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의 혈중 비타민 D 수준과 대사성 위험인자와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of Serum Vitamin D Levels with Metabolic Risk Factors in College Students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혈청 비타민 D
비만지표
신체활동
심폐체력
대사증후군
Language
Korean
Abstract
논문요약대학생의 혈중 비타민 D 수준과 대사성 위험인자와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최근 국외선행연구를 통해 혈중 비타민 D 부족현상은 대사증후군, 2형 당뇨, 심혈관질환, 암 등과 같은 각종 대사질환과 직간접적으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흥미로운 사실은 혈중 비타민 D 수준은 자외선 일조량과 비타민 D 보충을 포함하여 비만지표, 신체활동, 심폐체력 등과 같은 생활습관요인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지만 이에 대한 국내 선행연구가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06년도에서 2009년도까지 S 대학교 교양체육 수강생 중에서 자발적 참여에 동의한 외견상 건강한 남녀 대학생 686(636)명을 대상으로 혈중 비타민 D 수준, 비만지표, 신체활동, 심폐체력, 대사증후군과의 연관성을 검정하는 것을 연구의 주요 목적으로 하였다. 모든 참여자는 8-10시간 공복상태에서 인체계측, 비만지표, 혈압, 혈당, 혈중지질 등을 측정하고, 서울의과학연구소에 의뢰하여 the LIAISON 25(OH) Vitamin D TOTAL ASSAY를 이용하여 혈청 25-hydroxyvitamin D(25(OH)D)를 측정하였다. 측정변인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피어슨 및 부분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다중선회귀분석을 이용하여 혈중 비타민 D 수준과 대사증후군 위험인자의 군집현상에 대한 예측변인을 산출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에 의하면 혈청 비타민 D 수준은 체지방과 유의한(p
ABSTRACTA Study on the Relationships of Serum Vitamin D Levels with Metabolic Risk Factors in College StudentsTae-Soo KimCollege of Sport ScienceSungkyunkwan UniversityLittle is known regarding the relationships of serum vitamin D status with body fatness, physical activity, and metabolic risk factors in young men.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s between serum vitamin D levels, modifiable lifestyle factors, and metabolic risk factors in a study sample of college students (N=686(636)).Measured outcomes included antropometrics, body composition, cardiorespiratory fitness, physical activity, metabolic risk factors including waist circumference, resting blood pressures, fasting glucose, triglycerides, and high-density lipoproteins. Serum vitamin D levels were determined by using the LIAISON 25(OH) Vitamin D TOTAL ASSAY, which is a direct compeitive chemiluminescence immunoassay for human serum or plasma intended for use on the DiaSorin LIAISON automated analyzer (Italy, DiaSorin S.P.A). Pearson and partial correlations were used to assess the relationships of serum vitamin D levels with the measured variables. Multivariate stepwise linear regressions were used to determine significant predictors for individual variations in serum vitamin D levels and clustering of metabolic risk factors in this study population. Serum vitamin D levels were inversely related to percent body fat(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