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비초등교사의 음악과 교수역량 함양을 위한 수업 분석 준거의 적용 유효성 탐색
Exploring the Effectiveness of Using Instruction Analysis Criteria to Cultivate Music Teaching Competency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4), pp.633-650 Feb, 2024
Subject
교육학
Language
한국어
ISSN
2671-776X
1598-2106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예비초등교사의 교수역량을 함양하기 위해 음악과 수업 분석 준거를 추출하고 적용해 봄으로써 예비초등교사의 음악수업의 계획과 실행에 대한 참여적 이해를 도모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방법 이를 위하여 문헌연구를 통해서 음악교수역량의 개념 및 요소를 재탐색하고, 수업 분석 및 음악과 수업 평가와 관련된 기존연구를 기반으로 예비초등교사 양성과정에서 적용할 수 있는 수준의 음악과 수업 분석 준거를 추출하였다. 수업의 설계-실행-성찰의 3개 영역과 14개 구성요소, 그리고 42개 지표로 구성된 분석 준거를 관련 강좌에 적용하고,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소그룹 면담을 실시하여 준거 활용에 대한 예비초등교사들의 반응과 준거의 유효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음악수업 분석 준거의 적용 유효성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음악수업 분석 준거를 사용한 대부분의 예비초등교사들은 모의음악수업 과제를 수행함에 있어 분석 준거의 사용이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하였다. 면담에 참여한 예비초등교사 대부분은 음악수업분석 준거가 수업 지도안 계획 및 작성, 모의수업 실행 준비, 자기 모둠 및 다른 모둠의 수업 분석과 반성 측면에서 도움이 되었다고답변하였다. 또한 음악수업 분석 준거는 모의수업을 계획하고 점검하는 데 가이드 역할을 하기 때문에 필요하다고 보았으며, 수업지도안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수업의 방향 설정이나 내용 선정에 도움이 많이 되기 때문에 분석 준거를 계속해서 사용하고 싶다고하였다. 결론 음악수업 분석 준거의 유용성, 활용 가능성, 효과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무엇보다 연구에 참여한 예비초등교사들의 수업 분석준거 활용에 대한 적극적 반응과 지속적 관심은 예비초등교사 양성과정에서 음악수업 설계와 실제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지원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mote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articipatory understanding of the planning and execution of music lessons by using instruction analysis criteria, and to cultivate their music teaching competency.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to reexamine the concepts and elements of music teaching competency through a literature review. Drawing upon existing research related to lesson analysis and music lesson evaluation, criteria for analyzing music lesson applicable to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extracted. The analysis criteria, comprising three domains (planning, instruction, reflection) with 14 components and 42 indicators, were applied to relevant courses. Additionally, surveys and small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participants to analyze their reactions to the criteria's utilization and assess its effectiveness.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analysis criteria's effectiveness for music instruction was high. The majority of participants responded that the use of the analysis criteria was helpful in carrying out microteaching in music subject. Most of the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small group interviews answered that the criteria were helpful in planning their music lesson plans, preparing their microteaching, and reflecting on their own and other groups’ teaching. In addition, the teachers viewed that the analysis criteria were necessary because they could serve as a guide for planning and implementing music teaching. They expressed a desire to continue using the criteria because they found it highly helpful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lesson plans, particularly in determining the direction of the instruction and selecting its content. Conclusions The usefulness, applicability, and effectiveness of the criteria for analyzing music instruction were confirmed. Above all, the enthusiastic response and continued interest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regarding the utilization of the analysis criteria suggest the need for more active support in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usic lessons in elementary teacher training progra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