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Earnings Management and Value Relevance Effects of IFRS Adoption : Evidence from China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Author
Source
Subject
Accounting quality
value -relevance
earnings management
Current ratio
Adoption IFRS
Language
English
Abstract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중국 상하이 증권시장에 상장되어 있는 기업을 대상으로, 국제회계기준(IFRS) 도입이 회계정보의 가치관련성과 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세 가지 측면에서 연구가설을 설정한 후 실증분석을 하였다. 첫째, IFRS도입 전후에 이익조정(earnings management) 정도로 측정된 회계정보의 질에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였으며, 둘째, IFRS도입 전후 회계정보의 가치관련성(value relevance)에 차이가 있는 지를 조사하였다. 마지막으로는 중국의 특유한 현상인 소유구조가 IFRS도입 전후의 이익조정과 회계정보의 가치관련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총 7가지의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설정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2002년부터 2009년까지 상하이 증권거래소에 A주식(A-shares)으로 계속 상장된 4,065개 기업/년 자료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연구자료는 베이징 RESSET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였다. IFRS 도입 전후의 기간 구분은 2006년을 기준으로 구분하였다. 2002년부터 2005년까지의 기간은 도입 전으로 구분하였고, 2007년부터 2009년까지의 기간은 도입 후로 구분하였다. 2006년 자료를 실증분석에서 제외한 것은 2006년도 기업 재무자료를 도입 전과 후로 엄격히 구분하는 것이 어렵고, 2007년도의 비교재무제표 형식으로 제시되어 있는 2006년 자료의 신뢰성에도 문제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가설 검증을 위한 이익조정 측정치는 당기순이익과 영업현금흐름간의 차이인 총발생액(total accruals)과 총발생액에서 수정 Johns (1991) 모형을 산업별로 적용하여 추정된 비재량적(non-discretionary) 발생액을 차감하여 추정된 재량적(discretionary) 발생액으로 측정하였다. 이 분야 선행연구들에서는 대부분 재량적 발생액을 이익조정 측정치로 많이 사용하나, 본 연구에서는 연구결과의 강건성(robustness)을 확인하기 위하여, 재량적 발생액 뿐만 아니라 총발생액과 총발생액의 절대치 및 재량적 발생액의 절대치도 이익조정 측정치로 사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회계정보의 가치관련성 평가를 위해서는 Ohlson(1995) 모형을 변형하여 사용하였다. IFRS 도입 전후 지분의 장부가치와 회계이익의 가치관련성을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IFRS 도입 전후를 구분하기 위한 더미(dummy) 변수를 모형에 포함하였고, 소유구조가 지분의 장부가치와 회계이익의 가치관련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비유통주(non-current share) 비율과 비유통주 비율의 중간값을 기준으로 구분된 더미변수롤 모형에 포함시켰다. 본 연구에서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발생액의 방향(direction)을 고려한 총발생액과 재량적 발생액의 평균에서 뿐만 아니라 발생액의 크기(size)를 고려한 총발생액 절대치와 재량적 발생액 절대치의 평균에 있어서도 IFRS도입 후의 기간에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IFRS 도입 전보다 IFRS 도입 후에 중국기업들은 이익조정을 더 많이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IFRS도입 전후의 중국기업 소유구조 변화가 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소유구조의 변화는 이익조정과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IFRS 도입 전후의 가치관련성 차이를 조사한 결과, IFRS 도입 전후의 가치관련성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데 이것은 지분의 장부가치 보다는 회계이익의 가치관련성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IFRS도입 전후 중국기업의 소유구조 변화에 따른 회계정보의 가치관련성 차이를 조사한 결과, 유통주 비율로 측정된 소유구조의 변화는 회계정보의 가치관련성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이익조정이 회계정보의 가치관련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결과, 이익조정이 장부가치의 가치관련성에 미치는 영향은 적었으나, 회계이익의 가치관련성에는 유의적인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IFRS 도입 전 이익조정 수준에 따른 장부가치의 가치관련성은 별 영향이 없었으나, 회계이익의 가치관련성은 이익조정 측정치에 따라 가치관련성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 방향으로 나타났으나, IFRS 도입 후에는 이익조정 수준이 큰 경우 회계이익의 가치관련성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익조정과 소유구조에 따라 IFRS 도입 전후 회계정보의 가치관련성에 차이가 있는 지를 조사한 결과, 장부가치는 이익조정 수준 및 소유구조에 관계없이 IFRS 도입 전후에 추가적인 주가 설명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회계이익은 이익조정 수준 및 소유구조에 관계없이 IFRS 도입 후에 추가적인 주가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중국 상하이 증권시장에 상장된 중국 기업의IFRS도입 전후 이익조정과 회계정보의 가치관련성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유통주 비율로 측정된 소유구조는 이익조정과 회계정보의 가치관련성에 미치는 영향이 뚜렷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IFRS 도입 전후에 유통주 비율이 급격하게 변화하였기 때문에 중국에서 소유구조 변수의 효과는 IFRS도입 전후 변수에 함몰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소유구조 변수의 효과는 후속연구에서 더 규명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FRS adoption on accounting quality in china. we test proxies for accounting quality that have been widely used in three the prior literatures: earning management ,value relevance of accounting information and value relevance of earnings management. The tested model based on the Ohlson(1995) model and cross-modified Jones (1991) model,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hanges of accounting information before and after the adoption of IFRS in the Chinese accounting standards started at 2006 for China capital market, and examines whether the differences of IFRS adoption affects accounting quality for a sample of Chinese listed firms during the period of 2002-2009.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First, there are significant effects in earnings management of accounting information and under the current ration condition, and there a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in earnings management effects of accounting information before and after adopting IFRS. Second, there are significant effects in value relevance of accounting information and under the current ration condition, and also there a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in value relevance effects of accounting information before and after adopting IFRS. Before IFRS adoption, the explanatory power of Ohlson (1995) model is relatively low (adj. R2= 0.240), but relatively high (adj. R2= 0.424) after IFRS adoption. Finally, the research tests there are significant no effects in value relevance of earning management before and after adopting IFRS and under the current ratio cond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