법 교육 내용을 구성하는 작업, 즉, 문법 교육의 내재적·외재적 가치를 공고히 하고 이를 구현할 수 있는 문법 교육의 기반이 구축되어야 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이러한 요구를 수행하고자 최근 부상하고 있는 ‘역량 중심 교육’에 주목하였다. 최근 교육계에서는 학교 교육 개혁의 일환으로 ‘역량 중심 교육’이 대두되고 있다. 이는 학습자가 학교 교육을 통하여 성공적인 삶을 영위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핵심 역량’을 계발하는 것을 주요 목표로 한다. 국외에서는 교과에서 계발할 수 있는 핵심 역량을 중핵으로 두고, 이에 따라 기존의 교육과정을 발전적으로 재구조화하는 데에 주력하고 있는데, 이를 ‘역량 중심 교육과정’이라 한다. 이러한 교육계의 동향과 문법 교육의 현 상황을 미루어볼 때, 문법 교육에서 ‘핵심 역량’의 도입이 문법 교육의 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다고 보았다. 이에 본고에서는 문법 교육 목표로 ‘문법 핵심 역량’을 설정하고 이에 따른 문법 교육 내용을 재구조화하였다. 이를 위하여 2장에서는 문법 교육과정 분석 및 국어 교사의 인식 조사를 바탕으로 현행 문법 교육 목표로 제시되어 있는 문법 능력의 신장에 대하여 비판적으로 고찰하였다. 아울러 문법 교육에서 역량 중심 교육을 도입하기 위한 이론적 기반을 구축하고자, 역량의 개념 및 특성, 핵심 역량과 국외의 자국어 역량 중심 교육과정에 대해 두루 고찰하여 문법 교육에서 역량 중심 교육을 실현하기 위한 시사점을 얻었다. 이에 따라 문법 교육에서 ‘핵심 역량’ 도입의 필요성을 정립하고, 문법 교육 목표를 ‘문법 핵심 역량’으로 설정하여, 이를 ‘학습자가 언어적 주체로서 개인적·사회적 삶을 포함한 다양한 언어 현상이나 언어 생활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보편적이고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총체적 능력’로 정의하였다. 3장에서는 문법 핵심 역량의 영역과 하위 역량을 설정하였다. 문법 핵심 역량의 영역은 문법 교육의 틀이라 할 수 있는 ‘언어에 대한 관점’에서 도출하였고, 그 결과 ‘언어를 질료로 대상과 소통하기’, ‘언어를 활용하여 사고를 확장하기’, ‘언어에 담긴 세계관을 통해 언어적 삶의 의미 형성하기’라는 세 영역을 설정하였다. 이어 문법 핵심 역량의 하위 역량은 지금까지의 초·중·고등학교 문법 교육과정에서 문법 핵심 역량과 관련된 진술들을 도출하여 유목화하고 이를 명명하여, ‘국어 규범의 적용을 통한 소통 역량’, ‘언어 예절을 지키는 소통 역량’, ‘국어 현상에 대한 비판적·창의적 사고 역량’, ‘국어 현상에 대한 탐구 역량’, ‘국어 공동체 의식의 함양 역량’, ‘국어 문화의 형성 및 발전 역량’이라는 여섯 개의 하위 역량을 설정하고, 이를 영역별로 범주화하였다. 나아가 본고에서 설정한 문법 핵심 역량과 문법 교육 내용을 연결하는 방식으로 문법 핵심 역량의 함양을 위한 문법 교육 내용을 재구조화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문법 핵심 역량을 문법 교육 목표로 제시한 뒤, 현행 교육과정에 제시된 문법 교육 내용인 ‘내용 체계’, ‘영역 성취 기준’, ‘내용 성취 기준’을 문법 핵심 역량과의 연계 양상을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재구조화 하였다. 이와 같이 전개된 본 연구는 문법 교육 목표를 비판적으로 고찰하여 ‘역량 중심 교육’이라는 새로운 관점에서 문법 교육 목표와 내용을 보이고자 ‘문법 핵심 역량’을 선정하고, 이에 따른 문법 교육 목표의 상(象)을 보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가 있다. 또한 기존의 역량 중심 교육의 논의가 주로 교과별 핵심 역량을 선정하는 것까지 다루었으나, 본고는 문법 핵심 역량을 선정하고 이에 연계한 교육 내용을 구체적으로 제공하는 논의까지 나아갔다는 점에서 기존의 논의와 차별화된 의의를 지닌다. 이러한 시도를 통해 ‘문법 핵심 역량’을 중심으로 문법 교육을 통한 교육적 성과를 공고히 할 뿐만 아니라, 문법 핵심 역량에 입각하여 역량 중심 교육과정이 구현될 수 있는 가능성을 기대해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