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내 어린이박물관 색채 환경의 평가 분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Evaluation and Analysis of Color Environment of Children's Museum in Korea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Author
Source
Subject
어린이박물관
색채환경
어린이 공간환경
Language
Korean
Abstract
어린이박물관은 관람대상에 의해 그 유형이 분류되어지는 특수한 목적성을 가지고 있다. 어린이박물관은 어린이의 행태 및 행동발달특성을 바탕으로 'Hands- on'개념의 전시형태를 도입하여 발전시켜왔으며, 어린이들에게 학교와 가정에서 접하지 못하는 다양한 체험식 전시 및 활동을 통하여 호기심과 창의력, 학습동기를 유발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렇듯 다양한 양질의 교육적 동기를 제공하기위한 어린이박물관의 공간 환경은 매우 중요하며 행동발달특성상 형태보다 색채에 민감한 어린이에게 어린이박물관의 색채 환경은 단연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첫째, 어린이의 특성을 고려한 색채 환경의 중요성을 바탕으로 현재 어린이박물관의 실내 색채 사용 현황을 조사하여 각 박물관의 색채 환경에 관한 특성을 고찰해 보고자하며, 둘째, 어린이의 발달행태 및 특성, 색채심리의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색채분석의 평가기준을 마련하여 색채 환경을 분석 평가해 보고자하며, 셋째, 향후 새로운 어린이박물관 계획 시 어린이의 발달특성 및 색채심리를 고려한 색채를 사용하여 어린이박물관의 주목적성이 투영되는 어린이를 위한 공간 환경을 계획하는데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사례선정을 위하여 'Hand-on' 방식의 전시구성과, 규모면에서 너무 협소하여 작은 부속 전시실 형태의 경우를 제외한 300㎡이상의 독립적인 형태의 전시구성을 갖추어 놓은 어린이박물관을 선정하여 이론적 고찰을 통한 분석 기준의 기본 개념을 바탕으로 ‘행태개념성’, ‘영역인지성’, ‘시각구분성’, ‘색채선호성’이상 4개의 색채분석평가기준을 설정한 후 평가기준에 의해 색채 환경을 평가해 보았다. “국립광주박물관 어린이박물관”은 색채선호성에 있어 매우 우수하며 영역인지성, 시각구분성 또한 적절하여 평가기준에 적절한 만족감을 주고 있다. “국립중앙박물관 어린이박물관”은 각 영역의 주제별 느낌을 색으로 표현하여 영역인지성이 매우 뛰어나며 다른 기준 역시 우수한 색채 환경을 구성하고 있다. “국립청주박물관 어린이박물관”은 전체적으로 무난함을 보이고 있으나 활동영역내의 안정된 색채구성으로 행태개념적으로 조금 미흡함을 보이고 있다. “삼성어린이박물관”은 다양한 색채의 사용이 돋보이며 각 영역별 적절한 색채 환경을 구성 하고 있으나 행태개념성면에서 활동영역내의 채도가 많이 낮아짐을 보이고 있다. “어린이민속박물관”의 경우 단층전시구조인 만큼 영역인지성의 뚜렷함이 요구되어지나 그분분에 있어 미흡함이 보인다. 마지막으로 “인천어린이박물관”은 행태개념성, 영역인지성이 전혀 고려되지 못하였고, 전체적인 색채구성에 산만함을 주고 있어 시급한 색채 환경 개선이 요망된다. 이상의 사례분석을 통해 현재 국내 어린이박물관의 색채 환경은 크게 미흡하다고는 할 수 없으나 색채 계획의 기준점이 마련되지 못하였고, 어린이의 색채특성을 고려한 체계적인 색채계획이 이루어지기보다는 디자이너의 직관으로 색채 환경이 조성되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전체적인 색채 환경은 전시영역의 벽과 전시대에 한에서 재현 되고 있으며 바닥 및 퍼니쳐 등에는 색채계획의 영역이 미치지 못하고 있었다. 이러한 사례분석과 평가를 바탕으로 어린이박물관 전시영역의 색채계획 시 고려되어야 할 사항을 제언해본다. 첫째, 전시공간은 전시주제별 구획을 위해 실별로 나누거나 파티션이나 전시대를 이용하여 전시영역을 구획하며, 둘째, 전시영역 및 주제에 적합한 어린이의 행동패턴을 예상하여 어린이의 색채심리를 바탕으로 색채지원성을 높인다. 셋째, 어린이의 관람특성을 고려하여 자연스러운 동선 흐름 및 관람행태를 유도할 수 있으며, 넷째, 모든 전시장내의 색채 환경에 있어 어린이의 선호색을 균형 있게 사용하여 집중력과 흥미를 배가시킨다. 다섯째, 어린이박물관의 모든 색채 환경은 어린이의 발달특성 및 색채심리의 적극적인 고찰을 시행한 후에 이루어져야 한다.본 연구는 어린이박물관의 전시영역으로 한정지어 사례를 분석하고 평가기준의 틀을 마련하여 각 어린이박물관 전시영역의 색채 환경을 평가 하였으나 어린이박물관의 외부 공간 및 내부 공간의 영역별 구체적인 색채연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겠다. 이는 각 영역별 공간구성이나 색채 환경의 요소요소가 어린이들에게 경험되어지며 이러한 경험치는 어린이들의 성장함에 있어 영양제와도 같은 역할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앞으로 어린이박물관의 수요가 급증될 것을 예상하며 이에 따라 어린이의 발달특성 및 색채심리를 바탕으로 전문적이고도 체계적인 어린이박물관의 색채 연구가 계속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Children's museums have the specific purpose that they are targeting just children. Those museums have been developed by introducing a special exhibition type of 'Hands-on' concerning children's habits and characteristics of behavioral development, and they are aiming for causing curiosity, creativity, and learning motivation to children through various hands-on activity and which have not been experienced at home and at school. Accordingly, the satisfactory space environment of children's museum for offering various educational motivation is very important, and color environment of museum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element since children are more sensitive to color than shap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behavioral development. Therefore, the first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olor environment of each children's museum in Korea by investigating the status of interior color design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color environment for children. The second is to analyze the color environment with evaluation criterion of interior color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behavioral development and color psychology. The third is to suggest appropriate guideline for planning space environment for children by adopting proper color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behavioral development and color psychology when the next new Children's Museum is designed in the near future.Children's museums selected for this study have hands-on exhibition configuration and independent exhibition area more than 300m2, and those with small and limited exhibition hall attached to main exhibition were excluded. The color environment of selected museums were evaluated after providing 4 analysis criteria of behavior notion, zone cognition, visual distinguishment, and color preference with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fundamental notions. “Children's Museum in the Gwangju National Museum” gives proper satisfaction showing good color preference, very excellent zone cognition, and appropriate visual distinguishment. “The Children's Museum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shows excellent color environment, especially superior zone cognition expressing the impression of each zone with colors relevant to the theme. “Children's Museum in the Cheongju National Museum” shows satisfactory color environment on the whole except for a little poor behavior notion by adopting stable color at activity zone. “Samsung Children's Museum” adopted various colors and showed befitted color environment at each zone, but it uses much low chroma colors at activity zone which means poor behavior notion. “Children's Folk Museum” shows poor zone cognition even though it has a single story configuration with open space exhibition. “Incheon Children's Museum” didn't consider behavior notion and zone cognition well, and its color environment also gives inattentiveness to enjoyers. It is imperative to improve its color environment configuration. It is found through this case study that the color environments of children's museums in Korea were not too inferior, but no standards in color planning were not provided and color environment was designed in the basis of designer's intuition rather than systematical color planning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color for children. In addition, wall and booth in exhibition hall were the only parts to express the whole color environment but floor and furniture were excluded from the color planning.From this result, five subjects in color planning for exhibition area of children's museum were suggested. First, each exhibition zone should be distinguishable by designing each room with different exhibition theme or positioning partitions and booths. Second, children's behavior pattern should be predicted and supported in consideration of child psychology on color in each exhibition zone and theme. Third, natural moving sequence should be guided with proper color selection based on the children's characteristics of watching. Fourth, children's concentration and curiosity should be doubled by using preferred colors properly in whole exhibition hall. Fifth, color environment planning of children's museum should be carried out after considering actively the characteristics of behavioral development and color psychology of children.This study focused on exhibition hall in children's museum and tried to evaluate and analyse the color environment of that area based on analysis criteria, but systematical study on outer space of museum and detailed color study at each section of inner space is needed. The reason is that each space configuration and every element of color environment are experienced by children, and their experiences are one of the best nutrient for their future. The demand for children's museum will soar in the future and professional and systematical research on color environment of children's museum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behavioral development and color psychology of children should be implemen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