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치조 마찰음 왜곡 오류 유무에 따른 아동 발화 적률분석 비교
Document Type
Academic Journal
Source
말소리와 음성과학. 2024-03 16(1):33-40
Subject
alveolar fricatives
distortions
spectral moment analysis
치조 마찰음
왜곡 오류
적률분석
Language
Korean
ISSN
2005-8063
2586-5854
Abstract
본 연구는 치조 마찰음의 왜곡 오류인 치간음화, 구개음화, 설측음화가 적률분석의 변인인 무게중심, 분산, 왜도, 첨도에서 정조음과 보이는 음향학적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61명 아동(평균연령: 5.6±1.5세, 여아 19명, 남아 42명)을 대상으로 얻어진 조음음운평가(Assessment of Phonology & Articulation for Children, APAC; Urimal-test of Articulation and Phonology I, U-TAP I) 결과, 음성 중 치조 마찰음을 포함하고 있는 목표 단어에서 치조마찰음 왜곡 오류를 보인 음성과 정조음 음성을 추출하여 후향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총 169개의 음성이 적률분석에 사용되었다. 그 결과, 무게중심에서 정조음이 구개음화보다 값이 높았으며, 구개음화는 치간음화보다 값이 낮았다. 치간음화의 분산이 정조음과 구개음화보다 높았다. 치간음화가 정조음보다 높은 왜도를 보였으며 구개음화의 왜도가 정조음보다 높았다. 마지막으로 구개음화의 첨도가 정조음과 치간음화보다 높았다. 각 왜곡 오류 유형에서 적률분석의 모든 변인들에 대해 조음위치(어두초성, 어중초성), 발성유형(평음, 경음)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치조 마찰음의 유형에 따라 무게중심, 분산, 왜도, 첨도에서 다른 패턴이 나타남을 확인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객관적 수치는 추후 임상에서 청지각 평가를 도와 치조 마찰음 왜곡 오류의 진단과정에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acoustic features in spectral moment analysis, comparing accurate articulations with distortions of alveolar fricatives such as dentalization, palatalization, and lateralization.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speech samples from 61 children (mean age: 5.6±1.5 years, 19 females, 42 males) using the Assessment of Phonology & Articulation for Children (APAC) and Urimal-test of Articulation and Phonology I (U-TAP I). Spectral moment analysis was applied to 169 speech sample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accurate articulations was higher than that of palatalization, while palatalization was lower than dentalization. The variance of dentalization was higher than that of both accurate articulations and palatalization. The skewness of dentalization was higher than that of accurate articulations, and the skewness of palatalization was higher than that of accurate articulations. The kurtosis of palatalization was higher than that of both accurate articulations and dentalization.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for the position of fricatives (initial, medial) and tense type (plain, tense) across all variables of spectral moment analysis for each distortion type. This study confirmed distinct patterns in center of gravity, variance, skewness, and kurtosis depending on the type of alveolar fricative distortion. The objective values provided in this study will serve as foundational data for diagnosing alveolar fricative distortions in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Online Ac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