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蕭紅 小說에 나타난 悲劇意識 硏究 / 萧红小说的悲剧意识研究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Author
Source
Subject
蕭紅 소설 비극의식
Language
Korean
Abstract
蕭紅是20世紀三、四十年代中國文壇倍受矚目的女性作家之一。蕭紅的一生短促而多難,她像一顆在畫出美麗軌道之後迅速逝去的彗星,雖曾有耀眼的輝煌但更多艱辛與滄桑。關於蕭紅作品的評價一直以來衆說紛纭,特別是受時代政治環境的影響,褒貶不一,幾度沈浮。進入新時期以後,學者們盡量抛開政治偏見,試圖重新挖掘蕭紅小說的文學價值。然而有很長一段時間學界對於她富有傳奇色彩的人生經歷,尤其是感情經歷的過分關注,常常使其作品的文字魅力被忽視。目前,關於蕭紅文學作品的研究論文數量不少,但是重複性過多,主要集中在女性文學、鄉土文學和比較文學等方面。而對於其作品的悲劇意識一直缺乏系統和深入的研究。悲劇意識作爲人類重要的哲學意識之一,在文學上主要通過悲劇性作品來反映。蕭紅的作品大多數是悲劇性的,其中固然有她悲劇性人生經歷的影響,但更重要的是作家自覺的審美選擇。通過對蕭紅作品悲劇意識的研究可以更深刻地了解作者的人格和精神世界,更全面地把握文本的內容,理解作品的內涵。因此,本論文把蕭紅小說的悲劇意識定爲研究主題。研究結果簡述如下。 在考察蕭紅作品的悲劇意識之前,先簡單論述了悲劇意識的概念和蕭紅的悲劇意識。悲劇反映的是現實悲劇性,悲劇性作爲悲劇的核心內容,使悲劇具有最激動人心的、最具持久性、含有最深的文化意義的力量。悲劇性不僅存在於悲劇中,美術、音樂、小說等多種藝術形式都可以表現悲劇性。悲劇意識是對現實悲劇性的一種文化把握。西方的悲劇意識概念二十世紀初辛亥革命前後隨著希臘神話等西方悲劇作品的翻譯引進而傳入中國。中國文化中的悲劇意識和西方文化中的悲劇意識相比較,具有兩大特徵。一是中國文化的悲劇意識是柔性的,二是悲劇意識自身在運行中逐漸弱化。蕭紅因爲其自身悲劇性的人生經歷和魯迅等五四新文學作家的影響,她的悲劇意識具有啓蒙主義的特徵。可細分爲國民性悲劇意識、婚姻悲劇意識、遊子悲劇意識和亡國悲劇意識。 本論文以蕭紅的三部代表作爲研究對象,分析了作品中悲劇意識表現形式。蕭紅小說生動地刻畫了在落後和貧困中掙紮的東北農民的生活。貧困的物質生活和愚昧的精神世界是他們悲劇性人生的兩個主要方面。而其中蕭紅特別關注農村女性的痛苦。因此本論文從以上三個方面分析了蕭紅小說的悲劇性,試把握作者悲劇意識的形成原因和表現形式。 蕭紅在小說中真實地表現了農民們與動物相似的生存方式和對農作物與家畜的畸形的愛。二十世紀二、三十年代中國東北農村的經濟與生産極其落後。在貧困的生活環境中農民們只能默默地背負著生活的重擔,以動物式的生存本能維持著生命。對於農村的貧困惡循環,一開始蕭紅把批判的矛頭指向地主階級對農民的剝削,在《生死場》中蕭紅又認識到日軍的侵略使農民的處境更加悲慘。這種認識正是亡國悲劇意識的具體表現。 麻木的生命意識、守舊思想和非理性的迷信觀念構成了農民愚昧的精神世界。蕭紅提出了關於生命的悲劇性和生存意義的哲學思考。蕭紅小說的背景是貧困落後的東北農村,這裏的農民缺乏自覺的主體意識和理性的思考方式,他們無視生命的尊嚴。精神上的愚昧、無知和麻木導致了因循守舊的生活方式。對鬼神和來世的幻想也使他們更加漠視現實世界。蕭紅從國民性悲劇意識的觀點出發一方面批判了他們落後的生活方式和保守的人生觀,另一方面也對他們寄予了無限的同情。同時蕭紅也從遊子悲劇意識的觀點出發對他們頑強的生命力給予了積極的肯定。 蕭紅從外部的壓迫和內部的壓迫兩方面表現了女性主人公的悲劇性人生。如果說東北農民不分男女都是自然和地主,以及日本侵略軍的奴隸的話,那麽農村女性同時還是農村男性的奴隸。她們在和農村男性承擔著同樣沈重的體力勞動的同時,還是男性們發泄怒火和性欲的對象。造成女性悲劇的另一個原因來自女性自身。她们對痛苦無條件地忍耐,絲毫沒有反抗意識。更嚴重的是在封建傳統思想的毒害下,不自覺地壓迫同性,充當男性暴力的幫凶。蕭紅的婚姻悲劇意識着重表現了女性的悲慘命運和造成她們悲劇人生的原因。 本論文從敍事學的角度分析了蕭紅小說中體現悲劇意識的敍事技法。蕭紅的小說一般被評價爲散文化小說或者抒情詩小說。本論文從敍述結構和敍述視角兩個方面論述了蕭紅散文化小說的特色。蕭紅小說的敍述結構具有忽略時間,重視空間的特點。筆者認爲這種敍述結構上的特點可以更突出地表現作者的悲劇意識。小說以空間爲中心布局,不受時間的限制,可以更具體地展開對各個場景的描寫。蕭紅通過細致的場景描寫體現了作品的悲劇意義和自己的悲劇意識。蕭紅小說的敍述視角主要採用了全知視角和限制視角兩種視角。本論文以《呼蘭河傳》爲文本,分析了蕭紅小說敍述視角的特點。以往的研究結果一般認爲《呼蘭河傳》的第一、二章採用了全知視角,三到七章採用了限制視角。筆者排除了敍述人稱的影響,重新分析,得出了《呼蘭河傳》全篇都採用了限制視角的結論。蕭紅在作品中採用了多重視角的表現技法。即通過成人視角和兒童視角兩種視角進行了敍述。多重視角的運用也有助於作者表現悲劇意識。兒童視角的特徵不僅在於敍述者的年齡是兒童,更重要的是通過兒童的眼光來認識和理解世界。因此可以有效地表現成人視角容易忽略的,或者有意忽略的內容。並通過成人視角和兒童視角的對比渲染了情節的悲劇性。 本論文着眼於对蕭紅小說悲劇意識的考察。通過對蕭紅小說文本的分析,歸納總結了悲劇意識的表現形式,並從敍事學的角度論述了蕭紅小說中體現悲劇意識的敍事技法。雖然對蕭紅小說悲劇意識的研究還不夠全面和完整,但是對於之前沒有受到足夠重視的悲劇意識主題提出了自己的見解,具有一定的價值與意義。
蕭紅은 1930년대부터 1940년대 초까지 활동한, 중국 현대문단에 있어 중요한 여성 작가이다. 蕭紅의 소설작품은 대부분 비극적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비극의식은 인류의 근원적 의식 가운데 하나이다. 작가는 문학작품 창작을 통해 작가 나름의 비극인식을 드러내는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볼 때 蕭紅 소설에 나타난 비극의식에 대한 연구는 작가의 인격과 사상을 이해함과 동시에, 작품의 창작동기와 텍스트 내용 및 주제 등을 파악함에 있어 주요한 요소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蕭紅 소설에 나타난 비극의식 연구는 蕭紅 소설을 세밀하게 이해하는데 적합한 작업이라고 볼 수 있다. 蕭紅 관련 기존 연구 성과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새로운 각도로 비극의식을 연구하고자 한다. 蕭紅 소설에 나타난 비극의식을 연구하기 위해 우선 蕭紅의 비극적 생애를 살펴보았다. 본론에서는 張法의 이론에 근거하여 비극일반론과 蕭紅이 갖고 있던 비극의식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정리했다. 蕭紅은 자신의 불우한 인생경험과 魯迅 등의 5·4신문학 작가들의 영향 하에 계몽적인 비극의식을 갖게 되었다. 이러한 蕭紅의 비극의식은 네 가지 정도로 분류해 볼 수 있다. 즉, 민족적 비극의식, 婚姻 비극의식, ‘遊子’로서의 비극의식 과 亡國에 대한 비극의식 등이 그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蕭紅 소설에 나타난 비극의식을 고찰하기 위해서 소설 내용 가운데 비극의식이 드러난 양상을 분석해보았다. 蕭紅 소설에는 빈곤을 숙명으로 받아들이고 무기력하게 살아가는 동북 농민의 낙후한 생활이 현실감 있게 그려져 있다. 농민들의 궁핍한 물질생활과 우매한 정신세계는 그들 비극적 삶의 두 가지 기본요소가 된다. 蕭紅은 농민 그 중에서도 농촌 여성의 고통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궁핍한 물질생활과 우매한 정신세계, 그리고 여성에 대한 핍박 세 방면으로 나누어 蕭紅 소설에 나타난 비극성을 파악하고 작가의 비극의식이 형성된 원인과 표출 양상을 분석했다. 蕭紅은 농민들의 비인간적 생존방식과 인간의 존엄보다도 농작물과 가축에 더욱 집착할 수밖에 없는 물질적 빈곤 등을 사실감 있게 드러냈다. 이러한 농촌지역의 빈곤 악순환에 대해 蕭紅의 亡國에 대한 비극의식의 표출로 드러난 것이다. 무감각하고 무기력한 생명의식, 보수적 봉건사상과 비이성적 각종 미신관념 등은 농민들의 무지몽매한 정신세계를 여실히 드러냈다. 蕭紅은 민족적 비극의식의 형태로 그들의 생활방식과 보수적 세계관을 비판하기도 했지만, 이러한 농민들의 성향에 대해 안타까운 동정을 표출하기도 했다. 이와 동시에 蕭紅은 자신의 고향이기도 한 동북지역 농민들의 강한 생명력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견해도 갖고 있었다. 이러한 관점은 蕭紅의 ‘遊子’로서의 비극의식으로 표출되었다. 蕭紅은 소설을 통해 여성에게 가해지는 핍박 양상을 두 가지 관점에서 접근했다. 즉, 외부적 핍박과 내부적 핍박이 그것이다. 외부적 핍박이 여성에게 가해지는 모든 외부적 억압상황을 뜻한다면, 내부적 핍박은 여성이 여성을 구속하는 억압상황을 뜻한다. 본 논문은 敍事學의 관점에서 비극의식을 중심으로 蕭紅 소설의 서사기법을 연구했다. 蕭紅의 소설은 일반적으로 散文化소설, 혹은 詩化소설이라고 평가된다. 蕭紅의 산문화 소설에는 서사 구조의 특징과 서사 시사시점의 특징이 있다. 蕭紅 소설의 서사구조에는 시간보다 공간을 중시하는 특징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簫紅은 전지적 서사시점과 제한적 서사시점을 동시에 활용하고 있다. 본고는 주로《呼蘭河傳》을 텍스트로 삼아 簫紅 소설의 서사시점상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蕭紅은 이 작품에서 이중시점이라는 서사기법을 활용했다. 본 논문은 蕭紅 소설에 나타난 비극의식에 대해 서술 분석했다. 필자는 기존 연구에서 거의 다루지 않았던 蕭紅 소설의 비극의식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했다는 점에서 나름대로의 의의를 가진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