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크로스핏 운동이 남자 대학생의 건강 관련 체력 및 기능적 움직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rossFit Exercise on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and Functional Movement Screen in Male University Students
Document Type
Article
Author
Source
한국체육교육학회지, 28(5), pp.321-332 Dec, 2023
Subject
교육학
Language
한국어
ISSN
1229-9685
Abstract
목적: 본 연구에서는 규칙적인 운동을 수행하지 않는 남자 대학생을 위한 12주간의 크로스핏 운동이 건강관련 체력 및 기능적 움직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보다 안전하고 효과적인 운동 프로그램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대상자는 평소 규칙적인 운동을 수행하지 않으며, 근골격계 질환이 없는 자로 G광역시 소재 남자대학생 24명을 무선할당 방법에 의해 크로스핏 운동집단 12명과 통제집단 12명으로 구분하였다. 운동집단은12주간 주 2-3회, 회당 50분간 크로스핏 운동을 수행하였고, 통제집단은 계획된 운동을 하지 않고 평상시 일상생활을 유지하였다. 모든 피험자는 운동 전과 후에 건강 관련 체력(신체조성, 심폐지구력, 근력, 근지구력, 유연성 및 순발력) 및 기능적 움직임 평가(딥 스쿼트, 허들 스텝, 인라인 런지, 어깨 가동성, 능동적 하지직거상, 몸통 안정성 및 회전 안정성)를 측정하였다. 결과: 건강 관련 체력에서는 근육량(p=.006), 체지방률(p=.001), 심폐 지구력(p=.003), 근력(p=.018), 근지구력(p=.007), 유연성(p=.003) 및 순발력(p=.009)이 기능적 움직임에서는 딥 스쿼트(p=.016), 어깨 가동성(p=.032), 몸통 안정성(p=.026) 및 총점(p=.001)은 집단 및 시기 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에서의 크로스핏 운동은 규칙적인 운동을 수행하지 않는 남자 대학생의 건강 관련 체력 및 기능적 움직임에 긍정적인 효과를 초래하였으며, 이는 대상자의 운동 수준에 맞는 크로스핏 운동 프로그램 설정이 주요하였다고 생각된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CrossFit exercise on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and functional movement screen (FMS) of male college students with no prior experience in regular exercise. Methods: The subjects (n=24)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a crossfit exercise group (n=12, CEG) or a control group (n=12, CON). CEG performed CrossFit exercise for 50 minute per day, and 2∼3 times per week, for 12 weeks.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body composition, cardiovascular endurance, strength, muscular endurance, flexibility, and standing broad jump) and FMS (deep squat, hurdle step, in-line lunge, shoulder mobility, active straight leg raise, trunk stability push-up, and rotary stability)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12 weeks of CrossFit exercise.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muscle mass (p=.006), body fat (p=.001), step test(p=.003), grip strength(p=.018), sit up(p=.007), sit and reach (p=.003), standing broad jump (p=.009), deep squat (p=.016), shoulder mobility (p=.032), trunk stability push-up (p=.026), and total score(p=.001)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compared with that before CrossFit exercise. Conclusion: Our findings indicate that CrossFit exercise has beneficial effects on performance improvement in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and FMS in male university students. Thus, we suggest that the CrossFit exercise program used in this study can be used more safely and effectively for male university students with no prior experience in regular exerci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