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산도 나비 군집의 계절적 변화 및 다양성 연구
Phenological Changes and Biodiversity of the Butterfly Community on Cheongsando Island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한국도서연구, 32(4), 73, pp.287-299 Dec, 2020
Subject
지역학
Language
한국어
ISSN
1738-1592
Abstract
There have been several confirmed cases of the range expansion or habitat shifts of species due to climate change. In particular, insular organisms are more susceptible to habitat change or the introduction of invasive species than inland rela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llect data and monitor the phenological change and diversity of the butterfly populations on Cheongsando Island. On-site research conducted from April to October 2020 identified 476 individual butterflies of 24 species in 5 families. The dominance value of species was the highest in the family Nymphalidae with 7 species, The family Pieridae showed the largest number (208 individuals) in the collected butterfly populations. The most frequently-observed species was the Cabbage butterfly (Pieris rapae) with 125 individuals accounting for 26.3% of the total population. The monthly monitoring of the phenology in butterfly populations suggested that both species diversity and abundance were highest in September, and species richness and species diversity were highest in September, index of dominance were highest in June, and species evenness were highest in April. Among the 24 species, 17 species habitat type were grassland and food types were herb. The reason is assumed to the survey area is a mixture of arable land and flame grass communities that are not dense with forests. Compared to the neighboring areas such as Wando and Haenam, the butterfly fauna of Cheongsando has been poorly studied. Twelve species of butterflies were added through this study to the preexisting list of butterflies on Cheongsando Island. Based on the existing data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number of butterflies living in Cheongsando Island was 27 species in 5 families, including 9 species of Nymphalidae, 5 species of Papilionidae, Pieridae, Lycaenidae, and 3 species of Hesperiidae. The existing data have been identified, but there are three species that were not found i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is data could be used to track biodiversity changes from the southern tip of the Korean Peninsula.
국내 곤충 중 나비 종 수는 다른 곤충 무리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적지만, 대중적 인지도가 높고 애벌레의 먹이식물 특이성과 비교적 잘 밝혀진 생활사로 인하여 생물상 변화에 대한 대상 모니터링 분류군에 적합하다. 기후변화로 인하여 국내외로 생물들의 서식범위가 확장하거나 이동하는 현상이 확인되고 있으며, 특히 섬지역에 서식하는 생물들은 육지에 비하여 좁은 서식지와 한정된 자원으로 인하여 내부 서식지 변화나 외래종의 침입에 취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청산도 나비 군집의 계절적 변화와 다양성을 확인하여 향후 기후변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는데 목적이 있다. 2020년 4월부터 10월까지 현장조사 결과, 5과 24종 476개체를 확인하였다. 과별 종 우점도는 네발나비과(Nymphalidae)가 7종으로 가장 높았으며, 채집된 개체수는 흰나비과(Pieridae)가 208개체로 가장 많았다. 가장 많이 채집된 종은 흰나비과의 배추흰나비(Pieris rapae)로 125개체가 확인되었으며 전체 개체수의 26.3%를 차지하였다. 월별 나비상의 변화를 확인한 결과 종수와 개체수 모두 9월에 가장 많이 확인할 수 있었다. 종풍부도와 다양도 지수는 9월에 가장 높았으며, 우점도는 6월에 가장 높았고, 균등도는 4월에 가장 높았다. 생태적 특성을 확인해 본 결과, 전체 24종 중 17종의 서식지 타입은 초지, 먹이 타입은 초본인 종으로 나왔는데, 조사지역이 산림이 울창하지 않은 경작지와 억새군락이 혼재된 지역이기에 이러한 결과가 나온 것으로 판단된다. 환경부 지정 국가 기후변화 생물지표종(100종)과 후보종(30종) 가운데 2020년 현장조사결과 지표종 2종인 남방노랑나비(Eurema mandarina), 물결부전나비(Lampides boeticus)가 관찰되었고, 국외반출승인대상 생물자원중 1종인 제일줄나비(Limenitis helmanni)가 관찰되었으며, 농림축산식품부에서 지정한 국외반출승인대상 농업생명자원 중 1종인 호랑나비(Papilio xuthus)도 확인하였다. 인근 섬인 완도의 우점종과 청산도의 우점종이 서로 다른 것은, 지리적으로 가까운 두 섬이지만, 완도는 청산도보다 고도가 높은 산지가 많고 본 연구는 청산도 중심의 경작지와 억새군락 근처에서 조사한 결과이기에 차이가 나는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기존의 여러 문헌들을 확인하였지만, 인근의 완도나 해남과 같은 내륙지방에 비하면 청산도에서 서식하는 나비상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는 거의 없었다. 기존 자료와 이번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리한 결과 청산도에 서식하는 나비는 5과 27종으로 네발나비과 9종, 호랑나비과(Papilionidae), 흰나비과, 부전나비과(Lycaenidae) 5종, 팔랑나비과(Hesperiidae) 3종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청산도에서 서식하는 종을 기존문헌보다 12종 더 추가하게 되었으며, 문헌에는 서식이 확인되었지만 본 연구에서 확인되지 않은 종은 총 3종이었다. 이러한 기초자료의 축적은 한반도 남단에서 서식하는 종의 변동을 추적할 수 있는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