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 언론매체의 말글과 어문 규범
Language of Korean Press Media and Korean Language Standard
Document Type
Article
Author
Source
겨레어문학, 0(53), pp.181-236 Dec, 2014
Subject
한국어와문학
Language
한국어
ISSN
2713-9611
1229-5175
Abstract
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use of language in Korean press media based on the current Korean language standard. The scope of press media was limited to quasi-public national newspapers and broadcasts, and the languages used on such press media by media professionals were analyzed and discussed. The study focused on languages produced and disseminated during 2009~2010. Sources created before 2009 were also reviewed as needed. All discussions were conducted specifically with practical examples. The contents was written in categories of spellings, words, sentences and pronunciation for convenience purposes. As a result, major parts of this study had been distributed to analyze and discuss the language of press media but, it was also focused on the issues of the Korean language standard at times. Urgent issues in the current Korean language standard stressed out in this study are: ‘sai(inter) ㅅ’ rule, use of connective ending ‘­eullaeya(­을래야)’ and use of the word ‘naejeong­ja(내정자)’. There also can be issues to be considered in word spacing(띄어쓰기) and Korean standard pronunciation rules. 2. Language standards do not exist for the languages of press media, and the languages of press media also do not exist for the language standards. However, those two are very closely connect­ ed, and both influence language users' use of language in great amount. When the two are inconsistent, language users fall into a state of confusion and anxiety. Therefore, the languages of press media and language standards shall provide efforts to stay consist­ ent. However, it is also not advisable for the two to stay consistent unconditionally. The basics of Korean language shall be maintained while attempts to establish and expand the identity of Korean language are accompanied. It is not desirable when the two collude to support or protect each other's deviations.
이 작업은 현행 어문 규범에 비추어 한국 언론매체의 말글 사용 실상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분석 대상은 비교적 공공성과 공간적 대표성이 강한 신문과 방송에 나타난, 언론매체 전문 종사자의 말글로 한정하였으며, 시기적으로는 2009~2010년에 생산된 자료에 집중하였다. 모든 논의는 구체적인 용례를 토대로 진행하였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표기, 낱말, 문장, 발음으로 나누어 기술하였다. 대부분의 논의는 언론매체에 초점이 맞추어졌지만, 언어 규범에 맞추어진 것도 있다. 언어 규범에서 발견되는 시급한 문제점으로는 사이ㅅ 표기 규정, 이음씨끝 ‘­을래야’의 처리, 낱말 ‘내정자’의 처리 등이며, 띄어쓰기나 표준 발음과 관련해서도 중의를 확인해 볼 점이 없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언어 규범과 언론매체의 말글은 매우 밀접한 관계에 있다. 그 둘의 사이가 어긋나거나 멀어져 있으면 국민은 혼란스럽고 불안한 상태로 빠져든다. 그러니 언론매체의 말글과 언어 규범이 따로 놀지 않도록 서로 노력해 나가야 한다. 하지만 서로의 일탈을 뒷받침하거나 옹호해 주는 형국은 경계해야 할 것이다. 여기서 논의하고 기술한 것이 언론매체 말글의 전체상이라 할 수 없다. 더 살펴야 할 부분이 많으며, 좀 더 폭넓게 정밀히 논의해야 할 사항도 있다. 앞으로 더 합리적이고 유익한 연구가 이어지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