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성인지 미디어교육의 현황과 가능성에 대한 연구
Document Type
Academic Journal
Source
한국여성학. 2020-09 36(3):153-196
Subject
미디어교육
성평등교육
성인지 미디어교육
여성혐오
디지털 네이티브
Media literacy
Gender-sensitive media literacy
Misogyny
Digital native
Language
Korean
ISSN
1226-3117
2713-6604
Abstract
본 연구는 n번방 텔레그램 사건 등 왜곡된 성인식에서 비롯된 각종 사회적 문제들이 산적한 오늘날, 성별 고정관념과 성차별, 여성혐오 정서를 재생산하는 미디어 환경과 이러한 미디어에 대한 비판적 이해 능력을 가르치지 못하는 미디어교육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기획되었다. 연구진은 미디어가 성차별에 미치는 영향을 인식하는 비판능력을 키우고 나아가 성평등을 이루기 위해 미디어가 어떠한 콘텐츠를 생산해내야 하는가를 아우르는 미디어교육을 성인지 미디어교육으로 명명하며 이러한 교육을 시도하는 교강사들의 인터뷰연구를 통해 교육의 어려움, 성인지 미디어교육을 위해 어떠한 인식의 변화와 사회적 지원이 필요한지에 대해 질문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강사들은 교육 현장에서 학생들의 여성혐오 발화와 성역할 고정관념으로 인한 교육의 장벽을 경험한다. 둘째, 교육으로서의 미디어교육은 공식 교과 교육과정에 포함되어 있으나 성인지 관점의 적용은 선택사항이다. 성인지 미디어교육을 독려하기 위해 2019년부터 국책기관과 교사연구모임에서 성인지 미디어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강의자료를 제공하고 있으나 이러한 자료를 능동적으로 찾아 고민하며 성인지 미디어교육을 실천하는 교강사는 소수 여성으로 제한적이다. 여교강사들은 성인지 미디어교육의 실천 과정에서 낮은 성인지 감수성과 성차별적인 가치관을 가진 학교장이나 학부모, 선후배 동료 남성교사들의 견제를 경험한다. 셋째,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교강사들이 지향하는 성인지 미디어 교육의 방향은 제작보다는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성인지 관점의 비판적 이해 중심의 교육이다. 비판적 이해 수업은 제작수업에 비해 커리큘럼의 개발, 강의 자료의 제작, 교강사들의 재교육, 새롭고 낯선 성평등 이론에 대한 거부감이나 장벽이라는 어려움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판적 이해 교육을 통해 성별화된 디지털 미디어공간에서 여성혐오와 차별적 성규범에 익숙했던 청소년들이 변화를 경험하는 것 또한 사실이다. 무엇보다 현재 학생들이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고 영향을 받고 있는 미디어를 활용해 학생들의 일상과 접목된 현장감 있는 교육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지적에 귀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During current times where problems such as sexual violence, sexual exploitation, and misogyny originate from a distorted gender sensitivity, this research, based on a conscious that media education does not teach the necessary ability to criticize the gender biased media, reviews the media environment that produces gender inequality and conflict along with the state and effect of gender sensitive media literacy education in schools based on the experience of lecturers in the field. The results state that first, lecturers point out that students in schools have a low gender sensitivity that differs based on gender and the main reason is an uncritical consumption of media that lacks gender sensitivity. Secondly, though media literacy education is part of the official curriculum, the application of the gender aspect is limited to the lecturers’ individual choice and lecturers’ experience. Also, there is an issue of criticism and attacks from the patriarchal school culture and from parents and school faculty that do not understand the gender aspect of education. This environment serves as a large obstacle to practicing gender sensitive media literacy education. Finally, apart from the mainstream media education that focuses on production education, lecturers suggest critical understanding and criticism of media content based on the gender aspect as the direction for gender sensitive media literacy education. Based on the opinion of lecturers, this study argues that gender sensitive media literacy education that teaches critical understanding of the media based on the gender aspect is urgently needed and that the discussion between the academia, civic groups and the government for such education must start.

Online Ac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