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외식업 종사자의 소통에 관한 고객과 종사자의 인식 차이: 소통능력과 공감능력의 인식과 소통만족에 관하여
The Difference on Perception of Restaurant Servers’ Communication Competence between Customers and Workers: A Study on Communication Skill, Empathy Skill, and Satisfaction of Communication
Document Type
Article
Author
Source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0(11), pp.88-100 Nov, 2020
Subject
학제간연구
Language
한국어
ISSN
2508-6723
1598-4877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the impact of perceiving communication and empathy skills of workers in the food service industry on communication satisfaction. This study surveyed 715 customers and workers. First, the result showed that the higher the people thought communication skills of worker were, the higher they felt satisfaction on communication in restaurants for both customers and workers. Workers perceived their communication kills better than customers did. Second, the higher the people thought empathy skills of worker were, the higher they were satisfied on communication in restaurants for both customers and workers. Workers perceived their empathy kills better than customers did. Lastl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communication and empathy skills independently had the impact on communication satisfaction for customers. But only communication skills had the impact on satisfaction amongst workers. Maybe the impact of empathy skill was included with that of communication skills. This indicated that there existed the perceptual difference between customers and laborers about communication satisfaction.
이 연구는 외식산업 종사자의 소통과 공감능력에 대한 고객과 종사자의 인식이 소통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 연구를 위해 715명의 고객과 종사자를 대상으로 외식산업 종사자의 소통능력, 공감능력과 소통만족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고객과 종사자 모두가 외식산업 종사자의 소통능력을 높게 인식할수록 소통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종사자는 고객보다 종사자의 소통능력을 더 높게 평가하고 있다. 둘째, 고객과 종사자 모두 외식산업 종사자의 공감능력을 높게 인식할수록 소통만족이 높게 나타났으며, 종사자는 고객보다 종사자의 공감능력을 더 높게 인식한다. 셋째, 소통만족에 대한 고객과 종사자 두 집단 간의 차이에서, 종사자는 고객보다 소통만족을 더 높게 인식했다. 마지막으로 다중회귀 분석 결과를 보면, 고객의 경우는 종사자의 소통능력과 공감능력에 대한 인식이 모두 소통만족에 영향을 미쳤으며, 종사자의 경우 종사자의 소통능력에 대한 인식만 소통만족에 영향을 미쳤다. 이는 공감능력 인식의 영향이 소통능력 인식에 함께 포함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는 외식산업 매장의 소통 차원에서 고객과 종사자의 인식 차이를 분석하여 향후 이 간극을 좁혀야 할 필요와 방향을 확인하였다는 데 의미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