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수화와 북한손말의 어휘 비교 : 「한국수화사전」과 북한 「손말사전」을 중심으로 / The comparison of vocabulary of South Korean sign language : Based on "The dictionary for (South) Korean sign language" and "The dictionary for North Korean sign language"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수화
농아
북한
손말
Language
Korean
Abstract
This study is to compare vocabularies of the Korean sign language and North Korean sign language.In this thesis, I tried to analyze and explain the sense of alienation of SKSL and NKSL since 1909's the deaf education. And this is continued to the "Korean Manual Alphabet(KMA)" of South Korea at 1947. But, the another NKSL was known to South Korea at 2005 by "The dictionary of sign language" and "The studying for sign language" of North Korea. But how many different sign language is used in North Korea is still unknown.So, in this thesis, I choose same headwords from "The dictionary for Korean sign language" and "The dictionary for North Korean sign language" and I compared the structure of phoneme of SKSL and NKSL.First, it was analyzed and compared that the same phonemes of SKSL and NKSL in this study.Second, it was also analyzed and compared that the different point of phoneme.It was analyzed that 6,805 headword from "The dictionary for Korean sign language" and 2,388 headword from "The dictionary for North Korean sign language".It was concentrated on the structure of phoneme of Korean sign language in this study.Totally 1,660 vocabularies were extracted and those contained 286 vocabularies from “ㄱ”, 85 vocabularies from “ㄴ”, 133 vocabularies from “ㄷ”, 6 vocabularies from “ㄹ”, 138 vocabularies from “ㅁ”, 179 vocabularies from “ㅂ”, 194 vocabularies from “ㅅ”, 211 vocabularies from “ㅇ”, 174 vocabularies from “ㅈ”, 70 vocabularies from “ㅊ”, 15 vocabularies from “ㅋ”, 28 vocabularies from “ㅌ”, 44 vocabularies from “ㅍ” and 97 vocabularies from “ㅎ”.In this thesis it was compared the same headwords between "The dictionary of Korean sign language" and "The dictionary of North Korean sign language" by the criterion of analysis. And this criterion included a handshape, a movement, a location and a orientation.The different vocabularies of SKSL and NKSL were analyzed and this study was based on comparing the structure of vocabulary of SKSL and NKSL with unit phoneme at the center.The result from this study is below.First, total 213 of 1660 vocabularies has exactly same unit phoneme with “The dictionary of Korean sign language” and this occupy 13% in the rate of total.Even though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was happened after liberation from the Japan, the sign language was shared as one nation uses same language “Hangul”.The number of matched rate 13% was seen as the evidence which mean that NKSL was changed with the stream by the difference of culture and language.Second, it was totally different 671 vocabularies and 40% in rate of all vocabulary and one more matched unit phoneme was 776 vocabularies and 47% share of total vocabularies.There were the same shape with one hand and an elliptical shape of two phonemes in the case of one more matched unit phoneme. It is useful and almost same meaning for these cases.The same meaning from different sign language is appeared when the unit phoneme is not matched but the meaning is the same. There is much inconsistency in this comparison result, because the starkly different of language makes an impact on the sign language.This study deduces that there was a systematic sign language above a level of making motion as home sign before NKSL was accomplished. And it can show that NKSL also grows and expands naturally.So, I would like to propose the below conclusion from this basis.First, to provide Korea's unification, it should make the environment for studying the NKSL based on real data and it will help to minimize the difference between SKSL and NKSL.Second, to accomplish this, a representative of South and North deaf party and researchers need to find a way to overcome alienation of sign language through meetings and communications between them.
본 연구는 한국수화와 북한손말의 어휘를 비교한 연구이다. 1909년부터 시작된 농교육과 더불어 1947년에 창안된 한글지문자(남한)에 이르기까지 분단전에 사용된 수화가 남과 북으로 갈라지면서 언어에 이질감이 나타나게 되었는데, 2005년에 발간된 북한「손말사전」과「손말학습」두 권의 서적을 통하여 북한 수화가 남한에 알려지게 되었다. 그러나 얼마나 동일한 수화를 사용하는지 얼마나 다른 수화를 사용하는지 알려진 바가 없다. 이에 본 연구는「한국수화사전」과 북한「손말사전」의 동일 표제어를 선별하여 남북한 수화의 음운구조를 비교 분석하여 첫째, 남북한 수화어휘의 음운단위가 일치하는 것을 비교 분석하고 둘째, 남북한 수화어휘의 음운단위가 불일치하는 것을 비교 분석하였다.본 연구는「한국수화사전」과 북한「손말사전」을 비교하여「한국수화사전」의 표제어 6,805개와 북한「손말사전」의 표제어 2,388개 중에서 한국수화의 음운구조를 중심으로 비교 분석한 결과 총 1,660개의 어휘를 ‘ㄱ’에서 286개, ‘ㄴ’에서 85개, ‘ㄷ’에서 133개, ‘ㄹ’에서 6개, ‘ㅁ’에서 138개, ‘ㅂ’에서 179개, ‘ㅅ’에서 194개, ‘ㅇ’에서 211개, ‘ㅈ’에서 174개, ‘ㅊ’에서 70개, ‘ㅋ’에서 15개, ‘ㅌ’에서 28개, ‘ㅍ’에서 44개, ‘ㅎ’에서 97개를 각기 추출하였다.본 연구에서「한국수화사전」과 북한「손말사전」의 동일 표제어로 추출된 총 1,660개의 어휘를 수형, 운동, 방향, 위치의 분석기준에 의해 비교분석하여 두 수화 사이의 음운단위를 중심으로 한 어휘구조의 비교 분석을 통해 남북한 수화어휘의 차이를 알아보았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첫째, 분석한 결과 전체 1,660개의 어휘 중에서「한국수화사전」과 음운단위에서 모두 일치하는 경우는 총 213개의 어휘로 13%로 나타났다.광복 후 분단으로 인하여 남과 북으로 갈라졌지만 한글이라는 같은 언어를 사용하고 있는 민족으로서 분단 전에 수화가 서로 공유되었음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13%의 일치가 보여주는 것은 북한 수화 또한 시대의 흐름에 따라 문화적, 언어적 차이로 인하여 많은 변화가 있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둘째, 음운단위에서 모두 불일치하는 경우는 총 671개의 어휘로 40%였고, 음운단위 중 하나 이상 일치하는 경우는 총 776개의 어휘로 47%였다.음운단위 중 하나 이상 일치하는 경우에서 동형 한손인 경우와 두 형태소 중 한 형태소를 생략한 경우가 나타났는데 이것은 실제로 사용 가능한 수화이다. 음운단위가 불일치하나 의미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수화가 다르지만 의미가 같은 경우가 나타났다.비교 결과 일치보다 불일치가 많이 나타난 것은 음성언어에서 나타난 이질감이 수화에서도 뚜렷하게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북한에서도 수화라는 언어가 성립되기 이전에 홈 사인(Home Sign)으로 의사를 표현하는 단계를 넘어 체계적인 의사전달 도구인 수화로 자리매김하였다는 것이며 북한 수화 또한 자생적인 성장과 함께 발전되어져 왔다는 증거라 할 수 있다.이상의 결론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첫째, 통일 시대를 준비하며 실질적인 자료를 바탕으로 한 북한 수화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됨으로써 남북 수화의 차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둘째, 이를 위해서 남북 농아인 단체 대표는 물론 연구 관계자들의 만남과 교류를 통해서 수화의 이질감 극복을 위한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