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문화상품 구매 집단의 ‘재미성’ 평가의 융복합 차이 연구
Document Type
Academic Journal
Source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2023-12 41(5):279-288
Subject
Cultural Product(문화상품)
Fun Factor(재미성요소)
Consumer Needs(소비자 요구)
Convergence Research(융복합 연구)
Language
Korean
ISSN
2005-1409
Abstract
소비자들의 문화상품에 대한 수요가 날로 높아짐에 따라, 제품의 단일한 기능과 품질에 만족하지 않고, 그 속에 내포된 즐거움과 체험을 통한 재미를 추구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문화상품의 재미성 요소는 점차 핵심적 요소로 강조되고 있으며, 제품의 흡인력도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문화상품의 재미성 분석을 위해 시작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상품에서 재미성 평가 요소를 분석하여 사용자 유형별로 구체화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문화상품 구매집단간의 재미성 평가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체험성, 매력성, 재치성, 스토리텔링 등 소비자 유형에 따라 현저한 차이가 있음을 발견했다. 이는 우리에게 중요한 시장에 대한 통찰을 제공하였고, 문화상품의 차별화 설계를 위해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였다. 둘째, 각종 소비자 조사 분석으로부터 풍부한 데이터를 얻었다. 이러한 데이터는 우리에게 소비자의 요구를 깊이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을 뿐만 아니라, 문화상품 디자인에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였다. 앞으로 우리는 문화상품의 ‘재미성’의 잠재력을 깊이 있게 연구하여 새로운 문화관련 디자인 컨셉과 혁신방법을 모색하기를 기대한다.
With the increasing demand of consumers for cultural products, there is a tendency to pursue the fun and interest through experience instead of being satisfied with the single function and quality of products. The interesting elements of these cultural products are gradually emphasized as the core elements, and the attractiveness of the products is also increasing. Therefore, this study starts with the analysis of the interest of cultural produ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lements of interest evaluation in cultural products and implement them in different user type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differences in interest evaluation among cultural product buyers. It is found that, firs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xperience, attraction, intelligence and story among different consumer types. This provides us with important market insight and important clues for the differentiated design of cultural products. Second, abundant data have been obtained from various consumer surveys and analyses. These data not only provide us with an opportunity to deeply understand the needs of consumers, but also provide a theoretical basis for cultural product design. In the future, we look forward to deeply studying the potential of "interest" of cultural products and exploring new cultural-related design concepts and innovative methods.

Online Ac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