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Polyphenolic metabolites of Flemingia philippinensis displaying neuraminidase and tyrosinase inhibition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Author
Source
Subject
polyphenolic metabolites
Flemingia philippinensis
neuraminidase
tyrosinase
enzyme inhibitor
enzyme kinetics
Language
English
Abstract
콩과작물에 속하는 천근발 (Flemingia philippinensis)은 폴리페놀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대표적인 식물체이다. 천근발은 중국 남부 열대지방에서 재배되며, 항염증, 냉증, 관절염 등의 효과로 전통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천근발 추출물에서 확인된 높은 neuraminidase 및 tyrosinase 저해제를 추적 분리, 분석 하였다. 목표 효소 저해제 15종은 분리, 분석, 구조동정하고 이들의 저해활성 및 저해 작용 기작을 규명하였다. 연구결과는 아래와 같이 요약하였다.1) 천근발에서 폴리페놀성 2차대사체 분리천근발 뿌리껍질의 메탄올 추출물에서 15개의 폴리페놀성 2차대사체를 분리하고 이들의 구조를 2D-NMR을 포함한 분광학적 자료를 이용하여 규명하였다. 분리된 화합물은 9종의 prenylated isoflavone (1-9) 3종의 dihydrochalcone (10-12) 및 3종의 flavone (13-15)로 확인되었다. 각각의 화합물들은 8-,-Dimethylallylwighteone (1), Flemingsin (2), 6,8-Diprenyl-orobol (3), Auriculasin (4), Flemiphilippinin A (5), Flemiphilippinin E (6), Osajin (7), 5,7,3',4'-Tetrahydroxy-20,50-di(3-methylbut-2-enyl)isoflavone (8), 5,7,3'-Trihydroxy-2'-(3-methylbut-2-enyl)-4',5'-(3,3-dimethylpyrano)-isoflavone(9), fleminchalcones A (10), fleminchalcones B (11), fleminchalcones C (12), flemichin (13), lupinifolin (14), Khonklonginol H (15) 로 규명되었다. 특히 분리된 화합물 중 화합물 2, 10, 11 및 12의 4종의 화합물은 신규화합물로 규명되었다.2) Prenylated isoflavone의 Neuraminidase 저해활성9탄당인 시알산은 당단백질의 말단에 붙어있으며 세포-세포 정보교환 및 세포-병원성침입자 정보교환 등 생명현상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시알산을 조절하는 뉴라미니데이즈는 항염증, 항박테리아, 항바이러스, 항암치료제의 주요 목표가 되고 있다. 분리한 이소플라본 계열화합물 (1-9)은 높은 뉴라미니데이즈 저해활성(IC50 = 0.30 ~ 56.8 M)을 나타내었다. 특히 화합물 4 (Auriculasin)는 300 nM의 IC50과 130 nM의 Ki의 대단히 높은 저해활성을 보여주었다. 화합물 4는 B-고리에 catechol 작용기와 A-고리에 퓨란고리를 하고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치환체가 없는 제니스틴보다 40 배의 높은 활성을 보여주었다. SAR 분석에서 B-고리 4번 위치의 hydroxyl 기가 뉴라미니데이즈 저해활성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음을 밝혔다. (화합물 4, IC50 = 0.30 M vs 제니스틴, IC50 = 12.05 M) 화합물 4의 Lineweaver-Burk를 이용한 저해작용기작 규명에서 저해제를 처리함에 따라 Vmax는 낮아지고 Km은 변하지 않는 비경쟁적저해제 임을 규명하였다. 분리한 8개의 모든 저해제들도 비경쟁적 저해제로 규명되었다. 3) Dihydrochalcone 및 flavanone 화합물의 tyrosinase 저해활성타이로시네이즈는 타이로신을 멜라닌으로 전환하는 산화효소로 외부자극 (태양광선 등)으로 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중요한 기능을 한다. 그러나 과다발현 할 경우 피부의 색소침착, 피부암 등 해로운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화장품 소재 개발의 주요 목표 효소이다. Dihydrochalcone (10-12)와 flavanones (13-15) 화합물은 높은 수준의 타이로시네이즈 저해활성 (monophenolase IC50 = 1.01-18.4 M, diphenolase IC50 = 5.22-84.1 M)을 나타내었다. 특히 dihydrochalcone (12)은 monophenolase (IC50 = 1.28 M) 및 diphenolase (IC50 = 5.22 M)의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또는 resorcinol 작용기를 갖는 flavanone (13)도 monophenolase (IC50 = 1.78 M)의 높은 저해활성을 보여 주었다. Lineweaver-Burk plot을 이용한 저해활성 메커니즘 규명연구에서 저해제의 농도를 달리 하였을 때 Vmax는 일정하고 Km은 증가하는 전형적인 경쟁적저해양상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발굴한 화합물 (12-15)은 이제까지 보고된 dihydrochalcone 화합물에서는 가장 높은 타이로시네이즈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