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Microsatellite marker를 활용한 칡소의 유전적 다양성 및 유연관계 분석
Studies on Genetic Diversity and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Chikso (Korea Native Brindle Cattle) Using the Microsatellite Marker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생명과학회지, 25(6), 182, pp.624-630 Jun, 2015
Subject
기타자연과학
Language
한국어
ISSN
2287-3406
1225-9918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genetic distance among Chikso (Korea native brindle cattle) in nine regional areas using allele frequencies and a genetic diversity analysis with microsatellite markers. The analysis of the genetic diversity and genetic relationships of 2068 Chikso (383 KW, 180 GG, 52 KN, 129 KB, 332 UL, 24 JN, 198 JB, 148 CN, 622 CB) was carried out using 11 microsatellite markers. The number of alleles, observed heterozygostiy (Hobs), expected heterozygosity (Hexp), and polymorphism information content (PIC) of the 11 microsatellite markers were 8–24, 0.672–0.834, 0.687–0.886, and 0.638–0.876, respectively. The expected probability of identity values in random individuals (PI), random half-sib (PIhalf-sibs), and random sibs (PIsibs) were estimated to be 5.24×10-19, 2.63×10-06, and 2.63× 10-06, respectively, indicating that these markers can be used for traceability systems in Chikso cattle. The results of a phylogenetic tree (neighbor-joining tree),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PCA), and factorial component analysis (FCA) revealed genetic distance among nine Chikso populations. In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useful basic data that can be utilized in Chikso breeding and development. In addition, we will have to manage and conserve as a valuable genetic resource, without losing diversity of Chikso.
본 연구는 microsatellite marker를 이용하여 국내에서 사육되고 있는 칡소 9지역 간의 유전적 거리 분석 및 계통 지도 작성 등의 계통유전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11종의 MS 마커를 이용하여 대립유전자의 수(No. of allele)를 확인한 결과 8에서 24개로 확인되었으며, 기대이형접합율(expected heterozygosity, Hexp)은 0.672에서 0.834 범위 안에 나타났으며, 관측이형접합율(observed heterozygosity, Hobs)은 0.687에서 0.886, 다형성정보지수(Polymorphism information content, PIC)은 0.638에서 0.876로 확인되었다. 무작위 교배집단(Random)으로 가정하였을 경우 동일개체 출현빈도는 11개의 marker를 사용하였을 때, 5.24×10-19 빈도로 출현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반형매 교배집단(Half-sib)과 전형매 교배집단(sib)으로 가정했을 경우에는 2.63×10-06, 2.63×10-06으로 각각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칡소의 개체식별 및 친지확인 marker로 11종의 MS marker가 충분히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Phylogenetic tree (Neighbor-Joining tree),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PCA) 그리고 Factorial Component Analysis (FCA) 분석을 통해 9 지역의 칡소 집단 간의 유연관계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칡소 품종을 중요한 가축유전자원으로써 인식하고 국내 타 품종과의 유전적 차별화와 순수성 보존과 능력을 개량하는데 있어 기초 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