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동덕여대 박물관 소장 조선시대 여성 장신구 연구-조형미와 제작기법을 중심으로-
Research on women's accessories from the Joseon Dynasty owned by Dongduk Women's University Museum: Focusing on production techniques
Document Type
Article
Author
Source
동서미술문화학회 미술문화연구, 27(27), pp.299-336 Dec, 2023
Subject
미술
Language
한국어
ISSN
2287-8289
Abstract
본 연구는 동덕여자대학교 박물관 소장 조선시대 여성 장신구의 전통과 제작기법을 고찰 하여 우리 민족의 미감(美感)이 잘 표현된 한국 공예의 우수성과 미적 가치를 재발견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다가오는 미래는 분명 희소성이 높은 것을 요구하는 시대가 올 것이다. 그런 가운데 ‘나(我)’라는 존재를 내세울 수 있는 가장 유일한 방법은 각 나라의 정체성이 담긴 고유한 문화유산을 내세우는 일이 될 것이다. 우리나라 문화유산 가운데 하나이자 예로부터 우리 삶에 필요한 여러 가지 물건들을 아름답게 만드는 일인 공예(工藝)는 아름다운 도구를 만드는 일이며 그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것이야말로 우리 삶의 공통적인 욕구이자 우리 삶 속에서 최종적으로 얻고자 하는 가치 중의 하나라 할 수 있다. 그래서 우리 민족은 예로부터 공예(工藝)를 벗 삼아 아름다움을 추구하며 삶을 영위해 왔다. 공예의 한자 뜻을 살펴보면 ‘공(工)’에는 도구라는 의미가 ‘예(藝)’에는 예술의 의미가 담겨 있다. 이러한 논의의 근거로 동덕여자대학교박물관의 공예와 관련한 소장품 가운데 가장 많은 품목을 자랑하는 조선시대 여성 장신구인 노리개, 비녀, 반지, 주머니를 바탕으로 조선시대 여성 장신구의 전통미와 예술적 가치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기존의 연구 자료에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아 면밀하게 살필 수 없었던 조선시대 여성 장신구의 제작 기법에 관해 현재 여성 장신구를 제작하는 장인(匠人)들의 여성 장신구 재현 과정과 그들로부터 확인된 사실과 이론적인 근거를 토대로 동덕여대 박물관 소장 조선시대 여성 장신구가 갖고 있는 한국 공예의 아름다움과 제작기법의 개연성을 유추(類推)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discover the excellence and aesthetic value of Korean crafts that well express the aesthetic sense of our people by examining the traditions and production techniques of women's accessories from the Joseon Dynasty held at the Dongduk Women's University Museum. The coming future will certainly be an era that demands things with high scarcity. Meanwhile, the only way to assert the existence of ‘I’ would be to assert the unique cultural heritage that contains the identity of each country. Crafts, which are one of our country's cultural heritage and have been used since ancient times to make various objects necessary in our lives beautiful, are about making beautiful tools, and the pursuit of beauty is a common desire in our lives and the ultimate goal in our lives. This can be said to be one of the values we want to achieve. Therefore, our people have lived their lives pursuing beauty with crafts as their friend since ancient times. If we look at the meaning of Chinese characters for craft, ‘Gong’ has the meaning of tool and ‘Art’ has the meaning of art. As a basis for this discussion, the traditional beauty and artistic value of women's accessories from the Joseon Dynasty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Joseon Dynasty women's accessories such as norigae, hairpins, rings, and pockets, which boast the largest number of items among the craft-related collections of the Dongduk Women's University Museum. Regarding the production techniques of women's accessories during the Joseon Dynasty, which were not specifically mentioned in existing research materials and could not be closely examined, Dongdeok is based on the production techniques of the artisans who currently produce women's accessories and the facts and theoretical basis confirmed by them. It was an opportunity to infer the beauty and production techniques of Korean crafts contained in women's accessories from the Joseon Dynasty owned by the Women's University Museum.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production process of women's accessories by forming a human bond or psychological empathy with the artisans who produce women's accessories, an intangible cultural asset, and is considered significant in that the research process is field-orien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