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구약성경에 나타난 신명고찰 : 모세오경을 중심으로 / Study on God Name in the Old Testmant : Centered on Five Book of Moses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Author
Source
Subject
神名
신명
하나님의이름
Language
Korean
Abstract
현대인들은 종교라는 이름으로 자신의 신을 선택하지만, 고대인들은 자신들의 존재와 삶을 유지하고 보존하는 절대적 존재로 신을 찾고 구했다. 따라서 고대인에게 있어서 신의 이름은 무한한 관심과 경외심의 대상이었다. 현대 사회에서 개인의 이름은 사람들을 서로 구분해 주는 호칭에 불과하지만, 고대 사회에서 개인의 이름은 그 이상의 의미를 가지고 있었다.구약성서 신학의 출발점은 ‘하나님의 이름’에서부터 출발한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하나님의 다양한 이름들을 가운데의 주요 신명(神名)들을 오경을 중심으로 하여 언어학적이고 신학적 의미의 각도에서 고찰하여 보았다. 성서속의 하나님을 알아가는 열쇠는 바로 ‘하나님의 이름’이다.족장들과 모세의 신앙의 본질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들에게 알려졌고 그들이 불렀던 神名에 대한 고찰이 우선되어야 한다. 그 원인은 히브리인은 이름과 본질을 매우 밀접하게 연관시켰기 때문이다. 폰라드(G.von Rad)의 말대로 神名이 있고서야 예배가 있으며 인간과 神과의 사이의 일반적인 관계가 성립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이름이 그의 특성을 표현하기 때문이다. 이름이 본질이라는 것이 아니라, 이름은 그 역사와 결부되어 본질을 표현한다.이스라엘의 야웨 하나님은 결코 인간이 좌우지하는 多神論에서 발전되어 나온 神이 아니라 근본적으로 다른 바탕에서 출발하신 존재임을 그 이름의 기원과 특성과 의미를 통해서 알 수 있다. 즉 그분은 만물의 창조주이시며 유일하신 우주적 하나님인 것이다.족장시대에는 ‘El'과 관련된 神名들이 나온다. 이 ‘엘’신명에 형용사적인 의미가 부가도니 형태로 神名들이 나오는데 이것은 족장들의 삶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El'과 관련된 신명으로는 엘 로이(El Roi), 엘 엘욘(El Elyon), 엘 올람(El Olam), 엘로힘(Elohim) 등이다.그러나 출애굽기 6:3과 창세기 17:1에 보면 조상들의 신명칭을 ‘엘 샤다이’(El Shaddai)로 나타난다. 엘 샤다이는 아브라함에게 보여 주신 것과 같이 불가능한 가운데서도 언약을 성취시키는 전능의 하나님, 능력의 하나님이시다. 하나님이 엘 샤다이로 족장들에게 현시한 것은 특별한 하나님의 계시이며 아브라함과 맺은 하나님의 언약을 환기시키는 것이었다. 이것은 출애굽기 6:2-3에서 조상의 하나님과 모세에게 계시된 야웨를 연결시키는 고리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그것은 모세에게 야웨 신명을 계시할 때 “나는 조상들의 하나님인데 그들에게는 엘 샤다이(El Shaddai)로 내 이름을 알려 주었지만 이제 너에게 야웨란 이름을 가르쳐 준다”는 것이었다. 조상들의 하나님과 야웨는 한 분이심을 보여 주고 있다.이러한 이스라엘 백성들의 역사속에 나타난 하나님의 이름이 오늘을 살아가는 하나님의 자녀인 신앙인들에게 이 이름이 주는 실질적인 중요성이 무엇이며 어떻게 신앙생활에 적용시킬 것인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우리는 하나님의 이름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하나님과의 인격적인 관계를 맺고자 한다면 하나님의 이름을 올바르게 알아야 하며, 올바른 이름만이 그분과의 올바른 관계속으로 당신을 인도 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하나님의 점진적인 계시속에서 조상들에게 나타난 하나님의 명칭과 모세에게 보여준 하나님의 명칭사이에는 차이가 있다는 점을 우리는 분명 념두에 두어야 한다.우리는 하나님을 예배하는 자들이 그분의 이름을 어떤 神觀과 인식관을 가지고 예배하느냐에 늘 관심을 가져야 한다. 우리는 하나님의 역사안에서 그 이름과 결합된 본질을 발견하도록 최선을 다해야 한다.하나님의 이름에 대한 올바른 이해는 그분과의 올바른 관계속으로 우리를 인도할 수 있다. 정확한 神名에 대한 이해가 올바른 神觀을 가져오기 때문이다.
In the ideas and faith of people in the ancient east, there exist an inseparably close relationship between 'name' and 'thing' or 'being of character', by retaining that name. All things and the beings of character have 'name', and the people understood as that the name connoted something essential about the things or the beings. Therefore, comprehending the name of certain being means understanding the essence of that being. Being exposed to one's name to another person meant one's essence and identity have been revealed to others. Also, exposing one's essence means one is put under the influence and the power of another person.In the Old Testament, through revealing His name, God has opened the way to make an inter-relationship with human being so that people can call his name. The name of God is express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changes in relationships between God and His people. It's not too much to say that accurate awareness regarding the name of God is the gateway to proper faith.It can be said that the starting point of the Old Testament theology departs from the 'the name of God'. In this thesis, among the diverse names of God, the primary names are studied from the five books of Moses from the perspective of linguistic and theological points of view.Through the studies regarding the name of God, if one wants to make an personal relationship, one needs to know the name of God properly with accurate understanding, which leads to the proper relationship with H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