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방자치단체의 사회적 자본 확충을 위한 미술과 디자인 정책에 관한 연구 / Study on the Art & Design Policies for the Local Government's Fund Raising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한국 문화 정책
디자인정책
컬처노믹스
사회적 자본
Language
Korean
Abstract
사회적 자본은 국가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요소이다. 한국의 경우 정부가 문화예산을 운영하고 있기에 정부가 최대의 정책효과를 가지고 있는 반면에 민간부문은 상대적으로 활성화되지 못한 실정이다. 디자인이 산업에 미치는 영향력과 가치가 점점 부각되고 있으며, 미래 성장 동력 산업으로 기대되는 가운데 디자인 정책 역시 중앙부처, 지자체, 공공기관에서 계획되고 수행되는 중이며, 중앙부처의 경우 각 부처의 특성에 맞는 디자인관련 사업을 추진하면서 디자인 문화 확산과 저변 확대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본 논문은 한국 문화정책의 발전 과정을 지역단위에서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졌는지를 살펴보고 디자인사적으로 연구함으로써 한국 문화정책의 방향과 그 내용을 분석해보았다. 또한 한국 디자인의 사적 발전과 더불어 각 시기마다 각 지역단위에서 디자인이 어떻게 정책적으로 구체화되고 실현되었는지 알아보고자 한국 지자체의 미술과 디자인정책을 고찰해보았다.오늘날 지자체의 자율화 추세에 맞추어 지방문화 분권, 지역공동체 자산, 사회적 자본의 이론적 토대를 확인하고 이를 미술 및 디자인 정책에 적용하고자 하였다.정부는 디자인 분야에 대한 지원을 지속적으로 해오고 있으며, 공공시설을 아름답고 효율적으로 디자인하는 것부터 시작하여 환경 관련 문제 해결에 디자인 개념을 적용하는 데까지 광범위하게 개입해오고 있다. 정부와 지자체가 문화정책과 디자인 정책을 통해 사회적 자본의 확충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데, 이러한 사회적 자본을 효과적으로 연계시키기 위해서는 첫째, 우리나라 지자체 문화행정의 전문성을 강화할 필요성이 있으며, 둘째, 지자체의 한정된 예산만으로는 문화 및 미술정책의 시행 추진력이 약하므로 중앙정부의 재정적 보조와 아울러 독립된 권한도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셋째로, 중앙정부, 광역자치단제, 기초자치단체 간의 문화예산 관련 지출과 지원에 관한 적절한 역할 분담이 이루어지도록 예산계획과 집행, 예산 배분에 대한 명확한 기준을 마련함으로써 안정적, 지속적, 균형적, 자율적인 문화예술 지원환경을 구축해야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지자체 문화예술진흥위원회의 소극적이고 형식적인 권한과 역할도 보다 확대 개선시켜나가야 할 것이다. 장기적 안목을 바탕으로 디자인산업에의 꾸준한 관심과 지원 그리고 정교화된 제도적 행정적 뒷받침이 이루어진다면, 디자인문화 강국으로써의 미래 한국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I analyzed direction of the Korean culture policy and its contents by finding out how development process of culture policy at the local level had been made and did research on the historical perspective. I considered art and design policies of Korean local government each period from each local unit how they were actualized and realized with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Korean design.In accordance with the liberalization trend of local government today, I tried to confirm the theoretical underpinnings of the local culture of decentralization, community assets and social capital to apply them to the art and design policies.Social capital is a factor that can improve national competitiveness. In the case of Korea, the budget for culture is operated by central government which then has biggest policy effect, on the other hand, private sector has not been activated yet.As design's influence and value in the industry are becoming magnified, expected as future growth engine industry, design policies from the central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public agencies are also planned and carried out. Central government drives design-related project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department promoting the spread and expansion of design and culture.Government has been supporting the field of design extensively starting from designing beautiful and efficient public facilities to applying design concepts to solve environmental problems.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has put much effort to expand and link those social capital effectively through design and culture policy.First, Korean local governments need to strengthen the expertise of the cultural administrative.Second, as local government's budget alone is limited that its policy momentum is weak so the financial assistance from the central government and independent authority need to be supported.Third, by providing clear standards for budget planning, execution and allocation, proper role division on the culture budget related expenditure and support could be set between the central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and fundamental local government and this will surely build stable, continuous, balanced, autonomous culture-art-friendly environment.Finally, passive and perfunctory authority and role of Culture and Arts Promotion Commission in local government will have to be expanded and improved as well.We can expect a better future of Korea famous for design culture with continual interest and aid on design industry based on refined institutional and administrative support on the long-term perspect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