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육 목표의 두 가지 접근 방식 탐색
Document Type
Academic Journal
Source
아시아교육연구. 2023-06 24(2):323-340
Subject
기술적-과학적 목표 진술
능동적-생성적 목표 진술
타일러
위깅스&
멕타이
듀이
아이즈너
Technical and scientific objective statements
Active and generative objective statements
Ralph W. Tyler
Grant Wiggins &
Jay McTighe
John Dewey
Elliot W. Eisner
Language
Korean
ISSN
1229-9448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 목표의 두 가지 접근 방식을 각각의 이론적 근거로 탐구하여, 교육 현장에 실제적으로 필요한 대안을 탐색하는 데 있다. 교육 목표의 접근 방식은 사전에 전문가들에 의해 정해진 목표를 수업이라는 수단을 통해 달성해간다는 ‘기술적-과학적 목표 진술’과 목표는 고정된 것이 아니라 수업이라는 과정 안에서 유연하게 변화해간다는 ‘능동적-생성적 목표 진술’로 구분된다. 이를 탐구하기 위해 각 접근 방식의 대표적 이론가인 타일러와 위깅스&멕타이, 듀이와 아이즈너의 주요 교육과정 목표 이론을 검토해본다. 연구 결과 기술적-과학적 목표 진술은 구조가 체계적이고 실용적인 적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는 반면, 교육의 가능성을 온전히 담지 못한다는 단점을 지닌다. 이에 반해 능동적-생성적 목표 진술은 교사와 학생의 주체성을 강화하고, 현장의 역동성을 반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비구조적이고 비정형적인 성격으로 분명한 교육과정 개발 원리를 제시해주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실제 교육 상황은 두 접근 방식 중 무엇 하나로 온전히 이루어질 수 없기에, 전체 교육과정 구조 속에서 상호 보완적인 관계를 맺을 방안이 필요하다. 그 방안은 국가 교육과정과 교실 교육과정이 가진 서로 다른 역할과 성격에서 실마리를 찾아, 각 접근 방식의 특성이 함께 발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특히 기술적-과학적 접근 방식이 주된 교육과정 개발 방식인 우리나라의 상황에서 국가 교육과정과 교실 교육과정 전반에 능동적-생성적 접근 방식의 철학을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ationale behind each of these two approaches to educational objectives, and to explore alternatives for classroom practice. Objectives can be categorized into technical and scientific objective statements and active and generative objective statements. This study will examine this through the main theories of R. W. Tyler, G. Wiggins & J. McTighe and J. Dewey and E. W. Eisner, the leading theorists of each approach. Our study found that both approaches have their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While technical-scientific objective statements have the advantage of structure and practical application, they have the disadvantage of not capturing the full range of educational possibilities. On the other hand, active and generative objective statements have the advantage of enhancing teacher and student agency and reflecting the dynamics of the field, and the disadvantage of being unstructured and not providing clear curriculum development principles. The educational situation can’t be fully accomplished by either approach. The two approaches should have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The solution lies in the different character of the national curriculum and the classroom curriculum. Especially in Korea, which has a national curriculum system and links the national curriculum and classroom curriculum around standards, it is necessary to reflect classroom variability through active and generative objective statements.

Online Ac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