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궁선근증에 대한 임상적 고찰
A Clinical Study on Adenomyosis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Mar 30, 1986 29(3):396
Subject
자궁선근증
Language
Korean
ISSN
2287-8572
Abstract
저자들은 1979년 1월 1일부터 1983년 12월 31일까지 만 5년동안 고신의과대학 산부인과학교실에서 시행한 자궁적출술 총 1,038례중 병리조직 검사에서 자궁선근증으로 진단된 109례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자궁선근증의 발생빈도는 10.5%이었다. 2. 호발 연령은 40세에서 49세였으며 평균 연령은 44.8세이었다. 3. 분만회수는 3~4회군이 가장 많았고, 회수가 증가할수록 자궁의 무게도 증가하였다. 4. 내원 당시 환자의 주소는 부정자궁출혈이 22.9%로 가장 많았고, 월경과다 15.6%, 하복통, 대하증이 12.8%로 나타났다. 5. 자궁선근증으로 진단된 환자와 외상과의 관계를 조사한 바 소파수술이 가장 많은 것으로 62.4%를 보였다. 6. 소파수술 회수가 증가함에 따라 자궁선근증의 진입정도는 높았으며 대개 중등도 이상을 보였다. 7. 수술전 진단의 정확도는 7.3%이었으며, 수술후 육안적 진단의 정확도는 12.8%이었다. 8. 적출자궁에서 자궁선근증과 동반된 양성질환 중 자궁근종이 25.7%로 가장 많았고, 악성질환에서는 침윤성 자궁경부암이 5.5%로 나타났다. 9. 자궁내막 소견은 증식기가 21.1%, 분비기가 12.8%를 보였다.
This retrospective clinical study was attempted to analyse 109 cases of adenomyosis among 1038 hysterectomized cases in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Kosin Medical College during the 5 year period from January, 1979 to December, 1983.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109 instances of adenomyosis were found in 1,038 uteri, an incidencee of 10.5 percent. 2. Age incidence was highest in 40 to 49 years of age group, and incidence of 47.7 percent and the mean age was 44.8 years. 3. Metrorrhagia was the most common symptom of adenomyosis, giving 22.9 percent of all cases. 4. Myoma was the most combined disease in adenomyosis, showing an incidence of 25.7 percent. 5. Pelvic endometriosis was rarely noted in this study, an incidence of 3.7 percent. 6. Endometrial findings of adenomyosis showed proliferative endometrium in the heighest incidence, giving 21.1% of all cases. 7. Preoperative diagnostic accuracy for adenomyosis was 7.3%. 8. Postoperative diagnostic accuracy of adenomyosis by surgeons was 12.8%.

Online Access