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의사결정나무 분석에 기반을 둔 노인 삶의 만족 예측
Document Type
Academic Journal
Source
사회과학연구. 2024-04 35(2):125-145
Subject
삶의 만족
우울
불안
가족관계
의사결정나무 분석
Life Satisfaction
Depression
Anxiety
Family Relationship
Data Mining Decision Tree Analysis
Language
Korean
ISSN
1976-2984
2713-9891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코로나19 이후 노인 삶의 만족의 예측요인을 밝혀내고자 한다. 둘째, 노인 삶의 만족에 관한 학술적 이해를 향상시키고 실천적 대안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충청남도 사회조사 자료를 사용하였고, 데이터마이닝 의사결정나무분석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불안이 노인의 삶의 질을 가장 높게 예측하였고, 그다음으로 소비만족도와 우울, 가족관계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 따라 노인 삶의 만족 예측요인을 분석한 결과, 남성은 불안감이 낮고, 소비만족도가 높으며 우울감이 낮은 집단의 삶의 만족이 높게 예측되었고, 여성은 불안감이 낮고 소비만족도가 높으며 연령이 낮은 집단의 삶의 만족에 높게 예측되어 성별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었다. 셋째, 의사결정나무분석에서 도출된 요인을 토대로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불안감과 우울감을 비롯하여 가족관계가 노인 삶의 만족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노인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 및 실천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redictors of life satisfaction in the elderly after COVID-19 in order to improve academic understanding of the elderly"s satisfaction with life and to provide practical alternatives. For this purpose, data from the Chungcheongnam-do Social Survey were used, and data mining decision tree analysis was utili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nxiety was the highest predictor for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followed by consumption, depression, and family relationships. Second, when the predictors of an elderly person"s satisfaction with life were analyzed by gender, there were some differences between men and women. Men with low levels of anxiety, high satisfaction with their consumption, and who did not suffer from depression were more likely to be satisfied with life, while women with low anxiety, high satisfaction with their consumption, and lower age were more likely to be satisfied with life. Third, we analyzed the factors affecting life satisfaction based on factors derived from the decision tree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anxiety and depression, as well as family relationship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life satisfaction in the elderly. Based on these results, policy and practical suggestions are made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Online Ac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