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中等音樂敎師 專門性 伸張 敎育 實態와 發展 方案 / A study on practices and improvement strategies of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for music teachers in secondary school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Language
Korean
Abstract
예술교과로서의 음악교육이 학교교육에서 중시되어야 함에도 입시위주의 중등학교 교육풍토로 인하여 음악교과는 주변 교과로 취급받아왔다. 특히 중등학교 체육·예술교과의 평가결과 기록 방식이 중학교는 5등급(수, 우, 미, 양, 가) 절대평가에서 3등급(우수, 보통, 미흡) 절대평가로, 고등학교는 원점수/과목평균(표준편차), 9등급 상대평가에서 3등급 절대평가(우수, 보통, 미흡)로 바뀌고, 과목 단위의 계열 석차 기록이 폐지되는 내용 등의 생활기록부 기록 방법 개선령이 공포됨으로써, 2009학년도부터 상급학교 진학 내신 반영에서 음악교과 성적 반영의 틀이 크게 바뀌게 되었다. 이에 중등학교 음악교육이 외면당하고 파행적으로 운용될 가능성이 충분히 있기 때문에 음악수업의 질 제고와 음악교사의 신분을 공고히 하기위한 음악교사의 전문성 신장이 절실히 요구된다. 그동안 중등음악교사들의 전문성 신장교육은 다양하게 이루어져 왔으나 자율적 성장 기제로써의 본질적 목적보다 연수성적 관리 차원의 수단적 목적으로 행하여졌기 때문에 만족도와 참여도가 낮고 효과성도 의문시 되고 있다. 이에 음악교사의 전문성 요인을 규명하고, 중등음악교사의 전문성 신장 교육 실태를 조사하여, 중등음악교사의 전문성 신장 교육 발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중등음악교사의 전문성 요인은 무엇인가? 중등음악교사 전문성 신장 교육의 실태는 어떠한가? 중등음악교사 전문성 신장 교육 발전 방안은 무엇인가?’ 라는 세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여, 문서분석, 설문조사, 포커스 그룹 면담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교사 자질과 능력 및 미국과 국내의 음악교사자격기준에 관한 학자들의 연구와 문서분석을 통하여 음악교사 전문성 요인을 규명하였고, 음악교사 전문성 신장 교육 실태를 법정연수(연수성적과 연수이수학점을 부여받는 직무연수), 자율연수(연수이수학점만 부여받는 직무연수), 자기계발(15시간미만의 직무연수나 학회 및 음악교과연구회, 음악교과 관련 자생연구동아리 활동, 세미나·워크숍, 실기연마를 위한 학원 수강 및 사사 활동 등) 별로 범주화하여 현황, 만족도, 문제점, 교육요구를 설문조사하였다. 국가기관 및 특수분야 연수기관 등의 홈페이지와 연수교재, 연수결과보고서등의 문서분석으로 중등음악교사 전문성 신장 현황을 조사하였고, 경남도내 중등음악교사 250명(5개 시, 5개 군)을 대상으로 성별, 교직경력별, 재직학교별, 전공별로 설문조사하여 중등음악교사 전문성 신장 교육의 만족도와 문제점, 그리고 교육요구를 조사하였으며, 설문조사 결과 도출된 주요 쟁점을 중심으로 사범대학 음악교수와 중등학교 음악교과 관리자들의 포커스 그룹 면담 조사로 음악교사 전문성 신장 발전 방안을 모색한 결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교사 전문성의 일반 요인으로서 인격, 가치관 및 태도, 교과관련 지식, 교수 방법적 지식, 교직일반 능력 등을 확인하였으며, 음악교사의 전문성 요인으로서는 인격과 가치관 및 태도(음악교육철학, 교직윤리, 전문성 개발, 관계·소통·협력), 음악교과 관련 지식(음악이론, 분석·비평, 독보력, 연주능력, 작곡, 지휘, 감상), 교수 방법적 지식(음악교육이론, 수업설계, 교육과정, 교육공학, 수업기술, 음악교수기능), 교직일반 능력 등을 확인해 낼 수 있었다. 결국, 이상적으로 음악교사는 건전한 인격체로서의 보편적 특성을 지니고 있어야 할 뿐만 아니라 음악 교과 자체에 대한 전문성과 교수 기법에 관한 역량, 그리고 직업인으로서의 교사가 갖추어야 할 일반적 능력을 균형있게 지니고 있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물론, 이 다섯 가지 전문성 요인의 상대적 중요성에 대해서는 관점에 따라 그 판단이 달라질 수 있는 만큼 향후 이에 대한 논의가 지속될 필요가 있다. 둘째, 음악교사의 전문성을 신장하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유형별 실시 현황과 관련하여 법정연수가 자율연수나 자기계발 연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합성이 낮아 개선의 여지가 많음을 알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중등음악교사 자격연수가 교사 근무지와는 다른 타 시·도에서 개설되는 경우가 많아 불편을 겪고 있었으며, 직무연수 과정의 수가 매우 부족할 뿐만 아니라 교과 과정의 교과목 구성에서는 교수 방법적 지식의 비율이 점차 높아지고, 연수 강사 대부분은 대학교수로 구성되고 있었다. 이를 볼 때, 법정연수는 전반적으로 만족도가 낮은 편에 속하는 것을 찾아낼 수 있었다. 한편, 자율연수는 경남 지역의 특수 분야 연수기관 직무연수 과정이 늘어나고 있고, 합창·합주·풍물 등 실기 위주 연수 과정이 많으며, 비교적 연수강사들도 다양하게 구성되고 있었다. 또한, 자기계발연수과정은 교수 방법적 지식 중심의 프로그램들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소수가 참여하고 있으며, 연수강사는 전문가를 중심으로 구성되고 있었다. 이와 같이 자율연수나 자기계발 연수는 그 구조나 운영의 측면에서 법정연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체계성이 낮은 편이지만, 특수 분야의 실질적 연수 필요성과 요구를 반영하는 경향이 높아 참여자들의 호응도나 만족도는 높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향후 법정연수는 그 내용이나 운영방법에 있어 적합성과 유연성을 제고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며, 상대적으로 자율연수나 자기계발 연수는 프로그램의 규모나 참여 인원의 확대를 통해 활성화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셋째, 음악 교사 전문성 신장 교육의 유형별 만족도에 있어서는 자기계발 유형이 교과 과정 편성, 강사의 질, 학사운영, 현장교육 도움 등의 측면에서 모두 높게 나타났다. 이와는 달리, 국가 연수기관 직무연수는 교육요구 반영, 강사의 질, 교과과정 등에서 문제가 많다고 지적되었으며, 특수 분야 연수기관 직무연수(60시간이상)가 평가 운영의 측면에서, 세미나·워크숍이 연수 경비의 측면에서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직 수행에서 가장 도움이 되었고, 음악실기 기능 연마에 가장 효과적이며, 전문성 신장 교육 지원체제를 강화해야 할 교육 유형으로는 자율연수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결국 교원의 연수 만족도는 전문성 신장 교육의 유형과 무관하게 대부분이 교육내용의 적합성, 우수한 강사의 활용, 공정한 평가 등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연수 프로그램의 개선을 위해서는 자기계발 연수와 같이 적합성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함과 아울러 내용과 교수진을 강화하는 노력이 요구된다고 볼 수 있다. 넷째, 음악교사 전문성 신장 교육의 미래 발전 방안은 다양한 측면에서 제안되었다. 먼저, 교과목의 배정 비율에 있어서는 음악과 자격 연수 교과 과정 표준화 틀 안에서 예술교과와 교과교육학을 일정 비율 배정해야 한다는 주장이 강하게 나타났다. 연수 강사에 있어서는 음악 교과교육학 전공교수 및 경험이 풍부한 현장 음악교사나 전문가들로 구성해야 한다고 인식하였으며, 음악(전공)교과 주기별 의무 연수제의 실시, 15시간미만 직무 연수의 학점화 검토, 연수시기의 다양화로 원격연수의 활성화, 찾아가는 맞춤식 연수 개설, 그리고 단시간 장기간(短時間 長期間) 연수 개발 등이 필요한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음악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육 인센티브 부여와 관련해서는 특수 분야연수 기관 직무연수의 연수 경비 지원에 대한 학교장의 관심과 연수 주체의 홍보 강화, 학원 수강이나 사사 활동 경비 지원을 위한 바우처 제도 도입, 음악교과 관련 세미나·워크숍 참여자에 대한 인센티브 등 교원의 참여를 활성화할 수 있는 각종 지원 방안들이 제시되었다. 또한 학생지도 실적 및 수업우수교사에 대한 승진 가산점 부여와 연수활동비 지원의 현실화, 교사 자발성에 의한 전문성 신장 정책의 개발 등이 적극적으로 모색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1세기 감성 시대의 중등 교육은 수학·과학을 포함한 주지교과의 학습에만 치중해서는 안 될 것이다. 음악과 미술을 포함한 예술적 감성과 직관 능력을 길러 주어야 한다. 음악교육의 질적 성장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음악교사의 높은 음악적 전문성이 필수적이다. 교사 자신이 자발적 학습자로서의 진취적인 직업인 정신을 지녀야 할 뿐 아니라 실질적으로 교원의 전문성을 신장할 수 있는 훈련과 연수의 기회도 부여해야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가 밝힌 음악 교사의 전문성 요인은 향후 체계적인 교사 연수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핵심역량으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연수 유형별 특징과 교사 및 전문가들이 제안한 발전 방안 등은 향후 효과적이고 현장성 높은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하는 데 매우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Although music education should be emphasized in school education as an art subject, music subject has been recognized as a minor subject because of distorted secondary school system focusing on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It is true that there are many alternative ways to improve music education, among them, professional development efforts to enhance the quality of music classes and strengthen music teachers' status in school are necessarily required. Until recently, various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for music teachers in secondary school have been implemented, however, satisfaction and participation level of teachers have been low and their effects have been doubtful because they have been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management of training score rather than a pure purpose such as positive self-development and self-realization. Therefore, the current study aimed to seek strategies of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music teachers in secondary school by examining professionalism factors of music teachers and studying actual conditions of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for music teachers in secondary school. Three questions of 'What are professionalism factors of music teachers of secondary school? What are actual conditions of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for music teachers in secondary school? What are strategies for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music teachers in secondary school?' have been established and conducted through document analyses, a survey and focus group interviews in this study. The professionalism factors of music teachers in secondary school were examined through analysing the studies and documents on the quality and ability of teachers as well as that of music teachers done by scholars both in Korea and the U.S. And a survey on actual practices of professional improvement programs for music teachers in secondary school was conducted by categorizing the programs into three regions: legal training programs, autonomy training programs, and self-development programs and a variety of realities such as actual conditions, satisfaction levels, problems, and educational demands were revealed through the survey. And add to some studies and documents researches in diverse areas and a survey by the 250 music teachers in Kyeongsang-nam-do, focus group interviews with music professors of educational department in universities and music subject supervisors of secondary school system were implemented and some improvement strategies of professional development of music teachers in secondary school were found as followings. First, it is found that general factors for the teachers' professionality are such as their personalities, senses of values and attitude, subject related knowledge, teaching methodologies, etc. and professionalism factors of music teachers include many factors; their personalities and senses of values and attitudes that can be accomplished by philosophy of music education, teaching profession's ethics, development of professionality, relationship·communication·cooperation, etc.; music related knowledge that contains music theory, analysis·criticism, music reading ability, performance ability, composition, conduction and appreciation; teaching methodology related knowledge like music education theory, lesson design, educational process, educational technology, teaching technique and music teaching ability; and general ability as a teacher. After all, balancing the general factors as a sound personality and professionalism factors as music teachers by music teachers are required. Moreover discussions about which factors are more important than other factors are needed later on. Secondly, according to a survey of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for music teachers, legal training programs required a change for the better considering that it is more inconvenient than autonomy and self-development programs. Among legal programs those on-the-job training programs for music teachers in secondary school are provided in other cities and provinces and the number of those programs is insufficient. Furthermore the proportion of teaching methodology knowledge in those programs is getting bigger, and lecturers for those training programs are mostly university professors. As for autonomy training programs, on-the-job training programs in training institutes in special parts are shown increasing in Gyeongsang-nam-do area, and many training programs focus on practice like chorus, ensemble and farmers' musical instruments, and lecturers for those training programs have various backgrounds. On the other hand, in self-development programs, most of the programs are focusing on teaching methodological knowledge and the number of people participating in those programs are limited but lecturers for those training programs are mainly experts that the satisfaction of the participants are relatively high. After all, legal training programs need flexibility in operating programs and autonomy and self-development training programs require revitalization through enlarging programs and participants. Thirdly, the satisfaction level of music teachers in professional development training programs shows that self-development teaching programs present high level in many factors like curriculum, lecturers' qualities, educational operating system, and actual usefulness in education etc. As opposed to that, on-the-job training programs run by the governmental training institutes reveal problems in those factors. And on-the-job 0ver-60-hour training programs run by training institutes in special parts have problems in evaluation system, and seminars and workshops have problems in training expenses. Thus autonomy training programs are supported as the most helpful in instruction and effective in improving music teachers' ability of performance and should be strengthened for their professionalism development. Consequently, suitability of the programs, competent lectures, and fair evaluation system altogether strongly effect the satisfaction degree of the training programs and should be importantly considered to reinforce music teachers' professionalism development training programs later on. Finally, improvement strategies of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for music teachers are supposed in many ways. Art related subjects and subject education should be alloted according to a certain proportion within a standardization frame of curriculum for music subject training in order to enhance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Also training lecturers should consist of both professors whose majors are music education, and school music teachers with affluent experience and experts. And compulsory training system on the regular basis should be implemented for music subject. It is necessary to review giving scores for on-the-job training with less than 15 hours in order to activate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for music teachers. Moreover, it is required to activate online training programs through diversification of training time, open tailor-made training programs by visiting the places where teachers work, and develop long-term and short-term training programs. On the other hand incentives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may include school principals' interest in supporting training expenses at on-the-job training programs at training institutes in special parts, reinforcement of public relations by training program organizers, introduction of voucher system to support attending private institutes and learning from private tutors, and incentives for participants in seminars and workshops related with music subject.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give extra points for promotion to teachers with excellent ability in teaching students, and support for training expenses, and develop professional development strategies by music teachers spontaneously. In 21st century, secondary education should not just concentrate on the main subject learning like math and science but imply the fine art and music subject to cultivate student's artistic sensibility and intuition. To improve music education in quality requires music teacher's high professionalism after all. Furthermore practical chances to enhance music teacher's professionalism through proper training programs as well as the spontaneous and enterprising teacher's professionalism should be required. Accordingly, the professionalism factors of music teachers in secondary education shown in this study could be used as the main components to develope music teachers training programs later on. Moreover the analyses of the training programs and strategies suggested by the teachers and experts may be fully useful to develope and operate effective and actual training programs for music teachers in secondary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