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본 대중문화 개방과 한국 언론의 수용 태도 변화: 보도태도, 프레임, 정보원을 중심으로
Opening of Japanese Pop Culture and Acceptance Attitude of Korean Media : Focusing on News attitude, Frame and Source
Document Type
Article
Author
Source
언론과학연구, 15(1), 52, pp.229-269 Mar, 2015
Subject
신문방송학
Language
한국어
ISSN
1598-2653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acceptance attitude of Korean media about the opening of Japanese pop culture. This study conducted time series contents analysis of 1367 news, which 16 Korean media reported during 20 years 8 months. Analysis time was classified into pre-opening time (1993.10.25.~1998.10.19.), opening time (1998.10.20.~2003.12.30.) and post-opening time (2003.12.31.~2013.10.20.) News frames were classified into cultural interest, cultural industry, culture acceptance, culture rejection and prescription. Negative news attitudes were more than positive in pre-opening and opening time, but positive attitude became more in post-opening. Numbers of culture acceptance frame were the most among five frames and those of culture rejection frame were the least. Numbers of culture acceptance frame were more than those of culture rejection frame in all three times. Korean media showed the acceptance attitude from pre-opening time. Among various sources, the portion of Korean officials responsible for the open-door policy were the most. But Acceptance attitude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imes. Critical attitude was very strong in pre-opening time, but diminished in opening and was changed into positive attitude in pre-opening. Korean media showed positive attitude that opening could be the chance of development of Korean pop culture industry. Time passing, the acceptance attitudes of four cultural genres were changed positively. Positive attitudes were stronger in order of music, movie and broadcasting, cartoon. It was explained that positive acceptance attitude of Korean media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Wave, and Japanese pop culture was accepted following by three steps of adjustment, adaptation and acculturation without the first step of cultural shock or rejection, which generally appeared in the opening process of foreign culture.
한국 언론의 일본 대중문화 개방에 대한 수용태도가 어떻게 변화했는가를 20년 8개월 동안 16개 신문·방송이 보도한 1367개 기사의 내용을 시계열적으로 분석해 서 알아보았다. 시기는 개방정책이 추진된 1993년 2월25일부터 1차 개방 전날인 1998년10월19일까지를 ‘개방 이전’, 1차 개방부터 4차 개방이 완료된 2003년 12 월30일까지를 ‘개방 시기’, 그 이후부터 개방 15주년이 되는 2013년 10월20일까 지를 ‘개방 이후’로 구분했다. 보도 프레임은 문화적 흥미, 문화산업, 문화수용, 문 화거부, 처방 등 5개로 분류했다. 보도태도를 보면 개방 이전과 개방 시기에는 부 정이 긍정보다 많았지만, 개방 이후에는 긍정이 많아졌다. 5개 프레임 가운데 문화 수용 프레임이 가장 많았고, 문화거부 프레임이 가장 적었다. 모든 시기에서 문화 수용 프레임이 문화거부 프레임보다 많아서 한국 언론은 개방 이전부터 일본문화 수용에 긍정적이었다. 정보원에서는 개방 정책을 추진한 한국 공무원의 비중이 가 장 높았다. 그러나 시기에 따라 수용태도는 달랐다. 개방 이전에는 비판적인 수용 태도가 매우 강했으나, 개방 시기에는 줄었으며, 개방 이후에는 긍정적인 수용태도로 변화했다. 한국 언론은 개방에 따른 한국 대중문화산업 피해를 우려했으나, 한 국 대중문화산업 발전의 기제로 생각하는 긍정적인 수용 태도를 보였다. 한국 언론 의 문화 장르별 수용태도도 시간이 흐를수록 긍정적으로 변했으며, 음악, 영화와 방송, 만화의 순으로 긍정적이었다. 한국 언론의 긍정적인 문화개방 수용태도는 한 류 발전에 기여한 것으로 해석되었다. 일본 대중문화 개방은 일반적인 타문화 수용 과정과 달리, 거부와 충격의 단계 없이 순응, 적응, 동화 단계를 거친 것으로 분석 되었다. 일본 대중문화가 개방 전부터 한국사회에 많이 보급되어 있었기 때문에 공 식적인 개방에 따른 갈등과 마찰이 적었던 것으로 해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