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코로나19가 청년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1인 가구 및 다인 가구 청년을 중심으로 -
Document Type
Academic Journal
Source
한국사회복지학. 2023-08 75(3):39-65
Subject
청년
스트레스
코로나19
1인 가구
다인 가구
이중차이(DID)분석방법
youth
stress
COVID-19
single-person households
multi-person households
Difference-in-Differences(DID)
Language
Korean
ISSN
1229-5132
Abstract
본 연구는 코로나19가 청년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청년의 가구 유형에 따라 집단을 구분하여 규명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이를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수집한 2017 ~ 2020년도 청년패널조사(YP) 자료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가구 구분은 1인 가구 청년 및 다인 가구에 속한 청년으로 구분하여 설정하였다. 분석방법은 이중차이(DID)분석방법을 적용하여 코로나19 발생 이후 청년의 가구 유형에 따라 스트레스에 미친 순수한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코로나19는 청년의 스트레스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청년의 가구 유형에 따라 스트레스에 미친 영향을 살펴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진 않았지만 1인 가구 청년의 스트레스가 다인 가구에 속한 청년에 비해 코로나19 발생 이후 더욱 나빠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토대로 코로나19 발생 이후 악화된 청년의 스트레스를 개선할 수 있도록 1인 가구 청년의 스트레스 개선 및 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구축사업을 실시하는 민간기관에 대한 중앙정부 및 지자체의 행, 재정적 지원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COVID-19 on the stress of youth by classifying them into groups according to their household types. For this purpose, the 2017, 2018, 2019, and 2020 Youth Panel Survey (YP) data collected by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Households were classified into youth belonging to single-person households and youth belonging to multi-person households. As for the analysis method, Difference-in-Differences (DID) analysis method was applied to analyze the effect on stress according to the household type of youth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Looking at the analysis results derived from this, it was found that COVID-19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stress of youth. A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n stress by household type of youth, it was confirmed that the stress of youth in single-person households was worse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compared to youth in multi-person households.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proposed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for private institutions that carry out projects to improve and prevent stress for youth in single-person households to improve the stress of youth.

Online Ac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