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년여성의 라인댄스 참여가 여가몰입, 여가만족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Author
Source
Subject
Language
Korean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라인댄스 참여가 여가몰입, 여가만족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며, 여가만족의 매개효과 및 참여기간(1년미만 , 1년이상)에 따른 경로계수 차이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위해 40대~50대의 중년 여성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이에 따른 표본 추출방법은 비확률표본추출(nonprobability sampling)방법 중 유의 표집법(purposive sampling method)을 이용하여 표본을 추출하였으며, 설문지는 자기평가기입법(self-administration)을 통하여 작성하였다. 총 250부를 배포한 후 이중 내용이 불성실한 설문지 33부를 제외한 217부를 분석하였다. 통계분석을 위해 SPSS 18.0 및 AMOS 18.0을 이용하였으며,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신뢰도 분석, 확인적요인분석, 측정모델분석,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규성 검정결과 왜도 ±2, 첨도 ±4이상인 문항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정규성을 만족하였다. 둘째, 마할라노비스(Mahalanobis D-squared)이상치 결과 이상이 있는 문항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측정변수를 단일 차원으로 합산하기 위하여 여가만족 변인과 심리적 안녕감 변인의 측정모델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적재값이 낮은 몇몇 문항을 삭제하였다. 넷째, 2단계 분석법(Two-step Approach)에 의한 확인요인분석(Cofirmatory Factor Analysis)실시 하였으며 단일차원성을 저해하는 항목을 제거하였다. 다섯째, 측정모델의 신뢰도와 타당성 평가를 위해 상관계수, 개념신뢰도및 AVE값을 산출하였다. 그 결과 집중타당성 및 판별타당성을 확보하였다. 여섯째, 가설검증결과 여가몰입의 하위변인인 인지몰입과 행위몰입 모두 여가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가몰입의 하위변인인 인지몰입과 행위몰입은 심리적 안녕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가만족은 심리적 안녕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가만족은 여가몰입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매개역활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1년미만 참여자와 1년이상 참여자의 경로계수 비교결과 1년이상의 참여자에서 심리적 안녕감이 높게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